국제공동연구, 상대국 보안규정 알아야

국제공동연구, 상대국 보안규정 알아야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Editor Pick
- 과기정통부, 국제공동연구 연구보안 길잡이(미국편) 발간
- 미국과 국제공동연구 추진 시, 연구보안 규정과 유의사항 등 지침 제공

정부는 국내 연구자가 해외와 국제공동연구 시 상대국 연구보안 규정을 미숙지해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을 사전에 방지 지원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공동연구 연구보안 길잡이(미국편)'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되는 길잡이는 국내 연구자들이 미국과 국제공동연구 추진 시, 상호 신뢰에 기반해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국의 주요 연구 개발 지원기관인 에너지부(DOE), 국립과학재단(NSF), 국립보건원(NIH), 항공우주국(NASA), 국방부(DoD)의 연구보안 규정과 유의사항에 대해 정리했다.

특히, 에너지부 경우, 산하 국립연구소와의 협동연구개발계약(CRADA), 전략적 동반관계 프로그램(SPP) 등 추진 시 지켜야 할 규정, 기술 민감도에 따라 신흥 기술을 보호하는 분류 체계인 ‘과학기술 위험 분석도구(S&T Risk Matrix)’ 등 총 7개의 핵심 연구보안 규정을 소개하고, 위험국가(Countries of Risk) 또는 민감국가(Sensitive Countries)와 협력시 제한 기준과 사전 승인 절차 등을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각 기관별 규정에 따른 유의 사항, 자주 묻는 질문(FAQ), 공동연구 경험 연구자와 인터뷰 결과, 국제공동연구 시 실제 발생 가능한 가상 사례 등을 제시해 연구자들이 쉽게 이해해 연구보안 위험을 사전에 인지‧대응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길잡이는 미국과의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거나 계획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보안 지침서로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핵심 유망기술의 선제적 발굴 및 혁신적 연구성과 창출이 절실한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신뢰받는 연구 동반자로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길잡이(미국편)에 유럽연합(EU)의 연구보안 관련 제도를 추가한 개정‧증보판을 연말까지 발간할 계획이다.


류제명 2차관, AI·보안 협력 방안 논의
💡Editor Pick - AI·디지털, 정보보호 기업 간담회 개최 - AI 3대 강국 도약과 정보보호 역량강화 민관 ‘한 팀’ 협력 방안 논의 - AI・디지털 분야 도약 위한 최적 정책 방안 모색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류제명 제2차관은 인공지능(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해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적 지원방안을

Read more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개인정보위, SK텔레콤 해킹 사태 제재안 27일 상정

💡Editor's Pick - 집중조사 TF 가동…결정은 비공개 회의서 - 과징금 최대 매출액의 3%…업계 ‘초미 관심’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SK텔레콤 대규모 고객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에 대한 제재 수위를 이르면 오는 27일 결정할 전망이다. 개인정보위는 21일 “27일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관련 제재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본인전송 요구권 전분야 확대 개정 추진

💡Editor's Pick -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 추진 - 인터넷에서 열람‧조회 개인정보 다운로드 방식도 본인정보전송 인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 본인전송요구권 확대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개정에 나섰다. 개정안은 기존 의료·통신 분야에 국한됐던 전송 권한을 전 분야로 확장하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전송 의무에서 제외해

By CheifEditor
피싱 침해사고, 분기별 중 가장 증가

피싱 침해사고, 분기별 중 가장 증가

💡Editor's Pick - 공격자, 탈취 계정으로 기업 e-커머스 시스템 무단 접속 - 비즈니스 메일 사칭해 피싱 발송...거래대금 편취 피싱 관련 침해사고가 분기별 사고 유형 중 가장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과 기관에서는 피싱 피해를 입지 않도록 메일 수신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주요 침해사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