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자치경찰제, 이재명 정부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야!

[칼럼] 자치경찰제, 이재명 정부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야!
[이미지: 박동균 대구한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Editor Pick
- 7월 1일, 경찰 역사상 처음으로 자치경찰제 공식 시행
- 첫 시행부터 지금까지 제도상 한계 봉착...정체 현상 넘어서야
- 국가경찰, 자치경찰 각 분야서 더 잘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

[칼럼 박동균 대구한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제1기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상임위원]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매년 7월 1일을 ‘대구 자치경찰의 날’로 지정했다. 이를 기
념하기 위해 작년 7월 1일에 대구시청 산격청사 대회의실에서 지정·선포식을 가졌다.

이에 앞서, 대구광역시는 2021년 5월 20일 자치경찰위원회 출범과 함께 자치경찰제를 시범 실시했다. 그 해 7월 1일부터는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경찰 창설 이후 76년 만에 시행된 자치경찰 제도다.

처음 의도했던 국가경찰과 분리되어 적절한 책임과 권한을 가진 자치경찰(이원형 자치경찰제)이 아닌 ‘자치경찰관’이 없는 자치경찰제, 국가경찰관이 수행하는 자치경찰 사무(일원형 자치경찰제)로 출범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법률적 한계가 있는 제도 속에서도 지난 4년간 대구형 자치경찰은 시민안전을 위해 많은 성과를 냈다.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경찰청과 과학치안진흥센터가 주관하는 ‘2023 자치경찰 수요기반 지역문제 해결 R&D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5년간 32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는 이 사업은 경찰 분야에서는 대형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자치경찰의 주요한 목적인 시민안전을 위해서는 CCTV, 첨단 AI, 드론 등 첨단 과학치안이 중요하다. 이 사업은 야간에 여성이나 청소년들이 귀갓길에 최단 거리 안심 루트를 알려주고, 위험한 구간에는 드론이 떠서 안내해 주는 디지털 순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곧 전국적으로 파급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제는 이제 5살이다. 이제는 슬슬 뛰기 시작해야 한다. 강조하건대, 사회적 약자 보호, 교통안전과 생활안전 같은 자치경찰 업무는 국가경찰보다 자치경찰이 더 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주민자치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예산과 인력, 시설 측면에서 인프라가 튼튼하고, 여기에 경찰행정이 합쳐지니까 상승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앞으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을 이원화해서 자치경찰을 활성화해야 한다. 그 첫 번째 단계로 국가경찰 소속인 파출소와 지구대를 자치 경찰 소속으로 환원해야 한다. 이것은 법률 개정 사항도 아니다. 당장 시행할 수 있다는 말이다. 앞으로 국가경찰, 자치경찰 각각의 분야에서 더 잘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내에서 소외된 주민들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 후 이들에 대한 따뜻한 맞춤형 치안·복지정책이 필요하다. 묻지마 흉악범죄나 고독사, 층간 소음, 자살 등에 대해서도 자치경찰을 중심으로 한 시민과의 공동체 노력이 중요하다.

[칼럼_ 박동균 대구한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제1기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상임위원]

″이재명 정부 경찰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이재명 신정부의 경찰개혁을 위해선 국민 인권 보호를 위한 민주적인 통제가 필요하다는 의견 제기됐다. 그러기 위해선 경찰개혁 과정에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을 이원화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박동균 교수는 14일 ‘이재명 정부 경찰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대구 한방의료체험타운 세미나실서 개최된 특별기획세미나에서 ”앞으로 경찰 수사권의 확대, 자치경찰 제도의 활성화 등 조직과 인력 등에서

Read more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Editor Pick - 캐나다 GIS 기업들, AI·ML 통한 실시간 공간분석 시스템 구축 - 월 100만 건 API 호출 처리, 400여 개 센서 데이터 통합 분석 - 주민 참여형 softGIS로 범죄 예방·재난 대응 효과 입증 캐나다의 공간정보시스템(GIS) 기술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하면서 공공안전 분야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By CheifEditor, Donghwi Shin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Editor's Pick - 외신 테크크런치, 세이버와 사이보그 인터뷰 - 신원과 해킹 기법은 한동안 미공개일 예정 - 앞으로도 이어질 '해커 해킹'...불법이긴 하지만 얼마 전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8.9GB 데이터 때문에 잠시 소란스럽다가 갑자기 잠잠해진 일이 있었다. 이 데이터는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

By 문가용 기자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Editors Pick - 보안, 스스로를 좀 더 드러내야 - 위험만 전파하니 효과 미미... 즐거움을 전파하면 어떨까 - 어떻게 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다가가는 게 보안의 필연 요즘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연일 대형 보안 사고 소식이다. 주요 통신사와 금융 조직, 굵직한 정부기관들과 전 국민이 알 법한 민간 사업체들까지, 그간 만만히

By 문가용 기자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Editor's Pick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수키 국내 해킹자료 분석 및 시사점 발표 - 국내 해킹 자료 공개한 프랙 문서 내용 보강, 새로 발견된 추가 내용 공개 최근 국내 정부와 기업을 해킹한 북한 김수키 추정의 공격 실체가 공개된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은 22일 오후 3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정운오교양관 404호에서 'Kimsuky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