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24, 개인정보 유출 대표 사과

예스24, 개인정보 유출 대표 사과
[예스24 웹사이트 팝업창으로 띄운 랜섬웨어 장애 사고 공식 사과문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랜섬웨어 공격으로 전사 시스템이 마비된 예스24의 김석환, 최세라 대표가 16일 공식 사과했다.

김석환, 최세라 대표는 "예스24는 고객의 신뢰 위에서 성장해 온 플랫폼"이라며 "이번 사고로 인해 그 신뢰가 흔들린 점을 무겁게 받아들이며, 현재 모든 역량을 동원해 피해 복구와 신뢰 회복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외부 랜섬웨어 공격으로 발생한 시스템 장애며, 랜섬웨어 공격 특수성상 해커가 외부 반응을 감시, 추가 위협 할 수 있어 정보 공개 수위와 시점을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회사 입장이다.

현재 복구 현황은 핵심 서비스는 복구 완료됐으며, 리뷰 등 일부 부가 서비스는 순차적으로 복구 중이라는 것.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서비스 유형별로 적용 가능한 보상 기준을 마련 중이며, 오늘 1차 보상안을 공지, 추가 보상안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재안내 하겠다고 전했다.

보안 강화 방안은 정부, 외부 보안전문가와 협력해 사고 원인 조사와 보안 진단을 병행중이라며, 유관기관의 조사 결과에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사고 계기로 보안 체계 원점에서 재점검, 외부 보안 자문단 도입, 보안 예산 확대해 시스템 설계부터 운영 전반까지 플랫폼의 신뢰도와 복원력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예스24 랜섬웨어 장애 사고 공식 사과문


고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2025년 6월 9일, 예스24는 외부 세력의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전사 시스템이 마비되며 서비스 접속이 중단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도서 주문, 전자책 열람, 공연 예매 등 고객 여러분의 소중한 일상 속 활동이 멈추는 불편과 불안을 초래했습니다.
예스24는 그 누구보다 이 불편함의 무게를 통감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로 불편을 겪으신 고객님들과 협력사분들을 비롯한 모든 분들에게 머리 숙여 깊이 사과드립니다.
예스24는 고객의 신뢰 위에서 성장해 온 플랫폼입니다.
이번 사고로 인해 그 신뢰가 흔들린 점을 무겁게 받아들이며, 현재 모든 역량을 동원해 피해 복구와 신뢰 회복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사고 경위 및 복구 현황

이번 사태는 외부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시스템 장애 사고이며, 예스24는 책임 있는 플랫폼 사업자로서 서비스 복구와 보안 점검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공격 직후, 예스24는 내부 분석과 복구를 최우선으로 대응하는 한편, 정부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조사에 성실히 응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 직후 적법한 신고 등을 진행했으나, 랜섬웨어 공격이라는 특수성상 해커가 외부 반응을 감시하거나 추가 위협을 가할 수 있어서 대외적으로 정보 공개 수위와 시점을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었던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럼에도 고객 여러분께 정확한 정보를 더 빠르고 올바르게 전해 드리지 못한 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앞으로는 더욱 투명하고 일관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도서 및 음반, 문구, eBook 등 상품 구매와 티켓 서비스, 주문 결제 등 핵심 서비스는 복구가 완료되었으며, 리뷰 등 일부 부가 서비스는 순차적으로 최선을 다해 복구 중입니다.


고객 피해 보상과 회복 조치

예스24는 서비스 중단으로 불편을 겪으신 고객 여러분께 서비스 유형별로 적용 가능한 보상 기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금일 1차 보상안을 공지하였으며, 추가 보상안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재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재발 방지 및 보안 강화 방안

예스24는 정부 유관기관(KISA,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및 외부 보안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사고 원인 조사와 보안 진단을 병행하고 있으며, 이후 유관기관의 조사 결과에 대해서도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보안 체계를 원점에서 재점검할 예정입니다. 외부 보안 자문단을 도입하고, 보안 예산을 확대하여 시스템 설계부터 운영 전반까지 플랫폼의 신뢰도와 복원력을 강화하겠습니다.
아울러 정부 및 업계와 협력하여 더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고, 사회적 역할을 다하는 책임 있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신뢰를 다시 쌓아가기 위한 이 과정에 진심을 담아 끝까지 책임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시 한 번 불편을 겪으신 모든 분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2025년 6월 16일

예스24 대표이사
김석환, 최세라 드림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