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AI 보안 운영 전환, 향후 36개월이 승부처”

IBM, “AI 보안 운영 전환, 향후 36개월이 승부처”
[이미지: IBM]
💡
Editor Pick
- AI 도입률 50% 증가 전망, 2028년까지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전환 예고
- 보안 책임자 64%, 2년 내 모든 IT 직원 AI 에이전트 사용 기대
-IBM, AI-중심 보안 운영 체계 구축 위한 로드맵 제시

 IBM 기업가치연구소(IBV)는 오늘 ‘사이버시큐리티 2028(Cybersecurity 2028)’ 보고서 발표를 통해 AI 기술이 사이버 보안 운영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3년이 기업 보안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세계 17개국 1,000여명의 보안 및 기술 임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AI 기반 보안 기술 채택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향후 3년간 AI 보조 기술은 50% 증가하고, 생성형 AI 기반 보안 기능의 활용은 63%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임원의 약 64%는 향후 2년 내 자사 IT 및 정보보호 조직 내 모든 직원이 AI 에이전트를 일상 업무에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IBM은 보안 전환의 진척도를 ‘크롤(Crawl)–워크(Walk)–런(Run)’ 세 단계로 구분한다. 현재 약 30% 기업이 AI 기반 자율 보안 운영을 실현하고 있는 ‘런’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며, 이들은 AI를 통해 위협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자동으로 정책을 조정하며, 대응 조치 수행 등 고도화된 보안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보고서는 AI 중심 보안 체계 구현을 위해 기존 보안 조직의 운영 모델을 전면 재설계하고, 기술 인프라와 인력 전략 간의 유기적 통합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많은 기업서 여전히 기술 도입보다 조직 문화와 인력 준비 상태가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영진의 82%는 AI 기능, 한계 및 책임감 있는 AI 사용에 능숙한 반면, 일선 직원의 53%만이 동일한 수준의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AI 전환의 추진력이 임원급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한편, IBM은 글로벌 자동차 열 에너지 관리 솔루션 기업 한온시스템(Hanon Systems)과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AI 기반 보안 전략을 실현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이어져 온 협력 바탕으로, IBM은 한온시스템 글로벌 운영 전반에 걸쳐 데이터 보호와 실시간 위협 대응 체계를 강화해왔다. 고도화된 보안 자동화 기술을 통해 빠르게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한온시스템은 IBM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 보안 수준에 부합하는 체계를 갖추고, 24시간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은 물론 고도화된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솔루션, 통합 계정·접근 관리(IAM) 시스템을 도입해 글로벌 운영 환경의 보안 일관성과 투명성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2025년 이후 IBM은 한온시스템의 보안 역량을 현재보다 한 단계 더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재웅 한국IBM 컨설팅 사이버보안서비스 사업총괄 상무는 “한온시스템에 AI 기반의 보안 대응 체계를 제공하는 IBM의 글로벌 엑스포스 위협 탐지 및 대응 서비스(TDR) 체계를 기반으로 위협 탐지 및 대응의 자동화와 보안 운영의 효율성과 민첩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한온시스템은 변화하는 보안 위협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글로벌 운영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BM은 최근 AI와 자동화를 활용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위협 추적, 분류, 조사 및 해결을 통해 보안 분석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사전 예측형 위협 인텔리전스 에이전트 (PTI)와 함께 에이전트형 AI 서비스인 자율 보안 운영 시스템(ATOM)을 공개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첨단 보안 솔루션을 갖춰 고객사들의 보안 고도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IBM-이화학연구소, IBM 퀀텀 시스템 투 가동
슈퍼컴퓨터 후가쿠와 연결해 양자 계산 성능과 정확도 강화 IBM은 일본 국립 연구기관 이화학연구소(RIKEN)와 함께 미국 외 지역에 IBM 퀀텀 시스템 투(IBM Quantum System Two)를 설치·가동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슈퍼컴퓨터 중 하나인 일본 후가쿠(Fugaku)와 함께 배치된 첫 양자컴퓨터라 의미가 크다. IBM 퀀텀 시스템
IBM,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 팬들 소통 창구 AI 기능 공개
💡Editor Pick - ‘매치 챗’ 통해 실시간 남녀 단식 경기 분석 및 인사이트 제공 - 경기 중 매 순간 반영되는 ‘승률 예측’ 기능 강화 IBM과 윔블던 테니스 대회 주관사인 AELTC(The All England Lawn Tennis Club)가 손을 맞잡고,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기능을 공개했다. 이번에
IBM,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로드맵 공개
💡Editor Pick - IBM, 퀀텀 로드맵 공개하고 2만배 이상의 처리 능력 예상 - IBM은 로드맵 통해 향후 구체적이 이정표 제시 현 양자 컴퓨터보다 2만 배 많은 작업 처리 가능한 시스템 구현 방법 제시 IBM이 대규모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9년에 선보일 IBM 퀀텀 스탈링(이하 ‘스탈링’)은

 

Read more

정부,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 발표

정부,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 발표

💡Editor Pick - 사이버 공간 국제규범 형성에 기여 - 사이버 선진국으로서 책임...향후 관련 논의 발전 토대 구축 우리 정부는 현지 시각 7일 뉴욕서 열린 제11차 유엔 정보안보 개방형실무그룹(Open Ended Working Group on ICTs) 실질회의(7.7-11) 계기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을 발표했다. 유엔

By CheifEditor
안랩,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갱신

안랩,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갱신

💡Editor Pick - 2022년 7월 최초 인증 후, 2025년 6월 인증 갱신 - ‘온실가스 배출량 제3자 검증 자발적 이행’ 등 긍정적 평가 안랩(대표 강석균)이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 인증 갱신 심사를 통과해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재인증을 취득했다고 8일 밝혔다. 안랩은 2022년 7월 ISO 14001 인증 획득 후, 2023년

By CheifEditor
토스플레이스-GS칼텍스, 사업 시너지 창출 위해 '맞손'

토스플레이스-GS칼텍스, 사업 시너지 창출 위해 '맞손'

💡Editor Pick - GS칼텍스 주유소에 일체형 토스프론트 결제 단말기 도입 - 토스 UI/UX 전문성과 GS칼텍스 플랫폼 역량 결합 토스플레이스(대표 최재호)가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와 주유 고객경험(CX) 혁신과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 전문성과 인프라를 결합해 주유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