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기술품질원, ‘AI 표준화 워킹그룹' 출범

-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표준 공동으로 논의 개발 예정
- 기품원, 객체·탐지 추적 분야 표준 2종 우선 개발
국방기술품질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AI 표준화 워킹그룹(W/G)’을 출범하고, 본격적인 표준 개발에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
AI는 미래 전장의 핵심 기술로, 최근 해외 분쟁에서도 전략적 가치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국방 AI는 아직 초기 단계로, 기술 적용을 위한 공통 기준과 품질관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기품원은 전문가 협력 기반의 표준화 추진을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무기체계 확보를 위한 기반을 마련코자 이번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워킹그룹에는 기품원을 중심으로 국방부, 방위사업청, 각 군, 국벙과학연구소, 한국국방연구원 등 국방 관련 기관은 물론, 민간 AI 전문기관, 방산업체 등 약 3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실무 경험과 기술 전문성을 갖춘 이들이 함께 모여, 실제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표준을 공동으로 논의하고 개발할 예정이다.
'기품원은 객체ㆍ탐지 추적 분야 표준 2종을 우선 개발하고, 이후 ▲의사결정지원, ▲자율형시스템, ▲멀티모달리티 등 기술 수요가 높은 분야로 표준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외 선진국 AI 표준을 분석하고 국방 특성에 맞게 재설계함해, 독자적이면서도 국제적 수준의 ‘한국형 국방 AI 표준체계’를 구축함 방침이다.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장은 “AI는 미래 전장의 판도를 바꿀 기술인 만큼,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춘 표준화 기반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워킹그룹 출범을 계기로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국방 AI 기준을 선도하고, K-방산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 Materials
- 디지털 전환에 따른 국방분야 표준화 발전방안, 2023년
- SIPRI Yearbook 2024, 연감: 한국어 요약, 2024년
- 글로벌 방위산업 동향 Ⅰ,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