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로드맵 공개

IBM,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로드맵 공개
[오류내성 양자컴퓨터 IBM 퀀텀 스탈링 렌더링 화면 <이미지: IBM>]
💡
Editor Pick
- IBM, 퀀텀 로드맵 공개하고 2만배 이상의 처리 능력 예상
- IBM은 로드맵 통해 향후 구체적이 이정표 제시

현 양자 컴퓨터보다 2만 배 많은 작업 처리 가능한 시스템 구현 방법 제시

IBM이 대규모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9년에 선보일 IBM 퀀텀 스탈링(이하 ‘스탈링’)은 뉴욕 포킵시에 위치한 새로운 IBM 퀀텀 데이터 센터에 구축될 예정이다. 현재 양자 컴퓨터보다 20,000배 더 많은 작업 수행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탈링 계산 상태를 표현하려면 강력한 슈퍼컴퓨터의 메모리 용량이 퀸데실리온(10^48) 이상 필요하다. 스탈링은 기존 양자 컴퓨터로는 접근할 수 없는 복잡한 양자 상태를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여러 대의 양자 컴퓨터를 운영하고 있는 IBM은 실용적인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퀀텀 로드맵을 공개했다. 

 IBM회장 겸 CEO 아빈드 크리슈나(Arvind Krishna)는 "IBM이 보유한 수학, 물리학, 공학 분야의 전문성은 대규모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를 실현할 기반을 마련했다"며 "이 컴퓨터는 현실 세계 문제 해결과 비즈니스에서 큰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대규모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는 수 백에서 수 천개의 논리 큐비트(logical qubit)를 사용해 수 억에서 수십억 개의 양자 연산을 처리하며 신약 개발, 재료 발견, 화학 및 최적화와 같은 분야에서 시간과 비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스탈링은 200개의 논리 큐비트를 사용해 1억 개의 양자 연산을 수행하며, 이후 2,000개의 논리 큐비트를 활용해 10억 개의 양자 연산을 실행할 수 있는 IBM 퀀텀 블루제이(IBM Quantum Blue Jay)의 기반이 될 것이다.

논리 큐비트는 오류 수정된 양자 컴퓨터에서 하나의 큐비트만큼의 양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여러 물리적 큐비트가 협력해 정보를 저장하고 서로의 오류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양자 컴퓨터도 큰 작업량을 오류 없이 실행하기 위해 오류 수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그룹으로 묶인 물리적 큐비트를 활용해, 기본 물리적 큐비트보다 오류율이 낮은 소수의 논리 큐비트를 생성한다. 그룹의 크기가 커질수록 논리 큐비트의 오류율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대규모 양자 컴퓨팅을 구현에 있어 핵심은 최대한 적은 수의 물리적 큐비트를 사용해 양자 회로를 실행할 수 있는 논리 큐비트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지금까지 과도한 기술적 자원 소모 없이 오류 내성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은 발표된 적이 없다.

새로운 IBM 퀀텀 로드맵은 오류 내성 능력을 입증하고 실행하기 위한 주요 기술적 이정표를 제시한다. 로드맵에 포함된 새로운 프로세서는 모듈형으로, 확장 가능하고, 오류 수정된 양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 IBM 퀀텀 룬(IBM Quantum Loon) (2025년 출시 예정): qLDPC 코드용 아키텍처 구성 요소를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칩 내에서 더 긴 거리의 큐비트를 연결하는 "C-커플러"를 포함한다.
  • IBM 퀀텀 쿠카부라(IBM Quantum Kookaburra) (2026년 출시 예정): 암호화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IBM의 첫 번째 모듈형 프로세서로, 양자 메모리와 논리 작업을 결합해 단일 칩을 넘어 확장 가능한 오류 내성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 빌딩 블럭을 구성한다.
  • IBM 퀀텀 코카투(IBM Quantum Cockatoo) (2027년 출시 예정): 두 개의 쿠카부라(Kookaburra) 모듈을 "L-커플러"를 사용해 얽히게 하며, 더 큰 시스템의 노드처럼 칩을 연결해 비현실적으로 큰 칩 제작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러한 발전 사항은 2029년 IBM 퀀텀 스탈링으로 완성될 예정이다.


Read more

서클차트, 6만5394건 개인정보 유출

서클차트, 6만5394건 개인정보 유출

💡Editor Pick -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주민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성별 등 유출 - 해커가 웹취약점 이용한 SQL인젝션 공격 통해 개인정보 유출 한국음악콘텐츠협회의 서클차트 사이트 회원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주민번호가 유출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용자는 피싱 등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비밀번호 변경 등 보안조치를 강화해야 한다. 개인정보는 해커가

By CheifEditor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가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By CheifEditor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