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89%, 기술 유출 타깃 이유

중소기업 89%, 기술 유출 타깃 이유
[이미지 이스트시큐리티]
💡
- 보안 투자 여력, 전담 인력, 사후 대응 체계 부재, 관행 중심 업무 문제

2020~2024년 국내에서 발생한 산업기술 유출 사건의 89%는 중소기업에서 발생했다. 2022년 기준, 산업기밀 유출 피해의 78% 중소기업에 집중됐다. 최근 5년간 해외 기술 유출 시도는 97건, 그로 인한 추정 피해액은 무려 23조원에 달한다.

중소기업이 기술 유출의 주요 표적이 되는 이유로 보안 인프라의 한계, 전담 인력 부족, 사후 대응 체계 부재, 관행 중심의 업무 방식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대해 이스트시큐리티는 보안 인프라의 한계는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투자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전담 인력 부족도 문제다. KISIA 조사 기준 보안 담당자 1명이 평균 27개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사후 대응 체계 부재는 유출 발생 시 초동 대응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행 중심의 업무 방식은 편의성 위주의 파일 공유와 보안 미적용으로 사고 발생을 야기 시킨다.

보안이 약한 구조일수록 침입은 더 빠르고 유출은 더 조용하게 일어난다. 특히 인력 이직, 협력사와의 파일 공유, 물리적 저장장치 사용 등 일상적인 업무 과정이 유출 경로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사례로 보는 문서 유출 유형을 살펴보면 퇴사자가 이직 직전, 설계도면과 R&D 파일을 USB 및 개인 이메일로 외부 반출,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가진 내부자가 타인 계정에 접근, 대량의 기술 자료를 외부 저장장치로 복사, 협력업체와 주고받은 문서가 별도 암호화 없이 유출되어 경쟁사에 전달하는 경우다.

이러한 유출 사고는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손실로 이어지며, 기업의 기술력과 시장 신뢰도까지 동시에 위협한다. 대부분의 기술 유출은 개인 PC, USB, 개인 클라우드에 분산 저장된 문서에서 시작된다.

이스트시큐리티는 "모든 중요 문서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별 접근 권한과 반출 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기술 유출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며 "개별 PC와 물리적 매체에 분산된 문서 구조를 통합해 문서 자산의 체계적 보호와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SK쉴더스, 최근 3년 사이버 침해사고 중소기업 비율 82.7%
💡Editor Pick - “中企 , 예산·인력 부족으로 대응 어려워” - 중소기업 환경에 맞춘 특화 구독형 사이버보안 서비스 지원 최근 3년간 국내 사이버 침해사고 10건 중 8건은 중소기업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신고된 4,306건 중 중소기업이 3,563건(82.7%)을 차지했다. 중견기업은 339건(7.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