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거래소 3억 달러 해킹 후폭풍…투자자 보호법 통과

日 거래소 3억 달러 해킹 후폭풍…투자자 보호법 통과
💡
Editor Pick
-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공격으로 약 482억엔 손실 예상
- 투자자 보호 조치를 위한 일본 국회의 규제 법안 통과

일본 국회가 최근 발생한 대규모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에 대응해 투자자 보호를 골자로 하는 강력한 규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번 조치는 DMM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발생한 약 3억 5백만 달러 규모의 해킹 사건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최근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DMM 비트코인은 해킹 공격으로 약 482억 엔(약 3억 5백만 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도난당했다. 이는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 피해 중 하나로 기록됐으며, 일본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다.

새롭게 통과된 법안은 암호화폐 거래소의 보안 의무를 대폭 강화했다. 특히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어 해킹에 취약한 '핫월렛'의 자산 보관 한도를 낮추고, 다중서명(Multi-sig)과 같은 강화된 보안 기술 도입을 의무화했다.

또한, 법안은 투자자 자산 보호를 위한 핵심 조항을 담고 있다. 앞으로 거래소는 해킹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피해액을 전액 배상할 수 있도록 의무적으로 준비금을 적립하거나 제3자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이번 법안으로 일본 금융청(FSA)의 감독 권한도 한층 강화된다. 금융청은 앞으로 거래소의 보안 시스템 및 내부 통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 통보 없는 '불시 검사'를 포함한 강도 높은 감사를 시행할 수 있다.

규제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처벌 수위도 높아졌다. 새로운 보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거래소의 경영진은 무거운 벌금은 물론,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법안 통과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밝혔다. 건전한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강력한 보안 체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은 과거에도 대형 해킹 사건 발생 시 규제를 강화하는 패턴을 보여왔다. 2014년 마운트곡스 파산과 2018년 코인체크 해킹 사건 당시에도 투자자 보호를 위한 거래소 규제를 대폭 강화한 바 있다.


Read more

OT망에서 나온 10점짜리 취약점, 패치가 무용지물

OT망에서 나온 10점짜리 취약점, 패치가 무용지물

💡Editor's Pick - 얼랭/OTP SSH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 - 인증 누락으로 인한 임의 코드 실행 공격 가능 - 4월에 이미 패치 나왔는데 적용 속도 너무 느려 OT 네트워크용 방화벽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이 다시 한 번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취약점을 겨냥한 익스플로잇 행위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격은

By JustAnotherEditor
캐나다 IT 고용시장 호황 - 기술직 144만 명 돌파

캐나다 IT 고용시장 호황 - 기술직 144만 명 돌파

다나나2025년 8월 기준 글로벌 IT 산업협회 컴티아(CompTIA)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캐나다 순 기술 고용 인원이 144만 명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1.9% 증가한 수치로, 약 2만7,5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됐다. 2025년의 경우 1.4% 증가를 전망했다. 기술직 전망 CompTIA는 캐나다 내에서, 직무별, 지역별 기술직 전망을 다음과 같이 내놓았다. 🏢직무별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새 러시아 해킹 조직? 컬리콤레이즈 발각돼

새 러시아 해킹 조직? 컬리콤레이즈 발각돼

💡Editor's Pick - 컬리콤레이즈라는 조직, 러시아 정부와 비슷하게 움직여 - 한 번도 발견된 적 없어... 은밀히 움직이는 게 특기인 듯 - 현재는 몰도바와 조지아 내 여러 조직들로부터 정보 탈취 새로운 사이버 공격 조직이 발견됐다. 컬리콤레이즈(Curly COMrades)라고 보안 업체 비트디펜더(Bitdefender)는 이름을 붙여 추적 중에 있다.

By JustAnotherEditor
LG유플러스도 해킹? 데프콘에서 유출파일 공개...통신사 보안 '비상'

LG유플러스도 해킹? 데프콘에서 유출파일 공개...통신사 보안 '비상'

💡Editor's Pick - 데프콘에서 공개된 해킹된 국내 데이터중 LG유플러스 포함 - 2023~2025년 2년간 30만건 서버 패스워드 변경 이력 포함 - 해커 로그 서버 해킹...엘지유플러스 사실 확인 중 SKT 해킹 사고가 채 가시기도 전에 LG유플러스 데이터 유출 의혹도 제기돼 통신사 보안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데프콘(DEF CON)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