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크키티 스파이웨어, iOS·안드로이드 동시 노려…가상화폐 노리는 신종 트로이 목마 발견

스파크키티 스파이웨어, iOS·안드로이드 동시 노려…가상화폐 노리는 신종 트로이 목마 발견
💡
Editor Pick
- Kaspersky Android/iOS 동시 겨냥 SparkKitty Trojan 확인
- 암호화폐, 도박, 변조 틱톡 앱 등으로 위장 가상자산 보유자 노려
- 기업 내부 배포용 개발자 도구 활용한 AppStore 배포

카스퍼스키 연구진이 iOS와 안드로이드를 동시에 겨냥한 신규 트로이 목마 ‘스파크키티(SparkKitty)’를 발견했다. 이 악성코드는 감염된 스마트폰에서 사진과 기기 정보를 탈취해 공격자에게 전송하며, 동남아시아와 중국 지역의 가상자산 보유자를 주 표적으로 삼은 것으로 분석된다.

스파크키티는 암호화폐ㆍ도박 관련 앱, 심지어 변조된 ‘틱톡’ 앱에 위장해 공식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피싱 웹사이트를 통해 배포됐다. 카스퍼스키는 구글과 애플에 해당 악성 앱을 통보했으며, 이번 캠페인이 지난해 발견된 iOS용 첫 OCR 기반 트로이 목마 ‘스파크캣(SparkCat)’과 연관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2025년 2월 스파크캣은 OCR 기능 활용하여 사진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가상화폐 주소, 패스워드를 비롯한 중요 정보를 탈취했다. 또 다른 특징으로 스파크캣은 C2와의 통신은 자체 프로토콜을 Rust로 구현하여 탐지 피하기 위해 노력했다.

iOS 환경에서는 ‘币coin’이라는 가상자산 거래소 앱으로 가장해 앱스토어에 올라왔으며, 피싱 사이트에서는 틱톡·도박 앱으로 위장해 배포됐다. 공격자는 기업용 내부 배포용 개발자 도구를 악용해 정식 스토어를 통하지 않고 아이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했다. 변조된 틱톡 앱은 로그인 시 사진 탈취와 함께 사용자 프로필에 암호화폐로만 결제 가능한 가짜 쇼핑몰 링크를 삽입했다.

From Kaspersky

안드로이드 측에서는 구글 플레이와 제3자 웹사이트 양쪽을 통해 확산됐다.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SOEX’ 메신저 겸 거래소 앱은 1만 회 넘게 다운로드됐으며, 동일 계열 APK가 투자 프로젝트 앱으로도 유포됐다. 해당 사이트들은 유튜브 등 SNS 광고까지 활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치된 악성 앱은 정상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갤러리 사진을 공격자에게 전송했다. 연구진은 공격자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갑 복구 구문 등 민감 정보를 추출, 피해자의 가상자산을 탈취하려 한 것으로 추정했다.

전문가들은 ▲문제의 앱을 설치했다면 즉시 삭제 ▲스크린샷에 지갑 복구 문구 저장 금지 ▲사진 접근 권한 요청 시 필요성 검토 ▲모바일용 보안 솔루션 사용 등을 권고했다. 카스퍼스키는 iOS 구조상 악성 트래픽 탐지 시 사용자에게 경고 후 차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스파크키티 사례는 1년 새 두 번째로 공식 앱스토어에서 발견된 iOS용 트로이 목마라는 점에서 모바일 앱 검증 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악성코드가 26만9천개 웹사이트 타격
자바스크립트 기반 악성코드 ‘JSFireTruck’가 269,000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감염시켰다. 공격자는 HelloTDS라는 고급 트래픽 분배 서비스(TDS) 시스템을 악용해 악성 자바스크립트를 배포했다. ‘JSFireTruck’ 악성코드는 독특한 난독화 기술로 코드 분석을 어렵게 하는 등 기존 보안 탐지를 회피한다. 웹사이트에 악성 자바스크립트를 주입해 사용자 행동을 조작하거나, 악성 사이트 유도에 사용된다. 팔로알토 유닛 42는 지난
우리가 알던 악성코드, 달라졌다...보안제품 싹싹 피해가
💡Editor Pick - 6월 악성코드, 새롭게 변형된 다양한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유포 - EXE 유형 약 94.4%, DLL-SideLoading 유형 약 5.6% 6월에는 LummaC2를 비롯해 Rhadamanthys, ACRStealer, Vidar, StealC 등의 다양한 인포스틸러가 악성코드가 유포됐다. 특히 ACRStealer는 새로운 변종이 많이 유포됐다. 안랩이 발표한 ’2025년 6월 인포스틸러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6월 한

Read more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Editor's Pick - 텍사스의 글래드니입양센터, DB 관리 실패 - 110만 명의 개인정보와 개인사, 각종 평가지 노출 - 데이터 암호화는 기본...비밀번호 설정과 주기적 점검도 기본 미국의 한 입양 단체가 110만 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처음 발견한 보안 전문가 제레마이아 파울러(Jeremiah Fowler)는 “해당

By JustAnotherEditor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Editor's Pick - 시그널 기반 텔레메시지, 인증 메커니즘이 낡아 - 인증 과정 없이 특정 엔드포인트가 전체 공개돼 - 각종 민감 정보 포함될 수 있는 엔드포인트라 문제 보안 채팅 앱인 텔레메지시SGNL(TeleMessage SGNL)이 익스플로잇 공격에 노출됐다. 사용자들 간 오갔던 민감 정보들이 인터넷에 대량으로 노출됐다. 문제의 근원에는 CVE-2025-48927이라는 취약점이

By JustAnotherEditor
깃허브까지 섭렵한 다크웹 비즈니스맨, 멀웨어 유포 중

깃허브까지 섭렵한 다크웹 비즈니스맨, 멀웨어 유포 중

💡Editor's Pick - 깃허브 세 개 계정에 멀웨어 호스팅 되어 있어 - 2월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캠페인...표적은 우크라이나 - 개발자들의 둥지인 깃허브, 곧 해커들의 둥지가 될 수도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코드 리포지터리인 깃허브(GitHub)가 멀웨어 배포처로서 악용됐다. 시스코(Cisco)의 탈로스(Talos) 팀이 지난 4월 발견한

By JustAnotherEditor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Editor Pick - 6개 신규 과제 선정… 216억 원 투입 -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글로벌 협력 강화 - 친환경·저전력 신기술 개발 집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와 에너지 효율화 등 첨단 융합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사업은 국내·외 최고 연구진의 공동 연구와 미래 신기술 선점,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