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챗GPT 오픈소스 모델 공개

오픈AI, 챗GPT 오픈소스 모델 공개
[이미지 오픈 AI]
💡
Editor Pick
- 오픈-웨이트 추론 모델 'gpt-oss-120b'와 'gpt-oss-20b' 공개
- 오픈 소스 커뮤니티 피드백 바탕으로 개발된 텍스트 전용 모델
- Responses API와 호환, 추론 기능 에이전트형 워크플로에서 사용 가능

챗GPT도 오픈소스 모델을 공개했다. 오픈AI는 5일 아파치(Apache) 2.0 라이선스와 gpt-oss 사용 정책 하에 제공되는 두 개의 오픈-웨이트 추론 모델 'gpt-oss-120b'와 'gpt-oss-20b'를 공개했다.

오픈 소스 커뮤니티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발된 이 텍스트 전용 모델은 Responses API와 호환된다. 강력한 지침 준수, 웹 검색·Python 코드 실행과 같은 도구 사용, 그리고 추론 기능이 요구되는 에이전트형 워크플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복잡한 추론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에 대해 추론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델은 맞춤형 설정이 가능하며, 완전한 Chain‑of‑Thought(CoT)를 제공하고 구조화된 출력 형식을 지원한다.

OpenAI는 "오픈 모델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안전은 기본 요소"라며 "이 모델들은 독점 모델과는 다른 위험 프로필을 보인다. 일단 공개되면, 악의적인 공격자는 안전 거부를 우회하도록 모델을 파인튜닝하거나 직접적으로 해를 끼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OpenAI는 추가 대응책을 적용하거나 접근을 철회할 수 없다.

일부 상황에서는 개발자와 기업이, 우리 API 및 제품을 통해 제공되는 모델에 내장된 시스템 수준 보호 기능을 재현하기 위해 추가 안전 장치를 구현해야 한다. 이 문서는 시스템 카드가 아닌 모델 카드다. gpt-oss 모델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만들고 유지하는 폭넓은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모델은 기본적으로 OpenAI의 안전 정책을 따르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다른 이해 관계자들도 해당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체적인 결정을 내리고 이를 실행하게 된다.

OpenAI는 "유익한 AI 발전과 생태계 전반의 안전 기준 향상에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AI 에이전트 위험 대응하는 보안 체계 마련 ‘시급’
금융보안원, AI 에이전트 보안 위협 보고서 공개 ‘에이전트 하이재킹‘, ‘도구 오염’ 위협 상세 분석 AI 에이전트 기능을 가로채 악용, 사용 도구를 오염시키는 등 보안 위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AI 모델 등장으로 금융권 내 AI 에이전트 도입이 증가, AI 에이전트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AI 에이전트 위험 대응마련이
맥도날드의 AI 채용 플랫폼서 6400만 개인정보 노출돼
💡Editor’s Pick - 맥하이어에서 두 가지 취약점 발견됨 - ‘허술한 비밀번호’와 ‘IDOR’이라는 고질적 문제 - 신기술과 구식 인프라(마인드)의 만남은 늘 재앙 맥도날드의 인공지능 채용 플랫폼인 맥하이어(McHire)에서 6400만 명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플랫폼에 존재하는 ‘불안전 직접 객체 참조(Insecure Direct Object Reference, IDOR)’ 취약점 때문에 생긴

Read more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는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By CheifEditor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