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보안 협의체, 정보보호기업 자율보안 수칙 개발 자문회의 개최

자율보안 협의체, 정보보호기업 자율보안 수칙 개발 자문회의 개최
[이미지 정보보호산업협회]
💡
Editor's Pick
- 기업 규모별 자율보안 수칙 개발 논의, 산업계 보안수준 향상 기반 마련
-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자율보안협의체 의장 김진수 트리니티소프트 대표는 휴네시온 사옥에서 자율보안 수칙개발 자문회의를 12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조영철 협회장, 휴네시온 정동섭 대표, 협의체 김진수 의장과 함께 산업계, 학계, 단체 소속 자문위원들이 참석해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했다.

회의에서는 국내⸱외 보안 가이드라인과 표준을 토대로, 정보보호기업의 규모와 환경에 맞춰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자율보안 수칙 개발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인증, 인력, 시스템, 운영 절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최소 보안기준과 실천방안을 구체화하며, 이를 통해 산업 전반의 보안 수준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실행 전략을 마련했다.

이날 김진수 협의체 의장은 “오늘 자문회의는 산업 현장의 현실과 여건에 맞추어 실효성 있는 보안 수칙을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말했으며 “협의체 회원사들이 자율적으로 준수할 수 있는 기준을 통해 정보보호산업계의 보안 수준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조영철 KISIA 회장은 “정보보호기업을 겨냥한 위협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상황에서 산업계 스스로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번 수칙개발 자문회의는 민간 주도의 실천적 대응과 정보보호기업의 보안 강화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협의체는 지난 4월 15일, 증가하는 정보보호기업 대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발족됐으며 현재 김진수 의장의 주도 아래 45개 회원사(‘25년 8월 기준)가 참여중이다. 협의체는 자율보안협의체 솔루션 공동기증 협약 체결 등 정보보호 인식 제고와 산업계 보안 수준 향상을 목표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향후 자율보안 협의체 공급기업 대상 솔루션 지원과 함께 릴레이 캠페인 등의 활동을 협력기업들과 함께 진행해나갈 예정이다.


KISIA, ’2025년 정보보호산업 투자피칭 행사′ 개최
💡Editor Pick - 정보보호기업 역량강화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기업과 VC 만남의 장 - 정보보호 스타트업 7개사 대상으로 투자피칭 진행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는 4일 정보보호클러스터(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기업지원허브 혁신기술존)에서 ‘2025년 정보보호산업 투자피칭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정보보호기업과 보안 스타트업의 투자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정보보호산업 내 투자활성화를 목표로 기획됐다. 행사에선 참석자
김창오 IITP PM, ”수요기반 R&D 중요...현장서 필요한 기술 검토할 것”
💡Editor Pick - 자율보안 협의체, IITP와 함께 정보보호 R&D 수요 간담회 개최 - 현장 기술적 수요와 정책적 건의사항 등 논의 - 정보보호 관련 R&D 수요 및 의견 수렴 통해 신규 과제 기획 발판 마련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자율보안협의체 의장 김진수 트리니티소프트 대표는 김창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 IITP) 정보보안 PM과 함께 정보보호

Read more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Editor's Pick -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 개최 - 새로운 국가망 보안 체계 N2SF중심으로 국가 기반 시설 보안 강화 논의 현 정부 국정 과제서 AI 사이버 보안이 추가 반영될 전망이다. 국가 기반 시설 보호 강화와 안전한 디지털 대한민국을 위해선 보안이 필수기 때문이다. 13일 여수 베네치아

By CheifEditor
유럽 경찰 무전기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서 취약점 다수 나와

유럽 경찰 무전기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서 취약점 다수 나와

💡Editor's Pick - 유럽 무전기 통신, 테트라 기반 - 테트라서 2년 만에 여러 취약점 발굴돼 - 한국에서는 테트라 사용 않지만...상응하는 프로토콜 연구 필요 무전 통신 표준인 테트라(TETRA)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취약점을 익스플로잇 하면 무차별 대입 공격과 재생 공격이 가능해지며, 암호화 된 트래픽을 해독하는 위험성도

By JustAnotherEditor
삼성월렛 10주년, AI 기술 결합해 맞춤형 서비스 강화

삼성월렛 10주년, AI 기술 결합해 맞춤형 서비스 강화

💡Editor's Pick - 진화된 모바일 결제 생태계 구축 계획 - AI 기술 결합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강화, 고객 경험 자동화, 지능화 계획 삼성전자 통합 디지털 지갑 서비스 ‘삼성월렛’이 올해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했다. 삼성월렛은 그동안 모바일 결제 기능을 넘어 ▲교통카드 ▲멤버십 ▲계좌 관리 및 이체 ▲항공권·티켓 ▲모바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