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넷 '포티웹'서 9.6점 치명적 취약점 발견

포티넷 '포티웹'서 9.6점 치명적 취약점 발견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공격자가 인증 없이 악의적인 SQL 코드를 주입
- 시스템 내 파일 생성, 데이터 유출 등 다양한 공격 가능
- CVSS 기준 9.6점 최대 등급 매우 위험한 수준

포티넷(Fortinet)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솔루션 '포티웹(FortiWeb)'에서 발견된 SQL 인젝션 취약점(CVE-2025-25257)에 대한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했다.

이번 취약점은 GMO 사이버보안 연구원 카와네 켄타로(Kentaro Kawane)가 발견, CVSS 기준 9.6점으로 평가됐다. 최대 등급에 해당하는 매우 위험한 수준이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인증 없이 악의적인 SQL 코드를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내 파일 생성, 데이터 유출 등 다양한 공격이 가능하다.

영향받는 포티웹 버전은 다음과 같다.

  • FortiWeb 7.6.0 ~ 7.6.3 → 7.6.4 이상으로 업데이트
  • FortiWeb 7.4.0 ~ 7.4.7 → 7.4.8 이상으로 업데이트
  • FortiWeb 7.2.0 ~ 7.2.10 → 7.2.11 이상으로 업데이트
  • FortiWeb 7.0.0 ~ 7.0.10 → 7.0.11 이상으로 업데이트

포티넷은 취약점이 발견된 버전을 사용자에게 패치 적용을 권고하고, 임시 조치로 HTTP/HTTPS 기반 관리자 인터페이스 비활성화를 안내했다.


미국 CISA, 주초부터 취약점 4개를 긴급 패치 목록에 추가
💡Editor’s Pick - 긴급 패치 필요한 취약점 4개 공개 - 2014년에 발견된, 오래된 취약점 포함 - 실제 사례는 미공개 미국 연방 사이버 보안 전담 기관인 CISA가 월요일부터 네 개의 취약점을 KEV에 추가했다. KEV는 실제 해킹 공격에 노출되어 있는 취약점들을 따로 모아둔 목록으로, 패치 우선순위를 설정할 때 가장 먼저 참고해야 할
금융보안 SW, 치명적 취약점 수두룩
KAIST, 금융 필수 보안 소프트웨어 해킹 악용 가능성 있어 심각한 보안 취약점 19건 발견...금융보안 소프트웨어 설치 의무화 오히려 취약 안전한 금융 환경 위해 웹 표준과 브라우저 보안 모델 따르는 전환 필요 국내 금융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 의무가 오히려 보안 위협에 취약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카이스트 연구팀이 북한
한국연구재단, 12만여건 개인정보 유출...동일 취약점 사이트 ‘비상’
💡Editor Pick - 온라인 논문 시스템(JAMS)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 6.6 내부 점검 결과 개인정보 유출 없다발표 - TF를 구성해 연구자 응대와 재단 전체 시스템에 대한 정밀점검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논문 시스템 잼스(JAMS)가 해킹돼 12만여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주소, 계정 ID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