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1순위,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투자 1순위,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소재부품장비 투자연계형 사업 통해 183개社 8,501억 원 투자유치
- 지난해 비해 653억 증가 수치로, 역대 최고 투자 금액 기록
-AI반도체 2,602억원,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 로봇441억원 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올해 ‘소부장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첨단 소부장 분야서 총 8,501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653억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투자 금액을 기록했다.

[이미지: 산업통상자원부]

총투자유치 금액은 2023년 3,985억원, 2024년 7,848억원, 2025년 8,501억원이다. 기업당 평균 투자유치 금액은 2023년 24.8억원, 2024년 36.3억원 2024년 46.5억원이다.

주요 투자 분야로는 AI반도체가 24개 기업에서 2,602억원을 유치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13개 기업) ▲로봇·자동화 기계 441억원(12개 기업) ▲차세대 전지 분야 433억원(12개 기업) 등 첨단산업 전반에 걸쳐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첨단 소부장산업 육성 정책이 민간투자 확대를 견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투자유치의 대표사례로 AI 반도체 기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Openedges Technology)는 약 6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이 회사는 동 자금을 활용해 ‘고속·저전력 메모리 기반 경량언어모델 전용 AI반도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국내 팹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은 물론, AI반도체 기술 자립과 글로벌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전기차 소부장 기업 이티에스(ETS)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제조공정 핵심 기술인 전해액 주입 장비를 국산화하며, 약 1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해당 기술은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입 대체 및 수출 증대에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 자립과 민간투자 확대는 우리나라 미래 산업경쟁력의 핵심”이라며, “투자에 동참해 주신 기업과 기관들께 감사드린다. 정부도 민간의 혁신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 “AI 등 첨단산업 100조원 투자할 것”
💡Editor Pick - 제21대 대통령 취임, AI3대 강국 진입 대선 공약 - 대규모 국민펀드 조성하여 국내 첨단저략산업에 100조원 집중 투자 - AI 데이터센터, 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 AI 접근권 이재명 대통령이 다시 성장하는 나라를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국내 첨단전략산업에 100조원을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혀 새 정부가 앞으로 실천해나갈 정책 과제에 관심이
이 대통령 “AI시대 고속도로 구축...아낌없이 지원 투자할 것”
💡Editor Pick -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 :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메가와트) 규모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예정 -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 : AI 시대 준비하기에 따라 성장 또는 퇴보 - 최태원 SK 회장 : 대한민국의 성장 위해 AI 필수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AI 개발 집중 지원” 이재명
AI 경진 대회 개최, 우승팀 30억원 연구 지원
💡Editor Pick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CHAMPION 경진 대회 추진 - 선발 연구팀은 후속 연구과제를 R&D로 최대 30억 상당 연구 지원 대회 참가팀, 7월 1일부터 7월 23일까지 접수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가 ‘2025년 인공지능 경진(챔피언) 대회’ 참가팀을 7월 1일(화)부터 7월 23일(수)까지 모집한다.

Read more

정부,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 발표

정부,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 발표

💡Editor Pick - 사이버 공간 국제규범 형성에 기여 - 사이버 선진국으로서 책임...향후 관련 논의 발전 토대 구축 우리 정부는 현지 시각 7일 뉴욕서 열린 제11차 유엔 정보안보 개방형실무그룹(Open Ended Working Group on ICTs) 실질회의(7.7-11) 계기 '사이버 공간에서의 국제법 적용 관련 입장문'을 발표했다. 유엔

By CheifEditor
안랩,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갱신

안랩,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갱신

💡Editor Pick - 2022년 7월 최초 인증 후, 2025년 6월 인증 갱신 - ‘온실가스 배출량 제3자 검증 자발적 이행’ 등 긍정적 평가 안랩(대표 강석균)이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 인증 갱신 심사를 통과해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재인증을 취득했다고 8일 밝혔다. 안랩은 2022년 7월 ISO 14001 인증 획득 후, 2023년

By CheifEditor
토스플레이스-GS칼텍스, 사업 시너지 창출 위해 '맞손'

토스플레이스-GS칼텍스, 사업 시너지 창출 위해 '맞손'

💡Editor Pick - GS칼텍스 주유소에 일체형 토스프론트 결제 단말기 도입 - 토스 UI/UX 전문성과 GS칼텍스 플랫폼 역량 결합 토스플레이스(대표 최재호)가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와 주유 고객경험(CX) 혁신과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 전문성과 인프라를 결합해 주유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