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美 AI 로봇기업 ‘스킬드 AI’와 협력

LG CNS, 美 AI 로봇기업 ‘스킬드 AI’와 협력
[이미지: LGCNS]
💡
Editor Pick
- LG CNS,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 위해 Skild AI와 MOU
- CNS의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솔루션과 Skild AI 기술 접목
- VC LG테크놀로지벤처스 통해 MOU 추진

스킬드 AI 로봇 파운데이션 확보 위해 투자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 개발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등 적용 가능한 AI 로봇 통합 서비스 제공
반복, 고강도, 유해환경 작업에 AI 로봇 도입 ··· 산업 현장 지능화·자동화 혁신

LG CNS(대표 현신균)가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에 나선다.

LG CNS는 미국 AI 로봇기업 ‘스킬드 AI(Skild AI)’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 투자도 단행했다. 이번 투자는 LG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통해 이뤄졌다.

스킬드 AI는 AI 로봇 분야서 주목받는 글로벌 톱 티어 AI 로봇기업으로 꼽힌다. 스킬드 AI의 핵심 기술은 로봇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이다. 이 모델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물체를 조작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고도화된 작업을 가능케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LG CNS는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은 공장 설비 모니터링과 운영, 제품 조립, 유해물질 투입, 물류센터의 물품 피킹·적재 작업 등 반복적이고 고강도며, 위험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심 환경에서는 노약자 케어, 순찰 업무 등 서비스형 로봇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LG CNS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의 고객을 대상으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LG CNS가 자체 개발한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솔루션 △로봇 하드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경우, 로봇 제조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상무는 “글로벌 톱 로봇 AI 기업인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LG CNS의 로봇 솔루션 기술력을 결합해 최고의 지능형 AI 로봇 서비스 기업이 되겠다”며, “AI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고객의 업무를 지능화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것”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연평균 50.2%씩 고성장해, 2035년까지 약 380억달러(약 53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LG전자, AI 기능 탑재 전자칠판 내달 출시
💡Editor Pick - LG전자, AI 기능 탑제한 전자칠판 신제품 출시 - LLM 기반 챗봇, AI 마인드맵, 서클 투 서치 등 다양한 AI 기능 예상 - 전자칠판은 Microsoft Windows, Android, iOS 무선 연결 지원 - 미국 ISTE2025에서 신제품 및 전자칠판 라인업 소개 영상 자료 요약, 수업 실시간 번역, 손 글씨 수식
‘AI안보, AI산업경쟁력이다!’ 컨퍼런스 개최
‘AI안보, AI산업경쟁력이다!’ 주제로 AI기술 안전성과 보안성,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조인철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사이버안보연구소와 숭실대 AI안전성연구센터가 공동 주관한 이번 컨퍼런스는 19일 오후 2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기술·법제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진다. 이날 컨퍼런스는 이상용 KIM & CHANG IT수석이 ’AI안전성 확보를 위한

Read more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칼럼] SW 공급망 보안 강화, ‘디지털 면역체계’ 구축해야

💡Editor’s Pick - 유기적인 취약점 관리와 정보 공유로 자율보안 생태계 조성해야 - SW 공급망 보안, 생존 문제로 고객 신뢰와 기업 경쟁력 담보 핵심 가치 [칼럼 장운영 금융보안원팀장]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취약점 관리는 보안 생태계 전반의 체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금융보안원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보안 강화 전략을

By CheifEditor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 이중 갈취 전략으로 전세계 기업 노려

💡Editor’s Pick - 미국, 일본, 태국, 홍콩, 영국 등 전세계 기업 타깃으로 이중 협박 - 협상 위해 ProtonMail, OnionMail, Telegram 채널 등 통신 채널 제공 이중갈취로 전세계 기업을 노리는 나이트스파이어 랜섬웨어가 활개를 치고 있어 기관과 기업의 주의가 요구된다. 나이트스파이어(NightSpire)는 DLS(Dedicated Leak Sites) 사이트를 운영하며, 피해 정보와

By CheifEditor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인터록 랜섬웨어, 기업 타깃 공격...데이터 복구 어려워"

💡Editor’s Pick - 암호화 정교함과 효율성 높인 구조 설계로 데이터 복구 어렵게 해 - 로컬 환경서 남은 흔적만으론 복호화 할 수 없도록 악성코드 설계 데이터 복구를 어렵게 만든 인터록 랜섬웨어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록(Interlock) 랜섬웨어 암호화 과정은 OpenSSL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고성능 암호화 처리와 키 관리 기능을

By CheifEditor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누리랩, 가짜 PASS 인증 피싱 시도 증가

💡Editor’s Pick - 신뢰도 높은 본인 인증 서비스 PASS 앱 모방해 개인 정보 탈취 - 평소 자주 사용 인증 서비스, 공식 앱인지 반드시 확인 중요 누리랩이 28일 본인 인증 서비스인 PASS 앱을 모방한 피싱 시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누리랩의 AI 기반 안티 피싱 솔루션 ‘에스크유알엘(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