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해킹사고 실시간 공유망 연내 마련

금감원, 해킹사고 실시간 공유망 연내 마련
💡
Editor's Pick
- 금융권 정보보안 담당자 비상연락망과 실시간 연락체계 계획
- 해킹 등 외부 공격 ‘침해 사고’ 전용 즉시 보고 라인 신설
- 금융사, 해킹 피해 제때 보고하지 않아 피해 확산 시 제재와 문책 대상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해킹 사고를 즉각 전파하는 실시간 공유망을 연내 새로 마련한다. 해킹 등 침해사고가 발생하면 카카오톡을 활용해 전 금융사의 보안 책임자들에게 곧바로 피해 상황과 대응 지침을 알리고, 개별 금융사 역시 발생 사실을 즉시 금감원에 보고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번 체계 구축을 통해 금융사 보고 책임을 강화하고, 사고 확대를 사전에 막는다는 방침이다.

“침해 사고 즉각 보고” 새 시스템 마련
1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12월 말까지 금융권 정보보안 담당자들의 비상연락망과 실시간 연락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연락망은 수시로 업데이트되며, 기존 전자금융 장애 보고 체계와는 별도로 해킹 등 외부 공격에 따른 ‘침해 사고’ 전용 즉시 보고 라인이 신설된다.

이전까지는 내부 시스템 장애 사고만 3시간 내 보고 의무가 있었으나 외부 해킹·침해 사고에 대한 즉각 보고 체계는 처음 마련되는 것이다.

보고 지연 시 문책·제재 가능
앞으로 금융사가 해킹 피해 사실을 금감원에 제때 보고하지 않아 피해가 확산될 경우, 당국의 제재와 문책 대상이 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특히 한 금융사에서 발견된 악성코드가 신속히 공유되지 않아 다른 금융사로 퍼지는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 이번 제도를 도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선 보안 담당자에게 전화로 연락이 닿지 않아 초기 대응이 늦는 경우가 있었다”며 “카카오톡 등 실시간 채널을 통해 공지하고 보고 받으면 피해 확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예스24 해킹 여파…금보원과 공조
이번 조치는 올해 발생한 SK텔레콤 대규모 해킹 사태와 예스24, SGI서울보증,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랜섬웨어 반복 피해 사건 등이 계기가 됐다.

금감원은 지난 5월 SKT 사고 직후 금융보안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악성코드 확산 등 금융권 위협 징후를 실시간 공유하는 체계를 준비해왔다.

금보원은 특정 금융사의 피해 발생 전이라도 위험 수준이 높을 경우, 금감원을 통해 금융사 보안 담당자들에게 사전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역할을 맡는다.


[단독] 웰컴금융 그룹 자회사, 랜섬웨어 감염...다크웹에 공개
💡Editor’s Pick -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지난 7월 랜섬웨어 감염 - 랜섬웨어 조직 퀼린, 17일 다크웹에 웰릭스캐피탈 샘플 정보 공개 웰컴금융그룹의 자회사 중 한 곳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가운데 웰컴금융그룹 자회사 중 한 곳 데이터가 다크웹에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랜섬웨어 조직 퀼린(Qilin)은 전세계를 타깃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단독] “Gunra 랜섬웨어 조직, SGI서울보증 데이터 13.2TB 갖고 있어”
💡Editor Pick - 4일 해커, 서울보증보험 데이터 13.2테라바이터 분량 보유 주장 - 데이터 분석 인력 부족하다며 분석 인력 모집에 나서 - 실제 SGI서울보증 데이터 공개 여부 관심...모니터링 및 추적해야 GUNRA 랜섬웨어 조직이 자신이 운영하는 다크웹에 SGI서울보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단 글을 올렸다. 해커 주장이 사실이라면 SGI서울보증을 Gunra랜섬웨어에 감염시킨 해킹
“SGI보증보험, 치명적 보안실수..외부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 열어놔”
💡Editor Pick - SGI보증보험, 4월 17일 SSH서비스를 외부 침투할 수 있도록 열어놔 - 포트 변경 미흡, 접근통제 미흡이 해킹 주요 요인으로 ‘지목’ SGI보증보험이 해커로 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가운데,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도록 포트가 열린 정황이 포착됐다. 지난 4월 17일 SGI보증보험이 사용 중인 VPN안에 SSH서비스가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열려있었던

Read more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Editor's Pick -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전 세계에서 3천 건 이상 탐지 - 메신저 통해 접근, 뱅킹 보안 도구 설치 권유로 감염 유도 금융 보안 앱으로 가장한 스파이웨어 ‘루나스파이(LunaSpy)’가 유포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루나스파이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By CheifEditor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Editor's Pick - 운영체제 무관하게 키 입력 주입, 추가 장치 가장해 악성 행위 - 리눅스 기반 동작 USB 주변기기 펌웨어 무결성 검증 부재 -“주변기기도 소프트웨어다” 사실 인지해야...펌웨어 중요 레노보의 일부 웹캠 모델에서 원격으로 ‘BadUSB’ 공격 장치로 변조될 수 있는 취약점이 확인됐다. 공격자는 운영체제와 무관하게 은밀하게 키

By CheifEditor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해 피싱 사이트와 연관된 URL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기술로 일본 특허를 등록했다고 19일 밝혔다. 특허 기술은 누리랩이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URL 유사도 분석 기술 알고리즘 바탕으로 악성 위협 요소를 분석해 피싱 공격 차단 신기술이다. 신종·변종 사이트 공격 차단을 위해 ▲웹사이트 문자 ▲특수문자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