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술유출 범죄 증가, 27건 송치...처벌대상 확대 경찰 집중 단속

해외 기술유출 범죄 증가, 27건 송치...처벌대상 확대 경찰 집중 단속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작년 해외 기술유출 사건 27건 송치, 범죄수익 약 65억원 환수
- 처벌대상 확대, 손해배상 상향 등 '산업기술보호법' 개정
- 경찰, 오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100일간 집중단속

최근 빠르게 해외 기술유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이 발표한 2024년 해외 기술유출 주요 수사 사례를 살펴보면 작년 한 해 동안 해외 기술유출 사건 27건 송치, 기술유출 사범의 급여·체류 비용 등 범죄수익 약 65억원을 환수했다.

국가 핵심기술인 ‘20나노급 반도체 제조공정 기술’과 개발자 200여명을 해외로 유출하고, 해외 현지에서 부정 사용한 피의자 25명이 검거됐다. 

국내 대학교 산학협력단 내 위장연구소를 설립해 국가핵심기술인 ‘전기차 배터리 설계도’ 등을 해외로 유출한 국내 법인(해외기업의 자회사) 및 관련 피의자 5명도 검거됐다.

이에 경찰이 오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100일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안보수사국)가 국가핵심기술 유출에 나선다.

특히, 개정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라, 해외 기술유출 범죄 구성요건이 완화되고 기술 침해행위에 소개·알선·유인 행위도 추가되는 등 처벌 대상이 확대될 예정이다.

개정된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르면 처벌대상이 확대됐다. 해외 기술유출 범죄 구성요건이 완화(목적 → 고의범)돈 반면, 산업기술 침해 소개·알선·유인 ▵‘부정한 이익 또는 피해기관 손해 인식’ 없는 기술유출 ▵‘손해를 가할 목적’ 없는 반환·삭제 거부 행위 등도 처벌 대상이 된다.

벌금·손해배상액도 상향됐다. 국가핵심기술 유출 시 최대 65억, 산업기술 유출의 경우 최대 30억, 손해배상액은 기존 3배에서 5배로 강화됐다.

또한, 경찰은 집중단속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관계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범죄수익은 전액 환수할 예정이다.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이번 집중단속을 통해 새 정부의 경제·산업 대도약이라는 정책 목표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고, 기술유출을 통해 어떠한 경제적 이익도 얻을 수 없게 하겠다.”라고 하면서, “특히, 기술유출 범죄는 은밀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외부에서는 유출 사실을 알기 어려운 만큼, 피해기업의 즉시성 있는 신고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제보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또한, “기술유출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 사례를 목격하였다면 국번 없이 ‘113’ 또는 경찰청 누리집에 개설된 ‘온라인 113 신고센터’로 신고하거나, 시도경찰청 산업기술보호수사팀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기술 사기 범죄단 체포한 인도 수사국, “현장 검거” 자랑
💡Editor’s Pick - 인도 CBI, 기술 사기 콜센터 세 군데 덮쳐 - 18개월 이어진 국제 공조로 적발된 공격 인프라 - 사이버 사건에서 매우 드문 ‘현장 적발’까지 기술 사기 범죄가 연일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인도의 중앙수사국인 CBI가 대형 범죄 조직을 해체하는 성과를 올렸다. 영국의 국가범죄수사청(NCA)와 미국의 연방수사국(FBI), 마이크로소프트가
중소기업 89%, 기술 유출 타깃 이유
보안 투자 여력, 전담 인력, 사후 대응 체계 부재, 관행 중심의 업무 방식 문제 2020~2024년 국내에서 발생한 산업기술 유출 사건의 89%는 중소기업에서 발생했다. 2022년 기준, 산업기밀 유출 피해의 78% 중소기업에 집중됐다. 최근 5년간 해외 기술 유출 시도는 97건, 그로 인한 추정 피해액은 무려 23조원에 달한다. 중소기업이 기술 유출의
[TE머묾] 첨단 기술들의 흥망성쇠
오래된 이름들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델몬트(Del Monte)’와 ‘아타리 2600(Atari 2600)’이다. 전자는 1886년에 창립된, 통조림 위주의 식품 회사이고, 후자는 70년대에 탄생해 80년대까지 게이머들을 열광시켰던 유명 비디오 게임 브랜드이다. 델몬트는 파산했고, 아타리 2600은 2025년 기준 최첨단으로 분류될 만한 기술과의 시합에서 연승을 거뒀다.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오렌지를

Read more

쿠가게임즈, 과징금 9천370만원 받아

쿠가게임즈, 과징금 9천370만원 받아

💡Editor Pick - 쿠카게임즈, 이벤트 당첨자 대상으로 주민등록번호 41건 수집 - 적법 근거 없이 주민등록번호 처리 제한 규정 위반 - 잡보스, 적법 근거 없이 피고용자 575명 주민등록번호 수집...시정명령 개인정보 보호 법규를 위반한 쿠카게임즈가 과징금 9천 370만원, 잡보스가 시정명령을 받았다. 쿠카게임즈: 과징금 9천 370만원 부과, 시정명령 글로벌 게임회사인 쿠카게임즈는 모바일

By CheifEditor
가비아, 소규모 위한 VDI 솔루션 ‘가비아 VDI Lite’ 출시

가비아, 소규모 위한 VDI 솔루션 ‘가비아 VDI Lite’ 출시

💡Editor Pick - 하루 만에 구축 가능한 간편형 가상 데스크톱 - 출시 기념 33% 할인 프로모션 진행… 선착순 30개 기업 제공 클라우드 전문기업 가비아(공동대표 김홍국·원종홍)가 소규모 인원에 최적화된 가상 데스크톱 솔루션 ‘가비아 VDI Lite’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가비아 VDI는 물리적인 PC 대신 중앙 서버에 사용자 환경을

By CheifEditor
[칼럼] "금융 AI 위수탁, 공동통제 통한 거버넌스 혁신 필요해"

[칼럼] "금융 AI 위수탁, 공동통제 통한 거버넌스 혁신 필요해"

💡Editor Pick - 금융권 AI, 데이터 활용성 확보와 개인정보보호 동시 달성 양면과제 - 법적 해석 사각지대와 위수탁 관리 부재는 고객 신뢰 훼손할 수 있어 - 데이터 활용성 높이는 동시에 공동통제 통한 권한·책임 균형 확보해야 [칼럼 여창환 생명보험협회 CISO] 금융회사의 AI 활용은 실험적 수준을 넘어 필수 경영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챗봇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