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스마트폰 ‘선탑재 앱’ 조사

방통위, 스마트폰 ‘선탑재 앱’ 조사
[이미지: 방송통신위원회]
💡
Editor Pick
- ‘스튜디오 앱’ 등 금지행위 위반 소지 확인
- 2023~2024년 출시 갤럭시·아이폰 4종 187개 앱 점검
- 이용자 선택권 보호 강화...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시 법적 조치 예정

방송통신위원회는 2023~2024년 출시된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 등 스마트폰 4종에 선탑재된 187개 앱 점검 결과, 삼성전자의 ‘스튜디오’ 앱이 금지행위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27일 사실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이용자의 선택권 제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법 위반 시 법적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할 때부터 앱이 설치돼 이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선탑재 앱’에 대한 사실조사가 처음으로 진행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출시된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 등 주요 스마트폰 4종에 선탑재된 187개 앱을 점검한 결과, 삼성전자의 ‘스튜디오’ 앱이 금지행위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해당 앱에 대한 사실조사에 나선다.

이번 사실조사는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사가 단말기 기능 구현에 필수적이지 않은 앱을 미리 설치해 이용자가 삭제하지 못하도록 부당하게 제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 방통위는 조사 결과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으로 인정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조치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2021년부터 매년 삭제가 불가능한 선탑재 앱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왔다.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는 날씨, AR두들, AR존, Samsung Visit In, 보안 Wi-Fi 등 5개 앱에 대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조치하는 행정지도를 실시한 바 있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은 단말기 기능 구현에 필수적이지 않은 앱을 이용자가 삭제하지 못하도록 제조사 및 통신사 등에서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을 금지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올해 2월 출시된 갤럭시S25, 아이폰16e 등 최신 스마트폰에 대해서도 선탑재 앱 현황 실태점검에 착수했다. 이 중 이용자의 삭제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보이는 일부 앱에 대해서는 금지행위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필요하면 사실조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번 방통위의 사실조사는 스마트폰 선탑재 앱으로 인한 이용자 선택권 제한 문제를 해소하고, 관련 법령 위반 시 엄정한 조치를 통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취지다. 앞으로도 방통위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이용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선탑재 앱에 대한 점검과 조치를 지속할 예정이다.


‘하트센더’ 악성앱 일당, 파키스탄서 21명 체포
💡Editor Pick - 파키스탄 ‘하트센더(Heartsender)‘라는 서비스형 악성코드 조직이 적발되어 21명이 체포 - ‘하트센더’는 월 구독료를 받고 악성코드·피싱 공격 도구를 판매·유포 - 국제 공조 수사로 39개 관련 도메인과 서버 차단 사진 등 개인정보를 훔쳐 금품을 갈취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판매해 온 대규모 범죄 조직이 파키스탄에서 적발됐다. 파키스탄 연방수사청(
100만명 이용 기프티콘 앱 ‘일상카페’ 개인정보 유출!
‘일상카페‘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일상카페는 국내 모바일쿠폰 기업 ‘즐거운’에서 운영하는 기프티콘 선물앱으로 100만명이 이용 중이다. 이번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이용자는 피싱, 스미싱 등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6일 일상카페 측에 따르면 ”지난 6월 2일 저녁 6시~밤 11시 59분 사이 외부 불법 접근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며 ”개인별로

Read more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北·中 추정 APT조직, 13개사 이메일 이용자 총226명 피싱 공격

💡Editor's Pick - APT 조직, 정부·기업·보안기업 13개 사이트 이메일 이용자 타깃 피싱 - 대검·KLID·대한민국 공직자 통합 이메일·링네트·방첩사·라온· - 네이버·다음·한메일·디지털트러스트·인비즈넷·옴니원 한국 공무원 타겟 공격자 로그 데프콘에서 화이트 해커 2명이 공개한 APT 조직의 국내 해킹 파일 파장이 커지고

By CheifEditor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줌 클라이언트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

💡Editor's Pick - 줌 윈도용 클라이언트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에서도 심각한 취약점 나와 - 기업용 앱들은 보다 엄격히 관리해야 줌 클라이언트(Zoom Client)와 제록스 프리플로우코어(FreeFlow Core)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초고위험도를 가진 것들도 존재한다. 줌과 제록스 두 회사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취약점들을

By 문가용 기자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포티넷,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하며 “실제 공격 발생” 경고

💡Editor's Pick - 포티시엠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나와 - 실제 공격 있다는 경고도...하지만 구체적 내용은 없어 - 취약점 정보, 덮고 숨기는 게 아니라 공유하고 패치해야 보안 업체 포티넷(Fortinet)이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초고위험도 취약점을 패치하며, 고객들에게 “시급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취약점은 CVE-2025-25256이며, CVSS 기준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