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보안메일 인증 위장 LNK 주의!

- 악성 LNK, 카드사 보안메일 인증창 위장해 사용자 정보 탈취
- 크롬, 엣지 등 브라우저 정보 탈취, 구글, 페이스북 정보탈취, 파일 유출
최근 카드사 보안메일 인증창을 위장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LNK 파일이 유포된 정황이 포착됐다. 확인된 악성 LNK 파일은 카드사를 위장한 파일명을 갖고 있어 이용자가 쉽게 속을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LNK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 DLL 파일(sys.dll)과 악성 파일 다운로드 URL이 포함된 텍스트 파일(user.txt)이 생성 및 악성 행위가 발현된다. 특히 공격자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DLL을 메모리에 매핑했다. 이는 악성코드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법이다.
악성코드는 정보 탈취(Infostealer), 백도어 유형이며, 크롬, 엣지 등 브라우저 정보 탈취, 구글, 야후, 페이스북, 아웃룩 정보탈취, 파일목록 수집, 파일 등을 유출한다.
안랩은 22일 "정상적인 문서나 메일로 위장한 악성 LNK 파일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며, "사용자로 하여금 의심 없이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신뢰도가 높은 기관을 모방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Related Materials
- LNK or Swim: Analysis & Simulation of Recent LNK Phishing - Splunk, 2024년
- ZDI-CAN-25373 Windows Shortcut Exploit Abused as Zero-Day in ... - Trend Micro, 2025년
- Hackers Weaponizing Windows shortcut files for Phishing - GBHackers, 2024년
- LNK Files And SSH Commands: A New Cyber Attack Trend In 2024 - The Cyber Express, 2024년
- Stealthy Cyber Attacks: LNK Files & SSH Commands Playbook - Cyble,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