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SF기반 규정 위반 원천대응 체계

N2SF기반 규정 위반 원천대응 체계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도메인 기반 설계로 상관관계 분석 통한 보안 위협 식별
- 심층 방어 체계 기반으로 보안 강화해야
- 위협 정보가 나올 때 실시간 격리 체계 구축돼야

N2SF 기반 규정 위반을 원천 대응하는 체계가 제시됐다. 도메인 기반 설계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보안 위협 식별과 심층 방어 체계 기반으로 보안 강화, 위협 정보가 나올 때 실시간 격리 체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보안 통제 항목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해마다 새로운 위협에 따른 지표가 개정되고, 기술 대응에도 불구하고 위반사례 발생하는 등 실시간 대응이 비 현실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SKT 보안 사고 경우 L2단에서 데이터가 탈취됐을 때 탐지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김창훈 대구대학교 교수는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에서"며 "보안 강화를 하려면 각각에 거쳐온 노드별로 인증을 거치는 개념으로 설계해야 한다"며 "대부분 공공기관 사고가 터지면 보안 아키텍처가 사고가 터진 그 영역에 실시간 격리가 안 돼 있다. 보안 설계 때부터 도메인 개념으로 설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레이어 층을 L2, L3, L4, L서버로 나눠 각 단계별로 유저 아이디, 디바이스 네트워크 연계 체계,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 나눠 연계 체계 등 심층 방어 체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특히 기존에 L4단에서 선 접속 후 인증하는 방식에서 선 인증 후 접속 체계로 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안 이행 단계서 심층방어 체계 구축은 단말 접근 제어의 경우 OS 로그인을 해야 한다. 네트워크 접근 제어는 NAC(Newwork Access Control), 802.1x MAC/IP Address 도용할 수 있어 제로트러스트 접근제어(Zero Trust Network Access Control)를 적용해야 한다.

이에 대해 김창훈 교수는 "사용자 ID 인증, 단말 인증, 애플리케이션 인증, MFA 인증을 함께 적용해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서버 접근 제어는 로그인시 MFA가 적용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보안점검 단계에서의 탐지에 대해 김 교수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워크로드 및 보안 제품(HW, SW)로그 데이터를 수집해 상관관계에 기반해 보안 위협을 분석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
한전KDN, N2SF 시범적용 전략
💡Editor’s Pick - KDN 자체 역량 강화, N2SF 대응 TF팀 13명 조직 구성 및 교육 - 데이터 중심 보안체계 조성, N2SF 실증 추진 등 역량 강화 한전KDN은 2006년 국가, 공공기관 대상 최초로 망 분리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급격한 IT환경 변화, 업무환경 개선과 신기술 반영이 필요했다. 특히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 대응을
국정원,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 공개
💡Editor’s Pick - 국가 망 보안체계 신설·보안 통제 기술 구현 상세화·보안정책 변화 반영 - 기존 176개 항목에서 200~260여개로 확대...관리적 요소 반영 - 국정원 관계자, ”최신 보안기술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예정”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이 베일을 벗었다. 기존 가이드라인(Draft)을 보완하고 부록 1, 2가
손기욱 사이버안보학회장, ”현 국정 과제, AI 사이버 보안 추가 반영될 것”
💡Editor’s Pick -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 개최 - 새로운 국가망 보안 체계 N2SF중심으로 국가 기반 시설 보안 강화 논의 현 정부 국정 과제서 AI 사이버 보안이 추가 반영될 전망이다. 국가 기반 시설 보호 강화와 안전한 디지털 대한민국을 위해선 보안이 필수기 때문이다. 13일 여수 베네치아 호텔 & 스위트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윤흥구 한전 KDN 부사장 ”국가 기관망 공격, 과거와 다른 사이버 위협”
💡Editor’s Pick - 차세대 국가망 보안 체계 확립 기초를 튼튼히 해야 - 국가망 보안 체계 N2SF, 국가 안보 측면서 우선 고려 연구돼야 국가 기관망 타깃으로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대해 신국가망 보안 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윤흥구 한전 KDN부사장은 13일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에서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의

Read more

[단독] 웰컴금융 그룹 자회사, 랜섬웨어 감염...다크웹에 공개

[단독] 웰컴금융 그룹 자회사, 랜섬웨어 감염...다크웹에 공개

💡Editor's Pick -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지난 7월 랜섬웨어 감염 - 랜섬웨어 조직 퀼린, 17일 다크웹에 웰릭스캐피탈 샘플 정보 공개 웰컴금융그룹의 자회사 중 한 곳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가운데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중 한 곳 데이터가 다크웹에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랜섬웨어 조직 퀼린(Qilin)은 전세계를 타깃으로

By CheifEditor
LG유플러스 방송중계,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LG유플러스 방송중계,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Editor's Pick - “재난·재해 상황에도 안정적 서비스 제공” - 데이터센터부터 주요 통신국사 인증 확보 LG유플러스 방송중계와 IPTV 서비스가 재난·재해 상황에서의 안정적인 운영 역량을 인정받았다. LG유플러스는 방송중계·IPTV 분야 서비스를 총괄하는 안양국사가 글로벌 인증 기관 DNV로부터 업무 연속성 관리 국제표준인 ISO22301(BCMS) 인증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ISO22301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