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가 공개한 선문대 유출 정보, DB서버 암호 포함...개인정보 유출 농후

해커가 공개한 선문대 유출 정보, DB서버 암호 포함...개인정보 유출 농후
[노바 해커조직이 자신이 운영하는 다크웹 블로그에 선문대학교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공개한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 Pick
- Nova Hacker에 의한 선문대 랜섬웨어 공격/정보공개(2025.05.28)
- 유출 정보 분석 결과 : 주요 서버 Credential에 의한 정보 유출 가능성

노바 해커 지난 5월28일 7GB 크기 선문대 자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링크 공개
해커 공개 파일 중 DB서버 암호와 접속 정보 기록 발견...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농후

선문대학교가 노바 해커로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자료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8일 <The Tech Edge>에서 확인한 결과, 해커는 지난 5월28일 7GB 크기의 해킹했다고 주장한 선문대학교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링크를 공개했다.

해커가 공개한 선문대 데이터는 '12월점검표', '20191213', 'Bmp' 등 여러 폴더와 'pbd', 'pbl' 등 파일들이다. 언뜻 봐서는 개인정보나 중요 정보가 들어있지 않아 보인다.

선문대 역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랜섬웨어에 감염된 가상화 PC가) 개인정보를 다루지 않는 기기이기 때문에 현재로선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해커가 공개한 자료 중 일부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하지만 해커가 공개한 파일 중 pbl 파일을 에서 보안 전문가를 통해 분석한 결과, DB서버 암호가 발견됐다. 또 일부 설정 파일 등에도 DB서버 접속 정보가 기록돼 있다. 즉 해커가 소스코드 유출 뿐만 아니라 DB서버 암호 정보로 DB에 접근, 개인정보를 유출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단 얘기다.

보안 업계 역시 공격자가 서버 권한을 획득한 상태였기 때문에, DB 접근이 가능했다며 DB 서버 접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해커가 공개한 소스코드에 DB서버 암호가 포함됐기 때문에, 이 정보가 외부에 알려진 것이란 분석이다.

한승연 리니어리티 대표는 "유출된 정보에 데이터베이스(DB) 서버 접속 정보가 포함돼 있단 건 해커가 해당 정보를 이용해 실제로 DB 서버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계정 정보가 노출된 모든 서버에 대해 해커 접근 흔적이나 개인정보 유출 확인 등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번에 공개된 서버 접속 계정이나 DB 스키마 등의 정보가 또 다른 해커에게 추가 공격의 빌미가 될 수 있는 만큼, 2차 공격 가능성에 대해서도 철저히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오래된 프로그램 버전 등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한 대표는 "유출된 정보에 포함된 소스코드 주석, 파일 생성 시각, 사용된 프로그램 버전 등 정황을 종합해 볼 때, 해당 프로그램은 2002년경 개발된 것으로, 20년 넘게 운영된 것 같다"며 "지원 종료된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사용할 경우, 취약점 패치가 제공되지 않아 해킹 등 외부 공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베레스트 랜섬웨어, 코카콜라 직원 959명 정보 유출시켜
에베레스트 랜섬웨어 조직이 5월 27일 코카콜라의 내부 인사 자료를 다크웹과 러시아어 해킹 포럼에 공개했다. 해커들은 5월 22일 처음으로 피해 사실을 알리며, 회사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시한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 공격은 인사 관리 SaaS인 SAP SuccessFactors를 겨냥한 연쇄 침해 가운데 최대 규모 사례로 꼽힌다. 동일한 방식의 공격이 중동·아프리카
예스24, 랜섬웨어 감염 인정...개인정보위 조사 착수
💡Editor Pick - 예스24 랜섬웨어 감염 인정 - 데이터 유출, 유실 없으며 백업 통해 복구 진행 중 - 개인정보 위원회 및 경찰 조사 착수 예스24, ”현재 접속 오류는 랜섬웨어로 인한 장애” 지난 9일 새벽부터 시스템이 마비된 예스24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사실을 인정했다. 11일 예스24 측은 ”현재 접속 오류는 랜섬웨어로 인한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