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브랜드 쇼핑몰 사칭 피싱 '기승'

유명 브랜드 쇼핑몰 사칭 피싱 '기승'
골프웨어 브랜드 '풋조이'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 탐지 화면 [이미지: 누리랩]
💡
Editor Pick
- 풋조이, 알리익스프레스, 마리오아울렛, 우영미, 쿠팡 등 사칭 피싱 기승
- 쇼핑몰 도메인과 유사하게 스펠링 만들어 이용자 속여
- 피해자 카드정보, 계좌정보 유출 등 금전 손실 발생에 주의

유명 브랜드를 사칭한 쇼핑몰 피싱이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3일 누리랩에 따르면 골프웨어 브랜드 풋조이, 알리익스프레스, 마리오아울렛, 우영미, 쿠팡, 랄프로렌 등을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탐지됐다며 이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쇼핑몰 사칭 피싱 주소는 다음과 같다.

골프웨어 브랜드 풋조이 사칭 피싱 주소: footjoyvip.shop,

알리익스프레스 사칭 피싱 주소: http://ali881.cc/,

마리오아울렛을 사칭 피싱 주소: https://marioshopmall.net/,

우영미 사칭 피싱 주소: https://www.wooyoungmisales.shop, https://wooyoungmivip.com/,

쿠팡 사칭 피싱 주소: coupang.vercel.app,

랄프로렌 사칭 피싱 주소: https://ralplnlaurenkrs.shop/이다.

이 피싱 사이트는 실제 유명 브랜드 쇼핑몰 웹사이트 주소와 유사하게 만들어 이용자가 착각하도록 속이고 있다.

피싱 사이트는 유명 브랜드를 사칭해 사용자의 경계심을 낮추고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수집, 사용자로부터 가짜 상품 판매 또는 결제 유도를 통한 금전적 사기 수행이 목적이다.

특히 피해자 카드정보, 계좌정보 유출 및 직접적인 금전 손실 발생을 일으킬 수 있고, 제3자 명의 도용과 스미싱 등 2차 범죄로 확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칭 대상인 풋조이 브랜드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용자는 피싱 사이트 접속을 자제하고, 반드시 웹사이트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만약 피싱 사이트가 의심되거나, 피싱 사이트 확인이 필요하면 누리랩 홈페이지에서 피싱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 문자 수신 화면에서 ‘스팸으로 신고’ 클릭을 통해 신고할 수 있다. 카카오톡 채널에선 보호나라 내 ‘스미싱·피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해 신고, 악성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쇼핑몰 사칭 피싱 사이트 ‘기승’ 주의
💡Editor Pick - 쇼핑몰 브랜드 스투시, 파타고니아, LFmall 사칭한 피싱 사이트 활개 - 금전 탈취 목적으로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 탈취...피싱 등 2차 피해 주의 - Askurl서 검색 등 악성 피싱 사이트인지 확인하는 보안 습관 중요 최근 쇼핑몰을 사칭한 피싱 사기 사이트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용자들은 이러한 피싱 사기 사이트에
부킹닷컴 사칭 피싱 주의!..여름휴가철 여행 예약 피싱 기승
💡Editor Pick -유명 여행 예약 사이트와 어플 사칭해 개인 정보 탈취 금전적 피해 입혀 -휴가철 특가 할인, 이벤트 당첨 등 여행 관련 이메일도 각별히 주의 -URL 영문 표기 수상할 경우 접속 금지, AskURL 통해 검사해야 여름철 휴가 시즌을 틈타 여행 예약 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사칭한 피싱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특별한
공공기관 사칭 피싱 활개...URL주의!
💡- 경찰청, 대검찰청, 법무부,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 사칭 피싱 기승 - 최근 사회 관심 집중, 이슈 소재 활용해 피싱 시도 - 공공기관 문자, 직접 공공기관에 연락해 사실 관계 확인 필요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싱 수법이 나날이 교묘해지며 진화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1일 누리랩에 따르면 공공기관 사칭해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개인정보

Read more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Editor Pick - “보이스피싱 등 디지털 범죄, AI 기술 활용해 민·관 협력할 것” 강조 - 보이스피싱 예방에 실질 효과 나타나도록 고도화와 홍보 당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근본 대책 모색 자리가 마련됐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8일 오전, KT 광화문 사옥서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간담회서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AI활용을 주문했다. 배경훈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