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중 국군재정관리단장, "해킹 위협 증가, 정보보호 강조해야"

김천중 국군재정관리단장, "해킹 위협 증가, 정보보호 강조해야"
[이미지: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
Editor Pick
-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국군재정관리단, ‘국방보안 역량 강화’ MOU
- 국군재정관리단 정보체계 보안기술 취약점 분석 및 컨설팅 지원

해킹 등 다양한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에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와 국군재정관리단이 손을 맞잡았다.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협회장 김승주)와 국군재정관리단(단장 김천중)은 국방보안 역량 강화 및 상호 발 전을 목표로 15일 국군재정관리단 회의실에서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을 위해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서는 김승주 협회장을 대리한 신동규 부회장 및 박춘석 사무총 장, 국군재정관리단에서는 김천중 단장 및 김태영 계획운영처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내용은 ▲ 국군재정관리단 정보체계 보안기술 취약점 분석 및 컨설팅 지원 ▲ 국군재정관리단 부대원들의 최신 보안기술 습득을 위한 전문강사 지원 ▲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주최 최신 보안기술 세미나 및 견학 등 지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향후, 양 기관에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 추진내용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미지: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신동규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부회장은 “협회 회원사들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은 물론 정보보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국군재정관리단의 정보체계 보안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 향후 양 기관이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천중 국군재정관리단장은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해킹 등의 다양한 위협도 증가함에 따라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에 국방혁신보안기술협회와의 업무협약은 국방재정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상호 협력 및 발전 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라고 전했다.


국방기술품질원, ‘AI 표준화 워킹그룹’ 출범
💡Editor Pick -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표준 공동으로 논의 개발 예정 - 기품원, 객체·탐지 추적 분야 표준 2종 우선 개발 국방기술품질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AI 표준화 워킹그룹(W/G)’을 출범하고, 본격적인 표준 개발에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 AI는 미래 전장의 핵심 기술로, 최근
우주항공청-국방부, 우주분야 상생협력
💡Editor Pick - 우주항공청과 국방부의 우주분과 실무협의회 개최 - 우주분과 실무협의회 통해 우주위험 대응훈련 정례화 예정 - 민관군 공동협력은 필수이며 이에 따른 필요 과제 발굴 미래 국방과학기술 정책협의회, ‘제1차 우주분과 실무협의회 개최’ 우주항공청과 국방부가 최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미래 국방과학기술 정책협의회’ 산하 ‘우주분과 실무협의회‘를 개최했다. ‘우주분과 실무협의회’는 2024년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체결한
방산AI 기업, ”엄격한 보안규제 때문에 무기체계 개발 어려워”
💡Editor Pick - 국방 AI사업 추진·보안규제·실증환경 부족·경직된 획득절차 어려움 제기 - 무기체계 개발 위한 데이터 활용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 강조 무기체계 개발에 엄격한 보안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방산AI기업의 무기체계 개발 어려움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며, 유연한 데이터 활용의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방산혁신기업 100’의

Read more

퍼플렉시티 기반 코멧 브라우저, 알고 보면 악성 내부자?

퍼플렉시티 기반 코멧 브라우저, 알고 보면 악성 내부자?

💡Editor's Pick - 에이젠틱 인공지능 브라우저 코멧, 민감 데이터에 자동 접근 - 프롬프트 주입 공격과 같은 듯 달라...더 교묘하고 권한 높아 - 인공지능 사용에 있어 보안 정책 강화되어야 유명 인공지능 모델인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겨냥한 새로운 공격 기법이 발견됐다. 정확히는 퍼플렉시티의 에이젠틱 인공지능 브라우저(agentic AI browser)

By 문가용 기자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