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국가 정보보호 체계 개편...AI 사이버 보안 기반 만들 것 "

- 인터넷침해대응센터 방문해 현장 점검
- 국가 정보보호 체계 전면 개편...AI 사이버 보안 기반 만들 것
- 사이버위협 선제 탐지와 침해사고 조사 위해 AI 활용 확대할 것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내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를 방문해 사이버 보안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KISC는 24시간 365일 상시 사이버 위협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한다. 통신사와 주요 기업 정보보호책임자(CISO)와 긴밀히 협력해 침해 사고에 대응하고 있다.
배 장관은 “최근 국내 해킹 사례서 볼 수 있듯이 AI 시대, 보안 역량 확보가 중요하다”며, AI와 바이오 등 첨단기술 융합 과정서 보안은 필수로, 보안 없이는 첨단기술도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국가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 개편해 AI 시대, 견고한 사이버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사이버위협 선제 탐지와 침해사고 조사·분석을 위해 AI 활용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2024 CCAPAC Report: AI and Cybersecurity - Asia Pacific Legal and Strategic Frameworks - CCAPAC, 2024년
- Asia-Pacific's Commitment to Cyber Security Pays Off - Regulatory and AI Cybersecurity Trends - Aon, 2025년
- Securing Asia/Pacific: AI and Trade Challenges in Cybersecurity Strategy - IDC, 2025년
- AI Security Strategy and South Korea's Challenges - Policy Overview - CSIS, 2024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