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수출, 반도체 '웃고' 디스플레이 '울고'

상반기 수출, 반도체 '웃고' 디스플레이 '울고'
💡
Editor Pick
- 상반기 ICT 수출 5개월 연속 증가세, 역대 상반기 2위 실적 달성 
- 6월 ICT 수출 역대 6월 최대 실적, 반도체 수출 최대 실적 기록

2025년 상반기 수출은 1,151.6억 달러로 전년 동 기간(1,088.3억 달러) 대비 5.8%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442.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25년 6월 수출은 220.3억 달러로 전년 동월(210.4억 달러) 대비 4.7% 증가, 무역수지는 96.2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요 품목 무관세 적용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등으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상반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상반기 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11.4%↑), 휴대폰(9.1%↑), 컴퓨터‧주변기기(10.8%↑) 수출은 증가했고, 디스플레이(△13.9%), 통신장비(△2.5%)의 수출은 감소했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D램, 낸드 등 주요 메모리 제품의 고정가격 반등,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733.1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최대 수출 실적을 보였다.

휴대폰은  국내기업의 스마트폰 주력 모델 판매 호조 및 완제품 생산을 위한 모듈 등의 부분품 선전으로 60.8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이 증가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AI 서버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SSD가 수출을 견인하며  66.4억달러 실적을 이뤄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소비 여건 악화 및 전방산업 물량 조절의 영향,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87.0억 달러로 수출이 감소했다.

통신장비는 글로벌 시장 정체 지속과 단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베트남 현지생산 확대 등11.6억 달러로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대만(89.6%↑), 미국(14.5%↑), 베트남(10.0%↑), 인도(9.3%↑), 일본(5.7%↑)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11.5%), 유럽연합(△2.7%)에선 수출이 감소했다.


5월 ICT 수출,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
💡Editor Pick - 5월 ICT 수출 증가, 관세 예고에 따른 스마트폰 비축수요가 요인 - AI 등의 영향으로 GPU/중대형컴퓨터 분야의 수입 크게 증가 5월 한 달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ICT 전반적으로 수출이 늘어난 반면,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수출은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안랩, ‘베트남 ICT COMM 2025’서 제조업 사이버 보안 기술 선봬
💡Editor Pick - IT-OT융합 사이버물리시스템 보안 제품, 안티 랜섬웨어 패키지 소개 - 안랩 글로벌사업본부, 현지 시장에 맞춰 사업 기회 모색 안랩이 제조업에 특화된 사이버 보안 기술을 선보였다. 15일 안랩은 12일부터 14일까지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린 ‘베트남 ICT COMM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제조업 특화 사이버 보안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베트남 정부가 주최한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