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체포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체포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중국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 일원 추정 쉬저웨이 체포
- 다양한 국가 산업 대상으로 제로데이 및 엔데이 취약점 악용 공격

현지시간 지난 3일,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서 중국 연계 해킹 그룹 ‘실크타이푼(Silk Typhoon, UNC5221) 일원으로 추정되는 ‘쉬저웨이(Xu Zewei, 33세)’가 체포됐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에 따르면, 실크 타이푼은 다양한 국가와 산업을 대상으로 제로데이(Zero-day) 및 엔데이(N-day) 취약점을 모두 악용하는 공격을 일삼았다.

이 그룹은 엣지 디바이스를 겨냥한 수동 백도어 설치부터 트로이 목마 공격까지 광범위한 툴을 활용해 온 공격했다. 이번에 체포된 해커는 코로나19 연구 공격에 가담했다.

존 헐트퀴스트(John Hultquist)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수석 애널리스트는 “이번 체포는 10년 넘는 기간 동안 상징적인 경고에 그쳤던 현실에 마침표를 찍은 것과 같다”며 “그동안 해킹에 가담한 공격자가 법정에 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여겨졌던 통념이 깨진 인내의 결실” 이라고 밝혔다. 

물론 수십 명 해커로 구성된 그룹은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지속할 것이다. 때문에 이번 체포 영향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을 수 있다. 국가 지원 해킹 그룹이 작전을 중단하거나 크게 둔화되지는 않을 거란 뜻이다.

하지만 이번 체포는 작전 참여하려는 해커들에게 경각심과 범죄 가담 재고가 될 수 있다.

체포된 해커는 코로나19 연구 표적 공격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확산 후, 대다수 사이버 스파이 공격자는 코로나19와 관련자를 대상으로 공격 방향을 전환했다. 북한, 중국, 러시아, 이란과 연계된 공격자들은 코로나19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부, 학계, 생명공학 기관을 겨냥한 바 있다.

존 헐트퀴스트는 “체포자는 풍부한 자원과 막강한 공격력을 보유한 공격 그룹 ‘실크 타이푼’과도 연계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UNC5221로도 알려진 이들은 제로데이 취약점을 반복적으로 악용하고 공급망 공격을 통해 기술 기업을 침해하는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스캐터드 스파이더 해커, 호주 콴타스 항공에 이어 보험사 타깃 공격
💡Editor Pick - 스캐터드 스파이더, 통신에서 최근 기술, 금융, 소매 등 고가치 산업 공격 - 데이터 탈취 및 랜섬웨어 배포 통해 금전적 이득 집중 - 지난 6월 주요 보험 회사 업무 지원 센터와 콜센터 대상 표적 공격 지난 28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사이버 공격 그룹 ’스캐터드 스파이더(
이스라엘 연계 추정 해커, 이란 국영 ‘세파’은행 데이터 파괴 주장
💡Editor Pick - Predatory Sparrow가 이란 국영은행 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 파괴 - Predatory Sparrow는 과거 이란 철강 공장, 주유소 결제망 마비 등, 작전 수행 이스라엘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곤제시크 다란데(영어명 Predatory Sparrow)’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란 국영은행 세파(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중국어 사용 공격자, 국내 서버 공격
최근 국내 웹 서버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포착됐다. 공격자는 네트워크 장악 시도를 위해 악성코드로 시스템을 감염시켰다. 네크워크가 장악될 경우 민감한 정보 탈취나 랜섬웨어에 감염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철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공격자는 웹쉘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라돈(Ladon) 도구를 악용, 수퍼쉘(SuperShell)과 메쉬에이전트(MeshAgent)를 설치해 감염 시스템을 제어했다. 라돈은
[칼럼]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
“100km 위에서 얼굴 식별가능? 중국 스파이 위성 충격적 발전과 우리의 과제” [최성환 한화시스템 전문위원/전 공군 우주센터장] 최근 중국이 저궤도에서 사람의 얼굴 특징까지 식별 가능한 강력한 스파이 위성을 개발했다는 소식은 전 세계 우주안보 전문가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우주기반 관측위성의 감시 역량 향상을 넘어, 미래 정보전의 판도를 바꿀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