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가게임즈, 과징금 9천370만원 받아

쿠가게임즈, 과징금 9천370만원 받아
[이미지: 쿠가게임즈 사이트]
💡
Editor Pick
- 쿠카게임즈, 이벤트 당첨자 대상으로 주민등록번호 41건 수집
- 적법 근거 없이 주민등록번호 처리 제한 규정 위반
- 잡보스, 적법 근거 없이 피고용자 575명 주민등록번호 수집...시정명령

개인정보 보호 법규를 위반한 쿠카게임즈가 과징금 9천 370만원, 잡보스가 시정명령을 받았다.

쿠카게임즈: 과징금 9천 370만원 부과, 시정명령

글로벌 게임회사인 쿠카게임즈는 모바일 게임인 ‘삼국지 전략판’을 운영하면서 이벤트를 진행하고, 이벤트 당첨자를 대상으로 이름, 주소, 연락처와 함께 주민등록번호 41건을 수집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쿠카게임즈는 이벤트 경품으로 주류 지급을 위해 경품 지급 대상의 ‘연령’을 확인하고자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했다고 소명했다.

그러나, ‘보호법’에 따르면 주민등록번호는 대통령령 이상의 법령에서 구체적으로 처리를 요구·허용한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만 처리를 허용하고 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주민등록번호 처리 제한을 규정한 보호법 제24조의2 제1항 위반으로 쿠카게임즈에 과징금 9,370만원을 부과, 앞으로도 적법 근거 없이 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하지 않도록 시정명령했다.

잡보스 : 시정명령

잡보스는 고용주들의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잡보스’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직원 등 피고용자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했다. 해당 웹사이트에서 고용주가 피고용자에 대한 리뷰 게시물을 작성할 때는 피고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필수로 입력해야하고, 다른 고용주가 작성한 리뷰 게시물을 검색할 때도 해당 직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 개인정보위는 잡보스가 쿠카게임즈와 마찬가지로 적법한 근거 없이 피고용자 575명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한 사실을 확인하고 주민등록 처리에 관한 보호법을 준수하도록 시정명령했다. 다만, 잡보스가 현재 폐업하였으며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점 등 재정상황을 고려, 과징금은 부과하지 않도록 의결했다. 

또한 이와 별도로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제1항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제한 위반으로 회사 및 대표자에 각각 벌금 1천만원이 부과됐다.

 개인정보위는 "주민등록번호는 유출 시 다른 개인정보에 비해 정보주체에게 미치는 피해와 사회적 문제가 심각할 수 있다"며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가 법령에 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가 없다면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처리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전북대·이화여대, 개인정보 유출 과징금 총9억 6,600만원 부과받아
개인정보위, 전북대 6억 2,300만원, 이화여대 3억 4,300만원 부과 주말‧야간 포함 24시간 유출 탐지‧차단 체계 운영 시정명령도 부과 개인정보를 유출한 전북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가 개인정보보호법(이하 ‘보호법’) 위반으로, 총 9억 6,600만원 과징금과 540만원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전북대학교는 32만여명 유출로 6억 2,300만원, 이화여자대학교는 8만 3천여명 유출로 3억 4,
비와이엔블랙야크·한국토픽교육센터, 총 14억1,400만원 과징금 받아
💡Editor Pick - 해커, SQL 인젝션 공격해 비와이엔블랙야크 342,253명 개인정보 탈취 - 해커, 한국토픽교육센터 84,085명 개인정보 탈취해 텔레그램에 공개 의류 판매 서비스 업체 비와이엔블랙야크와 온라인 교육 콘텐츠 서비스 업체 한국토픽교육센터가 총 14억 1,400만원 과징금과 270만원 과태료, 공표 명령을 받았다. 개인정보위는 9일 제15회 전체회의를 열고 비와이엔블랙야크에 과징금 13억
개인정보 유출된 머크·온플랫·디알플러스 총 1억 1,242만원 과징금
신규 서비스 출시 전 취약점 점검 철저, 웹 취약점도 지속 주의 당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머크, 온플랫, 디알플러스 3개 사업자가 총 1억 1,242만원의 과징금, 1,440만원 과태료, 시정명령 및 결과 공표를 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6월 11일(수) 제13회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이 의결했다. 머크, 과징금 8,

Read more

인디게임 사용자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 “영리한 진화”

인디게임 사용자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 “영리한 진화”

💡Editor's Pick - 있지도 않은 인디게임을 유튜브와 디스코드로 광고 - 사실은 크리덴셜 수집하는 정보 탈취 멀웨어 - 미끼가 되는 게임은 전혀 개발하지 않아...오로지 마케팅만 인디게임 사용자들을 노리는 크리덴셜 탈취 캠페인이 발견됐다. 이 캠페인에 유튜브와 디스코드까지 악용됐다. 보안 업체 아크로니스(Acronis)의 분석가들이 공개한 것으로, 공격자들이 원하는 건

By JustAnotherEditor
애플, 이란인 다수에게 “아이폰 정부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전 세계 150개국서 위협 통지

애플, 이란인 다수에게 “아이폰 정부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전 세계 150개국서 위협 통지

💡Editor Pick - 아이폰 사용 이란인 대상 스파이웨어 공격 경고 및 감염 확인 - DarkCell 분석 결과 스파이웨어 제작사 특정 실패 - 국가 차원의 스파이웨어 공격에 대한 애플의 위협 통지 애플이 최근 1년간 이란인 수십 명에게 아이폰이 정부 배후 스파이웨어에 노출됐다는 ‘위협 통지(threat notification)’를 보낸 사실이 보안 전문

By CheifEditor, Donghwi Shin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후 ‘매시스턴트’로 GPS·문자·사진까지 싹쓸이…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실체 드러나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후 ‘매시스턴트’로 GPS·문자·사진까지 싹쓸이…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실체 드러나

💡Editor Pick - 중국 공안 휴대폰 압수 이후 내부 정보 수집 - iOS 변종 가능성까지도 제기되고 있음 중국 공안이 압수한 휴대폰에서 위치정보·문자·이미지 등 민감 데이터를 무단 추출할 수 있는 신형 모바일 포렌식 도구 ‘매시스턴트(Massistant)’의 작동 방식과 배경이 공개됐다. 해당 도구는 MFSocket의 후속 버전으로, 전자증거 수집·정보보안

By CheifEditor, Donghwi Shin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내부 운영 지갑 해킹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내부 운영 지갑 해킹

💡Editor Pick -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유동성 공급계정 해킹 피해 - 회사 유동성 공급계정에 대한 패킹으로 고객 지갑에 영향 없음 인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가 내부 유동성 공급용 계정이 해킹돼 약 4,420만 달러(약 579억 원)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고 21일 밝혔다. CoinDCX에 따르면 피해를 입은 지갑은 외부 파트너

By CheifEditor, Donghwi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