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수출, 반도체 '웃고' 디스플레이 '울고'

상반기 수출, 반도체 '웃고' 디스플레이 '울고'
💡
Editor Pick
- 상반기 ICT 수출 5개월 연속 증가세, 역대 상반기 2위 실적 달성 
- 6월 ICT 수출 역대 6월 최대 실적, 반도체 수출 최대 실적 기록

2025년 상반기 수출은 1,151.6억 달러로 전년 동 기간(1,088.3억 달러) 대비 5.8%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442.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25년 6월 수출은 220.3억 달러로 전년 동월(210.4억 달러) 대비 4.7% 증가, 무역수지는 96.2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요 품목 무관세 적용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등으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상반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상반기 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11.4%↑), 휴대폰(9.1%↑), 컴퓨터‧주변기기(10.8%↑) 수출은 증가했고, 디스플레이(△13.9%), 통신장비(△2.5%)의 수출은 감소했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D램, 낸드 등 주요 메모리 제품의 고정가격 반등,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733.1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최대 수출 실적을 보였다.

휴대폰은  국내기업의 스마트폰 주력 모델 판매 호조 및 완제품 생산을 위한 모듈 등의 부분품 선전으로 60.8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이 증가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AI 서버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SSD가 수출을 견인하며  66.4억달러 실적을 이뤄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소비 여건 악화 및 전방산업 물량 조절의 영향,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87.0억 달러로 수출이 감소했다.

통신장비는 글로벌 시장 정체 지속과 단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베트남 현지생산 확대 등11.6억 달러로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대만(89.6%↑), 미국(14.5%↑), 베트남(10.0%↑), 인도(9.3%↑), 일본(5.7%↑)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11.5%), 유럽연합(△2.7%)에선 수출이 감소했다.


5월 ICT 수출,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
💡Editor Pick - 5월 ICT 수출 증가, 관세 예고에 따른 스마트폰 비축수요가 요인 - AI 등의 영향으로 GPU/중대형컴퓨터 분야의 수입 크게 증가 5월 한 달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ICT 전반적으로 수출이 늘어난 반면,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수출은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안랩, ‘베트남 ICT COMM 2025’서 제조업 사이버 보안 기술 선봬
💡Editor Pick - IT-OT융합 사이버물리시스템 보안 제품, 안티 랜섬웨어 패키지 소개 - 안랩 글로벌사업본부, 현지 시장에 맞춰 사업 기회 모색 안랩이 제조업에 특화된 사이버 보안 기술을 선보였다. 15일 안랩은 12일부터 14일까지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린 ‘베트남 ICT COMM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제조업 특화 사이버 보안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베트남 정부가 주최한

Read more

LG유플러스 방송중계,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LG유플러스 방송중계,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Editor's Pick - “재난·재해 상황에도 안정적 서비스 제공” - 데이터센터부터 주요 통신국사 인증 확보 LG유플러스 방송중계와 IPTV 서비스가 재난·재해 상황에서의 안정적인 운영 역량을 인정받았다. LG유플러스는 방송중계·IPTV 분야 서비스를 총괄하는 안양국사가 글로벌 인증 기관 DNV로부터 업무 연속성 관리 국제표준인 ISO22301(BCMS) 인증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ISO22301은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