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센더' 악성앱 일당, 파키스탄서 21명 체포

'하트센더' 악성앱 일당, 파키스탄서 21명 체포
Heartsender Seized from The Office of Public Affairs
💡
Editor Pick
- 파키스탄 '하트센더(Heartsender)'라는 서비스형 악성코드 조직이 적발되어 21명이 체포
- '하트센더'는 월 구독료를 받고 악성코드·피싱 공격 도구를 판매·유포
- 국제 공조 수사로 39개 관련 도메인과 서버 차단

사진 등 개인정보를 훔쳐 금품을 갈취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판매해 온 대규모 범죄 조직이 파키스탄에서 적발됐다. 파키스탄 연방수사청(FIA)은 '하트센더(Heartsender)'로 불리는 이 서비스를 운영한 혐의로 21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체포된 용의자들은 라호르, 카라치, 이슬라마바드 등 파키스탄 주요 도시에서 검거됐다. 이들 중 다수는 현지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하트센더'는 일종의 '서비스형 악성코드(MaaS)' 형태로 운영됐다. 범죄자들은 월 구독료를 내고 이 서비스를 이용해 자신들이 원하는 공격 대상에게 악성코드를 유포할 수 있었다.

악성코드는 정상적인 앱으로 위장해 스마트폰에 설치된 후, 사진, 영상, 문자 메시지, 통화 기록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탈취한다. 조직은 이 정보를 이용해 피해자에게 "돈을 보내지 않으면 훔친 사진을 인터넷에 유포하겠다"고 협박했다.

이 범죄 서비스는 최소 2년간 운영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00명 이상의 범죄자가 구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한 피해자는 수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파키스탄에서는 협박을 견디지 못한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적인 사건도 발생했다.

파키스탄 연방수사청은 이번 검거가 사이버 범죄에 대한 중요한 성과라고 발표했다. 또한 이번 수사가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강조하며, 국경을 넘나드는 사이버 범죄에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정교한 해킹 기술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서비스형 범죄(Crime-as-a-Service)'의 위험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악성코드가 상용화되면서 사이버 범죄의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진 것이다.

'하트센더'와 같은 악성코드 판매 서비스를 소탕하려는 국제 사법기관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과거에도 랜섬웨어나 피싱 공격용 도구를 판매하던 다수의 범죄 플랫폼이 폐쇄된 바 있으나, 유사한 서비스가 계속 등장하며 끊임없는 위협이 되고 있다.



Pakistani Hackers Launch Cyberattacks on Indian Defence Websites

Cyber Awareness Film FIA Cyber Crime Wing
Cyber Awareness Film FIA Cyber Crime Wing: Cyber Awareness Film FIA Cyber Crime Wing is a Pakistani animated short film based on Pakistan Federal Investigation Agency (FIA). Directed, Animated, Produced and written by DJ Kamal Mustafa.
Emerging Cyber Crimes in Pakistan A Case Study of | PDF | Security | Computer Security
The document discusses emerging cyber crimes in Pakistan, specifically online fraud through digital microloan apps. It analyzes interviews conducted with students from Pakistani universitie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such fraud. The study found this type of fraud to be common in Pakistan due to weak cyber laws, putting social media and app users at risk of cybercrime. It recommends increasing public awareness and strictly enforcing cybersecurity laws.

Read more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Editor's Pick - APT 조직, 정부·기업·보안기업 13개 사이트 이메일 이용자 타깃 피싱 - 대검·KLID·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이메일·링네트·방첩사·라온· - 네이버·다음·한메일·디지털트러스트·인비즈넷·옴니원 데프콘에서 화이트 해커 2명이 공개한 APT 조직의 국내 해킹 파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또는 북한 추정

By CheifEditor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Editor's Pick - 줌 윈도용 클라이언트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에서도 심각한 취약점 나와 - 기업용 앱들은 보다 엄격히 관리해야 줌 클라이언트(Zoom Client)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FreeFlow Core)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초고위험도를 가진 것들도 존재한다. 줌과 제록스 두 회사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취약점들을

By 문가용 기자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Editor's Pick - 포티시엠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실제 공격 있다는 경고도...하지만 구체적 내용은 없어 - 취약점 정보, 덮고 숨기는 게 아니라 공유하고 패치해야 보안 업체 포티넷(Fortinet)이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을 패치하며, 고객들에게 “시급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취약점은 CVE-2025-25256이며, CVSS 기준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