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전략] 기술 '깡패' 미국, AI 풀스택 전략으로 동맹국에 '강매'

[AI전략] 기술 '깡패' 미국, AI 풀스택 전략으로 동맹국에 '강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14일 정보세계정치학회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특별세미나에서 "자국 중심의 AI 생태계를 구축해 종속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특화형 소버린 AI를 통한 AI 주권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s Pick
-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수석, "미국 AI를 받아들이라" 직설적으로 주문
-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특화형 소버린 AI 통한 AI 주권 확립 필요"

최근 미국의 AI 전략이 심상치 않다. AI 풀스택 수출 전략을 통해 기술 종속을 꾀하고 있다. AI 인프라 패키지를 통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네트워크, AI 모델, 보안 시스템까지 통합 제공해 동맹국에 선택 여지가 없도록 기술 선택을 유도한다.

최근 APEC 포럼에서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OSTP) 수석은 "미국의 AI를 받아들이라"고 직설적으로 주문하며, 기술 선택이 곧 정치적 선택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소버린 AI(Sovereign AI)가 중요한 이유다. 소버린 AI는 한 국가가 자국의 데이터, 인프라, 인력, 규제 체계를 활용해 자국에 부합하는 AI 시스템 개발, 운영을 의미한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14일 정보세계정치학회가 주최한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특별세미나에서 "소버린 AI는 국가 전략 자산 기능을 하며, 데이터 주권 확보, 인프라 자립, 문화, 제도 적합성과 같은 핵심 요소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이 미국과 중국 AI 기술을 따라잡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미국은 700조, 프랑스는 300조를 AI 기술에 투자하는 반면, 우린 100조를 선언한 상태다. 그마저도 5년 동안이며, 1년에 20조원 투자에 불과하다.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한국은 기술력, 인재, 데이터, GPU 인프라 등 모든 면에서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열세에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김동환 대표는 "자국 중심의 AI 생태계를 구축해 종속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특화형 소버린 AI를 통한 AI 주권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우리가 잘하는 특화 분야, 꼭 필요한 분야에 선택과 집중해야 한단 뜻이다.

이를테면 외교, 안보 분야가 그런 경우다. 소버린 AI는 외교,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외교, 안보 소버린 AI 전략에 대해 김 대표는 전략적 자립성 확보, 다자간 국제 협력 강화와 균형 외교, 사이버 안보 및 AI 위협 대응 강화, AI 인재 및 기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화형 소버린 AI 성공 전략 조건으로 김 대표는 "정책적 연계와 예산 확보,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수"라며 "특화 소버린 AI 전략을 통해 자국의 강점, 사회적 신뢰, 외교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구현 전략과 인프라 투자가 병행돼야 주도권 있는 기술, 안보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정보세계정치학회,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특별 세미나 개최
💡Editor Pick -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주제 - 최근 국내외적으로 주목 받는 소버린 AI 개념 정립, 향후 전략 방향 탐색 정보세계정치학회(KAWPI: Korean Association of World Politics of Information)가 “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주제로 특별세미나를 개최한다.
[칼럼] “AI가 명령을 거부했다.”
AI의 인간 명령 거부 사건과 인류의 실존적 위협 문제 AI, 권한과 책임 주체로 바라보고 접근해야 위기 대응 유연성과 통제 회복별도 관심 갖고 균형있는 자원 투입돼야 [칼럼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신안보연구실 연구위원] 최근 챗GPT 오픈AI서 출시한 추론 모델 ’03′가 실험 과정서 인간이 내린 종료 명령을 거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03는 스스로 실행중인
AI·디지털 협력에 대한 APEC 공동 비전 담은 장관 선언문 채택
💡Editor Pick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디지털·AI 장관회의 개최 - AI·디지털 정책과 혁신 사례 공유, 국제협력 필요성 강조 4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이하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서 AI·디지털 협력에 대한 APEC의 공동 비전을 담은 장관선언문이 채택됐다. 선언문은 APEC 주요 성과로, 지난 2월부터 이어진 회원경제 간 실무 논의와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