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이미지 모니터랩]
💡
Editor Pick
- 국내·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대응 전략,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 발간
- 고객사 인프라 로그 데이터 수집, 위협 정보 반영 보안 인사이트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업 모니터랩은 국내 및 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와 대응 전략을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를 통해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부터 매월 발간되는 보고서는 모니터랩의 AI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ILabs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신 웹 취약점 분석, 산업별 주요 공격 패턴, 보안 대응 전략 등을 체계적으로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모니터랩 웹 공격 동향 보고서는 직접 심층분석·제작한 콘텐츠로, 클라우드 및 어플라이언스 형태의 웹 방화벽 솔루션을 사용 중인 수천 개의 고객사 인프라에서 실시간으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해 위협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실효성과 신뢰도 높은 보안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보고서는 단순한 통계 제공을 넘어, 기업의 웹 보안 담당자들이 실질적인 보안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이 목적이다. SQL Injection, XSS(Cross-Site Scripting) 등 대표적인 웹 공격 유형별 트렌드 분석을 비롯해 산업별 공격 유형 비교, 최신 CVE 기반 취약점 분석, 국내 외 보안 동향 등도 포함돼 있어, 보안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웹 보안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7월에 발간된 2025년 6월호 보고서에는 기존 항목 외에도 ▲산업별 웹 공격 유형비교 ▲국내 외 주요 보안 이슈 ▲악성코드 동향 ▲국가별 보안 패치 및 권고사항 등의 신규 콘텐츠가 추가되어 정보의 깊이와 활용도를 한층 강화했으며, 모니터랩은 향후에도 보고서 항목의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 보안 전문가들이 최신 위협 인사이트를 보안 정책 및 운영에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김영중 모니터랩 CTI 플랫폼 총괄 부문장은 “웹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지능화되고 있다”며 “안전한 웹 환경 구축을 위해선 웹 보안 솔루션 도입과 함께, 최신 위협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책 반영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모니터랩의 웹 공격 동향 보고서는 매월 모니터랩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모니터랩, WAF 자동 운영 서비스 출시
💡Editor Pick - AI어시스트 매니지드 룰, CSP서 WAF 자동으로 운영·관리 보안 서비스 - 고객사별 룰 패턴 최적화 ·업데이트 자동화·실시간 모니터링 B2B SECaaS 전문 기업 모니터랩(대표이사 이광후)이 CSP Native WAF 사용자를 위한 AIAssist Managed Rules를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AIAssist Managed Rules는 AWS, Azure, GCP 등 CSP에서 네이티브로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