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소셜로봇 등 AI제품 임차 구매

조달청, 소셜로봇 등 AI제품 임차 구매
[이미지: 조달청]
💡
Editor Pick
- AI 소셜로봇 등 26개 제품, 67개 기관 선정 
- 혁신제품 시범구매로 사업 참여 기회 확대, 제품 성능 개선 지원

조달청은 2025년 제2차 임차 시범구매 대상을 확정하고, 결과를 14일에 혁신장터에 공개했다.

이번 임차 시범구매는 지난 3월 17일 제1차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되었으며 약 26억원 규모로 26개 제품과 이들 제품을 사용할 67개 기관을 선정했다.

임차 시범구매는 고가이거나 다기관 시범사용이 필요한 제품, 유지관리 부담이 커 기존의 직접 구매 방식으로 사용이 어려웠던 제품의 사용기회 확대를 위하여 ’25년에 새롭게 도입한 방식이다.

이번에는 AI 알고리즘 적용 재활용자동회수기, AI 소셜로봇, 현미경용 3D카메라,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용 로봇, 우울증 개선 콘텐츠 등이 다양한 기관에서 임차 시범사용 되어 제품 테스트 및 성능 개선이 진행될 예정이다.

강희훈 신성장조달기획관은 “임차 시범구매는 고가장비, 다양한 기관 및 환경에서 테스트가 필요하고 유지관리비 부담이 있는 제품의 시범사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도입했다”면서 “앞으로도 제품 특성 및 현장 수요에 맞는 다양한 시범구매 방식을 도입하여 기업이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공공조달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I 모델 오작동 유발하는 ‘GPUHammer’ 공격…엔비디아 GPU 보안 허점
💡Editor Pick - GPU 메모리의 BitFlip 일으켜 AI 시스템에 영향 미칠 수 있음 - NVIDA 취약점 확인 후, ECC 활성화로 대했지만 GPU 성능 저하 이슈 존재 엔비디아 A6000 GPU의 메모리에서 AI 모델의 정확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하드웨어 취약점이 발견됐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진이 공개한 이른바 ‘GPUHammer’는 GPU 메모리에 반복 접근해
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Editor Pick -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 본격 추진 총 656억원 예산 투입 - 500억원 AI혁신펀드 추가 조성...AI 분야 유망 기업 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강화 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 30억원 국회 본회의서 총 1,793억원 규모의 인공지능(
맥도날드의 AI 채용 플랫폼서 6400만 개인정보 노출돼
💡Editor’s Pick - 맥하이어에서 두 가지 취약점 발견됨 - ‘허술한 비밀번호’와 ‘IDOR’이라는 고질적 문제 - 신기술과 구식 인프라(마인드)의 만남은 늘 재앙 맥도날드의 인공지능 채용 플랫폼인 맥하이어(McHire)에서 6400만 명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플랫폼에 존재하는 ‘불안전 직접 객체 참조(Insecure Direct Object Reference, IDOR)’ 취약점 때문에 생긴

Read more

해외 클라우드 사업자, 개인정보 유출 사고 조사 응하지 않아...법 명확해야

해외 클라우드 사업자, 개인정보 유출 사고 조사 응하지 않아...법 명확해야

💡Editor's Pick - 해외사업자, 클라우드 사고조사 응하지 않아 법집행 난관 - IaaS 제공 사업자 법적 책임 부과 인식 없어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업자도 그 기준 맞춰 수탁자 지위 해석 명확해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업자가 개인정보보호법상 수탁자 지위에 있다는 해석을 명확히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일반적으로 자체 서버 환경서 안전성 확보조치

By CheifEditor
북 추정 해커,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 타깃 사이버 공격

북 추정 해커,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 타깃 사이버 공격

💡Editor's Pick - 깃허브, 명령·제어채널로 활용해 ‘XenoRAT’ 악성코드 배포 - 해커, 실제 외교 일정에 맞춰 정교하게 초정장·한미동맹 문서 위장 - 공격 전술·기법, 북한 연계 해킹 조직 ‘킴수키’ 패턴 유사 한국에 주재하는 외국 대사관을 겨냥한 사이버 첩보 공격이 확인됐다. 외교·정부 기관 타깃 ‘XenoRAT’ 악성코드 배포.

By CheifEditor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Editor's Pick -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전 세계에서 3천 건 이상 탐지 - 메신저 통해 접근, 뱅킹 보안 도구 설치 권유로 감염 유도 금융 보안 앱으로 가장한 스파이웨어 ‘루나스파이(LunaSpy)’가 유포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루나스파이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