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쉴더스 AI기반 보안전략 제시

SK쉴더스 AI기반 보안전략 제시
SK쉴더스 ‘IDC Security Summit 2025’ 행사 참가 [이미지: SK쉴더스]
💡
Editor Pick
- IDC시큐리티 서밋 2025, MDR 연계 통합 대응 전략 제시
- MDR, AI가 위협 예측·탐지·경고
- 자회사 Secudium, SecuLayer 보안솔루션 소개

사이버 공격이 정교해지면서 핵심 자산을 노리는 APT(지능형 지속 위협) 공격 방식도 증가하고 있다. 위협을 감지,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SK쉴더스는 지난 25일 열린 ‘IDC Security Summit 2025’에서 '관리형 탐지 및 대응(MDR)' 서비스를 연계한 통합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SK쉴더스의 AI 기반 보안관제 서비스는 해커의 정찰·침투·권한 탈취 등 초기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차세대 보안관제로 AI가 로그와 트래픽을 실시간 분석해 위협 징후를 예측, 탐지, 경고하는 게 핵심이다.  

탐지 후에는 MDR을 통해 신속한 분석과 대응을 진행한다. MDR은 AI 관제가 포착한 이상 징후를 1차 관제팀이 분석, 이를 바탕으로 전문 보안 인력이 정밀 분석과 실제 대응 조치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해커가 관리자 계정을 탈취해 평소와 다른 시간이나 위치서 접근한 경우, MDR은 이를 감지해 실시간 차단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특히, 침해사고 대응 전문 조직 탑서트(Top-CERT) 역량 기반으로, 산업별 위협 특성을 반영한 고도화된 대응을 제공한다. 보안 인력 여력이 없는 기업, 기관도 구독형 방식으로 손쉽게 도입할 수 있어 보안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날 현장서는 SK쉴더스의 AI 기반 보안관제 플랫폼 ‘시큐디움(Secudium)’과 자회사 ‘시큐레이어(SecuLayer)’의 보안 솔루션도 함께 소개됐다. SK쉴더스는 보안관제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보안 이벤트 관리(SIEM) 엔진 교체 ▲위협 대응 자동화(SOAR) 도입 ▲위협 영향도 분석 시스템 구축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김병무 SK쉴더스 사이버보안부문장은 “SK쉴더스는 AI 기반의 선제적 대응 체계 중심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지키는 보안 전략을 선보인다”며 “침해사고 대응 전문 조직과 MDR 서비스, AI 기반 보안 관제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IDC Security Summit 2025’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 주최로 25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 ‘AI와 위기 대응을 위한 차세대 보안 전략’을 주제로 최신 기술과 사례가 공유됐다.


SK쉴더스 ‘캡스 스마트냉난방’ 수요 증가 AI로 운영 효율 지원
전기요금 부담에 ‘스마트 냉방’ 관심↑… 올해 6월 기준, 지난해 도입 건수 상회 AI 기반 자동 제어로 매장 온·습도 관리…앱으로 원격 조절,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SK쉴더스는 AI 기반 냉난방 관리 서비스인 ‘캡스 스마트냉난방’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6월까지 누적 도입 건수는 지난해 전체 대비 약 11.
SK쉴더스, 민기식 신임 대표 내정
푸르덴셜생명·DGB생명 대표 역임… 디지털 기반 경영 혁신과 채널 고도화 이끌어 보안 산업 고도화 및 글로벌 사업 본격화 맞아 미래 성장 이끌 리더십 강화 SK쉴더스는 민기식 전 푸르덴셜생명 대표이사를 신임 대표집행임원(CEO)으로 내정했다고 10일 밝혔다. 민기식 신임 대표 내정자는 오는 6월 말 이사회 승인을 거쳐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민기식
SK이노베이션 사칭 피싱 주의!
SK 이노베이션을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사이트는 2개로 skbattery.vip와 sk-eletricity.com이다. 10일 누리랩에 따르면 탐지된 첫번째 피싱 사이트는 소액 투자, 고수익, 팀미션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뺏거나 금전적 손해를 입히는 악의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도메인 등록일이 최근에 이뤄졌는데, 이는 피싱 사이트의 특징 중
SKT, 해킹차단 안심 패키지 마련
침해피해 발생 1개월… 고객 협조 및 보호 조치로 2차 피해 ‘0’건 FDS 고도화해 18일부터 망 적용…불법 복제폰 피해도 차단 가능 사이버 침해 사고를 계기로 SKT가 기존 비정상인증차단시스템(FDS ; Fraud Detection System) 기능을 고도화해 18일(일)부터 통신망에 추가 적용했다고 밝혔다. 또한, 해킹으로 인한 고객피해를 차단할 수 있는 ’고객

Read more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Editor's Pick -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전 세계에서 3천 건 이상 탐지 - 메신저 통해 접근, 뱅킹 보안 도구 설치 권유로 감염 유도 금융 보안 앱으로 가장한 스파이웨어 ‘루나스파이(LunaSpy)’가 유포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루나스파이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By CheifEditor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Editor's Pick - 운영체제 무관하게 키 입력 주입, 추가 장치 가장해 악성 행위 - 리눅스 기반 동작 USB 주변기기 펌웨어 무결성 검증 부재 -“주변기기도 소프트웨어다” 사실 인지해야...펌웨어 중요 레노보의 일부 웹캠 모델에서 원격으로 ‘BadUSB’ 공격 장치로 변조될 수 있는 취약점이 확인됐다. 공격자는 운영체제와 무관하게 은밀하게 키

By CheifEditor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해 피싱 사이트와 연관된 URL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기술로 일본 특허를 등록했다고 19일 밝혔다. 특허 기술은 누리랩이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URL 유사도 분석 기술 알고리즘 바탕으로 악성 위협 요소를 분석해 피싱 공격 차단 신기술이다. 신종·변종 사이트 공격 차단을 위해 ▲웹사이트 문자 ▲특수문자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