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N2SF 시범적용 전략

한전KDN, N2SF 시범적용 전략
이창열 한전KDN N2SF TF장이 13일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에서 한전KDN의 N2SF 시범적용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KDN 자체 역량 강화, N2SF 대응 TF팀 13명 조직 구성 및 교육
- 데이터 중심 보안체계 조성, N2SF 실증 추진 등 역량 강화

한전KDN은 2006년 국가, 공공기관 대상 최초로 망 분리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급격한 IT환경 변화, 업무환경 개선과 신기술 반영이 필요했다.

특히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해 지난 1월 KDN은 전상망을 업무 중요도에 따라 기밀, 민감, 공개 등급으로 분류, 각 등급에 맞게 차등화된 보안 대책을 적용하는 보안체계 N2SF를 수립했다.

이창열 한전KDN N2SF TF장은 13일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에서 지난 1월 N2SF 가이드라인 Draft 버전 발표 후 3가지 관점에서 N2SF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KDN은 자체 역량 강화를 위해 N2SF 대응 TF팀을 꾸렸다. TF팀 조직은 정보보호실, 보안사업처, 전력ICT기술원, 클라우드사업처 등 총13명으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기술 교류회, 한국사이버안보학회와 협업해 내부 기술 인력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창열 TF장은 "TF를 구성해 매주 정례 회의를 실시하고 있다"며 "TF 활동 사항과 기술 종형 등에 대해 기술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KDN은 지난 2월 사내 보안 체계 변화에 대한 공감대와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정보보안 기술 세미나 수행, 지난 4월 기술망 취약점 진단 완료, 6월 TF팀원 대상으로 기술 검증 교육 진행 등 단계별 순차 교육을 통해 역량을 끌어올렸다.

두 번째는 N2SF 선도 도입을 위한 시범 적용 추진이다. 이창열 TF장은 "사내 연구망에 대해 현재 제시되고 있는 국가 보안 체계 하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프레임을 설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데이터 자체 구분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고백한 이 TF장은 시스템 중심으로 CSO를 구분해 적용했다고 밝혔다. 보안 요구 사항 대책으론 보유 보안 솔루션을 최대한 활용해 보안 통제 항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이창열 TF장은 "KDN 최종은 클라우드 실증 운영을 적용하고, 연구 기술망의 화합 관제 모델 확보"라며 "시범 적용 모델 기반으로 사례 및 기술을 전력 그룹사와 공유해 AI 기반의 통합 관제 방안을 함께 수립하거나, 국가 기반 시설 보안 강화 방안을 제시해 선도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윤흥구 한전 KDN 부사장 ”국가 기관망 공격, 과거와 다른 사이버 위협”
💡Editor’s Pick - 차세대 국가망 보안 체계 확립 기초를 튼튼히 해야 - 국가망 보안 체계 N2SF, 국가 안보 측면서 우선 고려 연구돼야 국가 기관망 타깃으로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대해 신국가망 보안 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윤흥구 한전 KDN부사장은 13일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에서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의
고도화된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 공개
💡Editor’s Pick - 국가 망 보안체계 신설·보안 통제 기술 구현 상세화·보안정책 변화 반영 - 기존 176개 항목에서 200~260여개로 확대...관리적 요소 반영 - 국정원 관계자, ”최신 보안기술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예정”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이 베일을 벗었다. 기존 가이드라인(Draft)을 보완하고 부록 1, 2가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Editor’s Pick -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 개최 - 새로운 국가망 보안 체계 N2SF중심으로 국가 기반 시설 보안 강화 논의 현 정부 국정 과제서 AI 사이버 보안이 추가 반영될 전망이다. 국가 기반 시설 보호 강화와 안전한 디지털 대한민국을 위해선 보안이 필수기 때문이다. 13일 여수 베네치아 호텔 & 스위트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Read more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Editor's Pick - APT 조직, 정부·기업·보안기업 13개 사이트 이메일 이용자 타깃 피싱 - 대검·KLID·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이메일·링네트·방첩사·라온· - 네이버·다음·한메일·디지털트러스트·인비즈넷·옴니원 데프콘에서 화이트 해커 2명이 공개한 APT 조직의 국내 해킹 파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또는 북한 추정

By CheifEditor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Editor's Pick - 줌 윈도용 클라이언트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에서도 심각한 취약점 나와 - 기업용 앱들은 보다 엄격히 관리해야 줌 클라이언트(Zoom Client)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FreeFlow Core)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초고위험도를 가진 것들도 존재한다. 줌과 제록스 두 회사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취약점들을

By 문가용 기자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Editor's Pick - 포티시엠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실제 공격 있다는 경고도...하지만 구체적 내용은 없어 - 취약점 정보, 덮고 숨기는 게 아니라 공유하고 패치해야 보안 업체 포티넷(Fortinet)이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을 패치하며, 고객들에게 “시급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취약점은 CVE-2025-25256이며, CVSS 기준

By 문가용 기자
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안랩,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Editor's Pick -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중소기업용 SaaS형 보안관리 솔루션 등 공급 - KISA 지역정보보호센터 홈페이지서 11월 말까지 신청 가능 안랩이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돼, 보안 제품과 서비스를 도입할 수요 기업을 모집한다. 이번 지원사업은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제품 지원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SECaaS, Security as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