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체포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체포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추정 쉬저웨이 체포
- 다양한 국가 산업 대상으로 제로데이 및 엔데이 취약점 악용 공격

현지시간 지난 3일,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서 중국 연계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Silk Typhoon, UNC5221) 일원으로 추정되는 ‘쉬저웨이(Xu Zewei, 33세)’가 체포됐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에 따르면, 실크 타이푼은 다양한 국가와 산업을 대상으로 제로데이(Zero-day) 및 엔데이(N-day) 취약점을 모두 악용하는 공격을 일삼았다.

이 그룹은 엣지 디바이스를 겨냥한 수동 백도어 설치부터 트로이 목마 공격까지 광범위한 툴을 활용해 온 공격했다. 이번에 체포된 해커는 코로나19 연구 공격에 가담했다.

존 헐트퀴스트(John Hultquist)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수석 애널리스트는 “이번 체포는 10년 넘는 기간 동안 상징적인 경고에 그쳤던 현실에 마침표를 찍은 것과 같다”며 “그동안 해킹에 가담한 공격자가 법정에 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여겨졌던 통념이 깨진 인내의 결실” 이라고 밝혔다. 

물론 수십 명 해커로 구성된 그룹은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지속할 것이다. 때문에 이번 체포 영향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을 수 있다. 국가 지원 해킹 그룹이 작전을 중단하거나 크게 둔화되지는 않을 거란 뜻이다.

하지만 이번 체포는 작전 참여하려는 해커들에게 경각심과 범죄 가담 재고가 될 수 있다.

체포된 해커는 코로나19 연구 표적 공격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확산 후, 대다수 사이버 스파이 공격자는 코로나19와 관련자를 대상으로 공격 방향을 전환했다. 북한, 중국, 러시아, 이란과 연계된 공격자들은 코로나19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부, 학계, 생명공학 기관을 겨냥한 바 있다.

존 헐트퀴스트는 “체포자는 풍부한 자원과 막강한 공격력을 보유한 공격 그룹 ‘실크 타이푼’과도 연계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UNC5221로도 알려진 이들은 제로데이 취약점을 반복적으로 악용하고 공급망 공격을 통해 기술 기업을 침해하는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스캐터드 스파이더 해커, 호주 콴타스 항공에 이어 보험사 타깃 공격
💡Editor Pick - 스캐터드 스파이더, 통신에서 최근 기술, 금융, 소매 등 고가치 산업 공격 - 데이터 탈취 및 랜섬웨어 배포 통해 금전적 이득 집중 - 지난 6월 주요 보험 회사 업무 지원 센터와 콜센터 대상 표적 공격 지난 28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사이버 공격 그룹 ’스캐터드 스파이더(
이스라엘 연계 추정 해커, 이란 국영 ‘세파’은행 데이터 파괴 주장
💡Editor Pick - Predatory Sparrow가 이란 국영은행 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 파괴 - Predatory Sparrow는 과거 이란 철강 공장, 주유소 결제망 마비 등, 작전 수행 이스라엘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곤제시크 다란데(영어명 Predatory Sparrow)’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란 국영은행 세파(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중국어 사용 공격자, 국내 서버 공격
최근 국내 웹 서버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포착됐다. 공격자는 네트워크 장악 시도를 위해 악성코드로 시스템을 감염시켰다. 네크워크가 장악될 경우 민감한 정보 탈취나 랜섬웨어에 감염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철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공격자는 웹쉘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라돈(Ladon) 도구를 악용, 수퍼쉘(SuperShell)과 메쉬에이전트(MeshAgent)를 설치해 감염 시스템을 제어했다. 라돈은
[칼럼]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가능?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적 발전과 우리의 과제” [최성환 한화시스템 전문위원/전 공군 우주센터장] 최근 중국이 저궤도에서 사람의 얼굴 특징까지 식별 가능한 강력한 스파이 위성을 개발했다는 소식은 전 세계 우주안보 전문가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우주기반 관측위성의 감시 역량 향상을 넘어, 미래 정보전의 판도를 바꿀

Read more

단 하나 패킷으로 스마트폰 마비...보안 취약점 '수두룩'

단 하나 패킷으로 스마트폰 마비...보안 취약점 '수두룩'

💡Editor Pick - KAIST, 단 하나 패킷으로 스마트폰 마비 시킬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찾아 - 스마트폰 15종서 11개 취약점 발견, 7개 패치 적용했지만 4개는 미공개 - 이동통신 모뎀 보안 테스팅 표준화 필요, 보안점검 체계 진화해야 애플, 삼성전자, 구글, 샤오미 등 글로벌 제조사 상용 스마트폰 15종에서 총 11개의 취약점을 발견됐다.

By CheifEditor
[칼럼] 보안 패러다임 전환 요구 시대!

[칼럼] 보안 패러다임 전환 요구 시대!

💡Editor Pick - SKT 해킹사태, 정확한 공격 경로 파악 여러가지로 어려워 - 예스24, SGI서울보증, 어떻게 랜섬웨어 감염됐는지 경로 분명치 않아 - 인식 전환과 함께 실질적 보안 패러다임 전환시켜야 [칼럼 박형근 시큐리티플러스 커뮤니티 대표] 날씨도 무더운데 잇따른 크고 작은 보안 사고 소식에 연일 뉴스가 뜨겁다. 그중 두드러진 3가지 보안 사고라면 SK텔레콤,

By CheifEditor
"MS 계정 탈취 피싱, 기존과 다른 수법이 떴다"

"MS 계정 탈취 피싱, 기존과 다른 수법이 떴다"

💡Editor Pick - '제품 구매 확인 메일'로 위장 접근...실제 기업 웹사이트 URL 활용 - 첨부파일 엑셀로 착각하도록 속이고, 2013년 등록된 12년차 도메인 활용 구매 주문 확인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포착돼 이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피싱 메일은 특정 기업 관계자로 위장해, 제품 구매 확인을 빌미로 첨부 파일 열람을

By CheifEditor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처리자 인터넷망 차단조치 규제 개선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처리자 인터넷망 차단조치 규제 개선

💡Editor Pick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 개정 - 개인정보처리자 처리환경 고려, 위험분석 통해 인터넷망 차단 차등 적용 인터넷망 차단 조치가 개인정보 처리환경에 따라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 개정안을 21일부터 8월 9일까지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고시 개정안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기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