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스마트폰 ‘선탑재 앱’ 조사

방통위, 스마트폰 ‘선탑재 앱’ 조사
[이미지: 방송통신위원회]
💡
Editor Pick
- ‘스튜디오 앱’ 등 금지행위 위반 소지 확인
- 2023~2024년 출시 갤럭시·아이폰 4종 187개 앱 점검
- 이용자 선택권 보호 강화...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시 법적 조치 예정

방송통신위원회는 2023~2024년 출시된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 등 스마트폰 4종에 선탑재된 187개 앱 점검 결과, 삼성전자의 ‘스튜디오’ 앱이 금지행위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27일 사실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이용자의 선택권 제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법 위반 시 법적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할 때부터 앱이 설치돼 이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선탑재 앱’에 대한 사실조사가 처음으로 진행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출시된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 등 주요 스마트폰 4종에 선탑재된 187개 앱을 점검한 결과, 삼성전자의 ‘스튜디오’ 앱이 금지행위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해당 앱에 대한 사실조사에 나선다.

이번 사실조사는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사가 단말기 기능 구현에 필수적이지 않은 앱을 미리 설치해 이용자가 삭제하지 못하도록 부당하게 제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 방통위는 조사 결과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으로 인정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조치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2021년부터 매년 삭제가 불가능한 선탑재 앱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왔다.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는 날씨, AR두들, AR존, Samsung Visit In, 보안 Wi-Fi 등 5개 앱에 대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조치하는 행정지도를 실시한 바 있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은 단말기 기능 구현에 필수적이지 않은 앱을 이용자가 삭제하지 못하도록 제조사 및 통신사 등에서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을 금지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올해 2월 출시된 갤럭시S25, 아이폰16e 등 최신 스마트폰에 대해서도 선탑재 앱 현황 실태점검에 착수했다. 이 중 이용자의 삭제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보이는 일부 앱에 대해서는 금지행위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필요하면 사실조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번 방통위의 사실조사는 스마트폰 선탑재 앱으로 인한 이용자 선택권 제한 문제를 해소하고, 관련 법령 위반 시 엄정한 조치를 통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취지다. 앞으로도 방통위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이용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선탑재 앱에 대한 점검과 조치를 지속할 예정이다.


‘하트센더’ 악성앱 일당, 파키스탄서 21명 체포
💡Editor Pick - 파키스탄 ‘하트센더(Heartsender)‘라는 서비스형 악성코드 조직이 적발되어 21명이 체포 - ‘하트센더’는 월 구독료를 받고 악성코드·피싱 공격 도구를 판매·유포 - 국제 공조 수사로 39개 관련 도메인과 서버 차단 사진 등 개인정보를 훔쳐 금품을 갈취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판매해 온 대규모 범죄 조직이 파키스탄에서 적발됐다. 파키스탄 연방수사청(
100만명 이용 기프티콘 앱 ‘일상카페’ 개인정보 유출!
‘일상카페‘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일상카페는 국내 모바일쿠폰 기업 ‘즐거운’에서 운영하는 기프티콘 선물앱으로 100만명이 이용 중이다. 이번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이용자는 피싱, 스미싱 등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6일 일상카페 측에 따르면 ”지난 6월 2일 저녁 6시~밤 11시 59분 사이 외부 불법 접근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며 ”개인별로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