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 의료진 개인정보 다크웹에 공개

해커, 의료진 개인정보 다크웹에 공개
다크웹 사이트 기준으로 지난 24일 밤 9시 45분경 닉네임 '129582'를 사용하는 해커가 국내 의료진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샘플로 다크웹에 공개했다.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지난 24일 밤 9시 45분경 국내 의료진 개인정보 데이터 다크웹에 공개
- 다크웹에 공개된 모든 아이디, 의료관련 학회 가입자

다크웹에 임상강사, 군의관 등 국내 의료진의 개인정보가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다크웹 사이트 기준으로 지난 24일 밤 9시 45분경 닉네임 '129582'를 사용하는 해커가 국내 의료진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샘플로 다크웹에 공개했다.

해커가 공개한 개인정보는 코스날짜, 회원구분, 아이디, 이름, 이메일 주소, 핸드폰번호, 신청내역, 금액, 신청상태, 결제일 등이다. 특히 결제일 정보는 8월21일, 코스 날짜는 9월 9일, 8월 26일, 8월 19일 등으로 최근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더테크엣지> 취재결과 다크웹에 공개된 모든 아이디는 의료관련 학회에 가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개인정보가 유출된 한 이용자는 "유출된 개인정보는 본인 정보가 맞다"며 "학회 백내장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센터에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교육 신청한 사람들 목록인 것 같다"고 밝혔다.

다크웹에 공개된 유출된 개인정보에 대해 학회 관계자는 "담당자는 퇴근했고, 해킹된 정보가 맞는지 업체에 문의해 확인해 보겠다"고 밝혔다.

한승연 리니어리티 대표는 “현재 공개된 데이터만으로는 학회의 데이터베이스(DB) 전체가 해킹된 것인지, 특정 웹페이지나 엑셀 형태의 일부 자료가 유출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며,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특정 직업군의 대다수 정보가 한꺼번에 노출됐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이처럼 특정 직군 종사자들이 대거 가입하는 사이트의 정보가 한 번에 유출될 경우, 이를 종합적으로 악용한 피싱 공격이나 표적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보보보호컨설팅 담당인 윤덕상 모닝아이텍 전무는 “최근 이미 유출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내부 사용자의 신분을 위장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이제는 더이상 내부 사용자도 신뢰할수 없다는 개념의 제로트러스트 체계로의 전환을 빠르게 서둘러야 하고, 최소한 사용자 인증및 권한 부여시 다중인증(MFA)적용을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단독] 웰컴금융 그룹 자회사, 랜섬웨어 감염...다크웹에 공개
💡Editor’s Pick -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지난 7월 랜섬웨어 감염 - 랜섬웨어 조직 퀼린, 17일 다크웹에 웰릭스캐피탈 샘플 정보 공개 웰컴금융그룹의 자회사 중 한 곳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가운데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중 한 곳 데이터가 다크웹에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랜섬웨어 조직 퀼린(Qilin)은 전세계를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SKT, 개인정보 유출 1348억원 과징금 폭탄 받아
💡Editor’s Pick - SKT, 1천347억9천100만원 과징금과 960만원의 과태료 부과 - 4월 SKT 코어·관리망 침투, 총 2,324만4,649명 유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사상 최대 규모의 이동통신 개인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SKT에 1천347억9천100만원의 과징금과 96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27일 제18회 전체회의에서 SKT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처분을 의결하고, 유심(USIM) 정보
해외 클라우드 사업자, 개인정보 유출 사고 조사 응하지 않아...법 명확해야
💡Editor’s Pick - 해외사업자, 클라우드 사고조사 응하지 않아 법집행 난관 - IaaS 제공 사업자 법적 책임 부과 인식 없어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업자도 그 기준 맞춰 수탁자 지위 해석 명확해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업자가 개인정보보호법상 수탁자 지위에 있다는 해석을 명확히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일반적으로 안전성 확보조치 미흡으로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경우,

Read more

KISA, 침해사고 신고 전년 동기대비 15%↑ 신고 위반 3천만원 과태료

KISA, 침해사고 신고 전년 동기대비 15%↑ 신고 위반 3천만원 과태료

💡Editor’s Pick - 침해사고 신고건수, 지난 3년간 약 2.2배 증가 - 서버해킹 신고현황 지난 3년간 약1.8배 상승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건수가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반 이상이 서버 해킹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침해사고 증가에 따라 침해사고 신고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지난해 8월 정통망법이 개정되면서 과태료 부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