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1순위,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 소재부품장비 투자연계형 사업 통해 183개社 8,501억 원 투자유치
- 지난해 비해 653억 증가 수치로, 역대 최고 투자 금액 기록
-AI반도체 2,602억원,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 로봇441억원 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올해 ‘소부장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첨단 소부장 분야서 총 8,501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653억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투자 금액을 기록했다.

총투자유치 금액은 2023년 3,985억원, 2024년 7,848억원, 2025년 8,501억원이다. 기업당 평균 투자유치 금액은 2023년 24.8억원, 2024년 36.3억원 2024년 46.5억원이다.
주요 투자 분야로는 AI반도체가 24개 기업에서 2,602억원을 유치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13개 기업) ▲로봇·자동화 기계 441억원(12개 기업) ▲차세대 전지 분야 433억원(12개 기업) 등 첨단산업 전반에 걸쳐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첨단 소부장산업 육성 정책이 민간투자 확대를 견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투자유치의 대표사례로 AI 반도체 기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Openedges Technology)는 약 6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이 회사는 동 자금을 활용해 ‘고속·저전력 메모리 기반 경량언어모델 전용 AI반도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국내 팹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은 물론, AI반도체 기술 자립과 글로벌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전기차 소부장 기업 이티에스(ETS)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제조공정 핵심 기술인 전해액 주입 장비를 국산화하며, 약 1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해당 기술은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입 대체 및 수출 증대에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 자립과 민간투자 확대는 우리나라 미래 산업경쟁력의 핵심”이라며, “투자에 동참해 주신 기업과 기관들께 감사드린다. 정부도 민간의 혁신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 Materials
- 바이오헬스케어 및 의료AI 산업의 투자 기회: 2024년과 그 이후를 대비 - GoOver AI, 2024년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전망 - 바이오인, 2025년(2023~2024년 시장 분석 포함)
- AI로 촉발된 헬스케어 산업의 대전환 - KPMG International, 2024년
- 첨단 소부장 투자, 역대 최고치 경신... AI 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가 주도 - 조선비즈, 2025년(2023~2024년 투자 동향 및 배경 분석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