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츠앱, iOS·macOS 대상 ‘제로 클릭’ 취약점 스파이웨어 공격에 악용

왓츠앱, iOS·macOS 대상 ‘제로 클릭’ 취약점 스파이웨어 공격에 악용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메신저 앱 왓츠앱에서 제로클릭 취약점 긴급 패치
- CVE-2025-55177, 사용자 이벤트 없이 트리거 가능하며 즉각 패치 요망
- 피해 대상 기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 발송

메타(Meta) 산하 메신저 앱 왓츠앱이 애플 iOS와 macOS 기기에서 발견된 ‘제로 클릭(Zero-Click)’ 취약점을 긴급히 수정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배포했다. 이번 취약점은 실제 공격에 악용된 정황이 있으며, 최근 애플이 공개한 제로데이 취약점과 연계돼 특정 인물을 겨냥한 고도화된 스파이웨어 공격에 활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문제는 CVE-2025-55177로 분류됐으며, CVSS 점수 8.0으로 평가됐다. 왓츠앱 자체 보안팀이 발견한 이번 취약점은 연결된 기기 간 동기화 메시지 처리 과정에서 권한 검증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발생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피해자의 기기에서 임의의 URL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강제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아도 외부 명령이 기기 내부에서 실행될 수 있는 구조다.

이번 취약점의 영향을 받는 버전은 ▲왓츠앱 iOS 2.25.21.73 이전 버전 ▲왓츠앱 비즈니스 iOS 2.25.21.78 이전 버전 ▲왓츠앱 맥(Mac) 2.25.21.78 이전 버전이다. 해당 사용자들은 즉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특히 이 취약점은 애플이 지난주 공개한 CVE-2025-43300과 연계돼 악용됐을 가능성이 지적된다. CVE-2025-43300은 iOS, iPadOS, macOS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처리 프레임워크(ImageIO)의 메모리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악성 이미지 파일을 열 때 메모리 손상이 발생해 공격자가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문제다. 애플은 이를 “매우 정교한 공격”에서 실제로 무기화된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제인권단체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 보안연구소장 돈카 오케르바일(Donncha Ó Cearbhaill)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왓츠앱은 최근 90일 동안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첨단 스파이웨어 공격에 특정 인물이 노출됐음을 확인하고 일부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경고 메시지에는 기기의 ‘공장 초기화(factory reset)’를 수행하고, 운영체제와 왓츠앱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라는 권고가 포함됐다. 현재까지 어떤 조직 또는 스파이웨어 업체가 공격 배후에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오케르바일은 이번 취약점과 공격 방식이 사용자의 행위 없이도 기기를 감염시킬 수 있는 ‘제로 클릭’ 공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왓츠앱 공격은 아이폰뿐 아니라 일부 안드로이드 사용자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차원의 스파이웨어는 여전히 언론인과 인권운동가 등 시민 사회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제로 클릭 공격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메신저 앱 등을 통해 악성 코드가 전송되지만 사용자가 클릭이나 열람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기에 침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치명적이다. 이러한 공격은 탐지와 차단이 매우 어렵고, 피해자는 감염 사실을 오랫동안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 과거 페가수스(Pegasus)와 같은 스파이웨어 사례에서도 제로 클릭 방식이 활용돼 글로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이번 사안은 왓츠앱뿐 아니라 전체 모바일 생태계가 직면한 구조적 위협을 다시 드러냈다. 애플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가 운영체제 차원의 보안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로데이 취약점이 꾸준히 발견돼 특정 개인이나 단체를 겨냥한 공격에 활용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공급망 차원에서 취약점이 발견되는 즉시 신속히 패치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도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기기 보안 점검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메타와 애플의 빠른 대응은 긍정적이지만, 이번 사례는 고급 스파이웨어가 여전히 전 세계 시민 사회를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언론인, 인권운동가, 정부 비판 인사들이 주요 타깃이 될 수 있는 만큼, 각국 정부와 기술 기업은 보다 적극적인 보안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결국 이번 사건은 “업데이트는 곧 생존”이라는 원칙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모든 사용자는 즉각 최신 버전으로 기기와 앱을 유지해야 하며, 보안 위협이 점점 더 정교해지는 현실에서 개인과 사회 차원의 경각심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맥OS의 안전 장치 우회해 민감 데이터 유출 가능
💡Editor’s Pick - 맥OS 세쿼이아 사용자, 15.4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필요 - TCC라는 보안 장치 우회 가능성 발견돼 - 아이클라우드에까지 영향 줄 수 있는 취약점 맥OS의 TCC에서 데이터 유출 취약점이 발견됐다. MS의 연구원들이 발견해 제보한 것으로, 현재는 해결된 상태다. 아직까지는 이 취약점으로 인한 피해 상황은 보고되지 않고 있지만, 원래
취약점 PoC, 공개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Editor’s Pick - 파일 전송 솔루션 윙FTP서버에서 10점짜리 취약점 발견됨 - 이 취약점 익스플로잇 하면 원격에서 서버 통째로 장악 가능 - 잠잠했다가 PoC 공개된 이후부터 익스플로잇 시도 극성 파일 전송 기술인 윙FTP서버(Wing FTP Server)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이 발견됐다. CVE-2025-47812로, CVSS 기준 10점 만점에 10점을 받았다. 익스플로잇에 성공할 경우 공격자는

Read more

나이 인증 의무화 논란, 아동 보호냐 사생활 침해냐

나이 인증 의무화 논란, 아동 보호냐 사생활 침해냐

💡Editor Pick - 인터넷, 나이 인증에 따른 개인정보 및 표현의 자유 논쟁 - 미국, 영국 관련 법안 추진으로 인증과 프라이버시 충돌 인터넷의 양면성이 다시금 사회적 논쟁의 중심에 섰다. 한편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과 교류의 장을 열어주는 혁신적 도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동이 무분별하게 접근할 경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By CheifEditor
매주 수십억 회 다운로드 되는 NPM 패키지 침해되다

매주 수십억 회 다운로드 되는 NPM 패키지 침해되다

💡Editor's Pick - 유명 NPM 계정 침해한 공격자 - 침해 후 수십억 회 씩 다운로드 되던 패키지 오염시켜 - 다행히 5분만에 탐지돼 막혔으나 위험은 끝나지 않아 어쩌면 최악의 공급망 사건이 될 뻔한 일이 벌어졌다. 보안 업체 아이키도시큐리티(Aikido Security)가 발견해 세상에 알린 것으로, 오랜 시간 npm에서 활동해

By 문가용 기자
심리전 대가의 기획? 깃허브 커밋 활용한 악성 캠페인

심리전 대가의 기획? 깃허브 커밋 활용한 악성 캠페인

💡Editor's Pick - 악성 광고 띄우고 도메인에 깃허브 커밋 넣어 - 유명 서비스 이름값 + IT 전문가에게 익숙한 콘텐츠 - 점점 사람 심리 노리는 사이버 공격자들 기존 악성 광고 캠페인을 응용한,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 공격이 등장했다. 보안 업체 아크틱울프(Arctic Wolf)에 의하면 공격자들이 노리는 건 깃허브 데스크톱(GitHub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