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터드 스파이더 해커, 호주 콴타스 항공에 이어 보험사 타깃 공격

스캐터드 스파이더 해커, 호주 콴타스 항공에 이어 보험사 타깃 공격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스캐터드 스파이더, 통신에서 최근 기술, 금융, 소매 등 고가치 산업 공격
- 데이터 탈취 및 랜섬웨어 배포 통해 금전적 이득 집중
- 지난 6월 주요 보험 회사 업무 지원 센터와 콜센터 대상 표적 공격

지난 28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사이버 공격 그룹 '스캐터드 스파이더(Scattered Spiddr)'가 항공사 IT 시스템 해킹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고 경고한 데 이어, 지난 30일 호주 콴타스(Qantas) 항공 콜센터가 해킹을 당해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고객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마일리지 번호 등이다.

스캐터드 스파이더는 금전적 동기를 기반으로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하는 공격 그룹이다. 초기에는 통신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기업을 주요 표적으로 삼았지만 최근에는 기술, 금융, 소매 등 다양한 고가치 산업으로 공격 대상을 넓히고 있다.

특히 이들은 대규모 헬프 데스크와 아웃소싱 IT 기능을 보유한 조직을 표적으로 삼으며, ALPHV 등 주요 랜섬웨어 그룹과 협력해 데이터 탈취 및 랜섬웨어 배포를 통해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은 지난 6월에도 주요 보험 회사를 표적으로 한 스캐터드 스파이더의 공격을 발견했다. 업무 지원 센터와 콜센터를 대상으로 하는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에 주의를 요한 바 있다.

존 헐트퀴스트(John Hultquist)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수석 애널리스트(Chief Analyst, 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는 “구글 인텔리전스 그룹은 미국서 스캐터드 스파이더(Scattered Spider)의 특징을 띄고 있는 여러 건의 침입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했다”며, “현재 보험 산업에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 번에 한 분야에 집중하는 스캐터드 스파이더 공격 그룹의 특성상 보험 업계는 특히 업무 지원 센터와 콜센터 대상으로 하는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에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찰스 카르마칼(Charles Carmakal) 구글 클라우드 맨디언트 컨설팅 최고기술책임자(CTO, Google Cloud Mandiant Consulting)는 “스캐터드 스파이더(Scattered Spider, UNC3944)가 호주를 포함한 글로벌 조직을 공격한 전력이 있긴 하지만, 이들이 호주 항공사로 공격 대상을 확대했는지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라며 “금전적 동기를 가진 위협 행위자 UNC6040를 포함해 다양한 위협 행위자들이 이와 같은 전화 통화 기반의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격 차단을 위해 조직은 콜센터 직원에게 강력한 신원 확인 프로세스를 사전 교육하고, 피싱을 방지하기 위한 다중 인증(MFA)을 구현해야 한다”며 “또한 글로벌 항공사는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한 공격에 경각심을 가지고, 콜센터의 신원 확인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T&T 4900만 전화번호·SSN 연계 데이터, 해커에 의해 공개
한 해커가 미국 통신 대기업 AT&T의 고객 정보로 추정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온라인에 무료로 공개했다. 이번에 유출된 자료는 4900만 명의 전화번호와 사회보장번호(SSN), 생년월일이 연계된 민감 정보를 포함한다. 최근 한 해킹 포럼에 공개된 이 데이터 세트는 4900만 개의 고유한 전화번호와 관련 개인정보를 담고 있다. 데이터가 무료로 풀리면서 일반 인터넷 사용자나
이스라엘 연계 추정 해커, 이란 국영 ‘세파’은행 데이터 파괴 주장
💡Editor Pick - Predatory Sparrow가 이란 국영은행 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 파괴 - Predatory Sparrow는 과거 이란 철강 공장, 주유소 결제망 마비 등, 작전 수행 이스라엘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곤제시크 다란데(영어명 Predatory Sparrow)’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란 국영은행 세파(Bank Sepah)의 데이터와 백업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단독] 골든팔콘 해커, 마곡 도시형 스마트팜 해킹
💡Editor Pick - 반테러 해커 조직, 마곡 도시형 스마트판 해킹 화면 텔레그램에 공유 - 해커, 시스템 접근권한 획득...해킹 녹화 후 정상으로 되돌렸다고 주장 - 스마트팜 해킹 보안사고 반복에 보안 점검 및 보안 강화 시급 반테러 해킹 조직 ‘골든 팔콘(Golden Falcon)’이 국내 도시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해킹한 정황이 포착됐다.

Read more

데프콘: GPKI 관련 파일들… 표준API 신청? 우리는 그들의 행위를 어떻게 검토해야 하는가?

데프콘: GPKI 관련 파일들… 표준API 신청? 우리는 그들의 행위를 어떻게 검토해야 하는가?

💡Editor Pick - GPKI 관련 파일을 외부에서 구할 수 있는지 검토 - GPKI 표준 API 관련 파일 유출은 표면적으로 드러난 내용만 바라보면 위협 수준 판단이 일부에 불과 Phrack 잡지에 관련된 파일 work.zip에 있는 내용들을 살펴보던 중, /work/home/user/Desktop/desktop/uni_certs 경로에 다수의 인증서 파일 존재하는 것을

By Donghwi Shin
인공지능의 위협, 동남아 덮친다

인공지능의 위협, 동남아 덮친다

💡Editor's Pick - 싱가포르, 랜섬웨어 공격 비율 줄었나 했더니, 그게 아니네 - 동남아 전체로 확대되고 있는 랜섬웨어 위협...인공지능 때문 - 인공지능에 도움 받은 공격자들, 점점 큰 위협으로 변모 인공지능으로 인해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기업과 기관들이 위험해지고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Kaspersky)가 조사해 발표한

By 문가용 기자
하버드대학, 클롭에 당했나? 오라클 EBS가 문제였나?

하버드대학, 클롭에 당했나? 오라클 EBS가 문제였나?

💡Editor's Pick - 하버드대학의 정보 확보했다 주장하는 클롭 - 곧 정보 열람 가능한 링크 공개할 것이라고 예고 - 어쩌면 오라클 EBS와 관련된 사건일 수도 악명 높은 해킹 그룹 클롭(Cl0p)이 미국의 하버드대학교를 해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신들의 다크웹 사이트에 하버드대학 전용 페이지를 따로 신설했다. 클롭은 조만간 해당 페이지를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