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메일 가짜?…홈택스서 확인

국세청 메일 가짜?…홈택스서 확인
국세청 홈택스 누리집 첫 화면
💡
Editor Pick
- 국세청 발송 메일·문자 진위여부,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
- PC는 27일부터, 모바일은 7월 4일부터 서비스 제공
- AI·사이버 공격 대응으로 국민 불안 해소 및 보안사고 예방

국세청은 국민이 수신한 메일·문자메시지가 실제 국세청에서 발송한 것인지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국세청 발송메시지 진위확인 서비스'를 27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에 국세청에서 발송한 메일·문자메시지 진위여부는 홈택스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돼, 국민의 불안과 불편 해소는 물론 보안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확인은 PC와 모바일 모두 가능한 바, 홈택스에 로그인한 후 '메일·문자발송내역조회'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모바일 홈택스는 오는 7월 4일부터 가능한다.

그동안 사이버 공격자들은 '소득세 환급금 지급', '미신고 자금출처 해명자료 제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등 국세청을 사칭한 악성 메일을 지속적으로 유포·열람을 유도하며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했다.

때문에 국세청은 "의심스러운 문자 클릭 금지" 등 해킹 유형별 공격사례에 대해 메일 수신 시 유의사항을 정기적으로 안내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해 왔다.

그러나 AI 등 기술의 발달로 국세청 도메인 주소(@nts.go.kr)까지 악용한 해킹 메일이 발송되는 등 그 형식과 내용이 더욱 정교해지면서 메일의 진위 여부를 구별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메일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세청에 직접 문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국세청은 진위확인 서비스를 개통하는 바, PC는 '홈택스→나의 홈택스→나의 알림(우편물·안내문)→우편물 발송 내역조회 및 메일·문자 발송 내역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휴대폰의 경우는 '모바일 홈택스→My 홈택스→우편물 발송 내역조회 및 메일·문자 발송 내역조회'에서 확인 가능하다.

국세청은 앞으로도 사이버 범죄로부터 납세자 피해 예방과 소중한 과세정보 보호를 위해 적극행정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반품 요청’ 메일 위장 주의...악성코드 유포!
최근 온라인 쇼핑몰 판매업체들을 대상으로 배송 상품 파손을 사유로 반품을 요청하는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메일은 발신자 명에 ‘환불 또는 반품(상품 파손)‘이라는 문구를 넣어 발송됐다. 메일 본문에는 ‘상세 내용을 첨부했으니 확인해 달라’는 내용으로 첨부파일 열람을 유도한다. 첨부된 파일은 ZIP 형식의 압축
‘법 위반’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
💡Editor Pick - 저작권 침해 사칭 메일통한 정보탈취형 악성코드 유포 - 법무법인 법률대리인 사칭, ”경찰로부터 수집된 문서.pdf” 유의 ‘저작권법 위반 통지’를 사칭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 확산 최근 ‘법 위반 통지’로 위장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InfoStealer)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개인과 기업 사용자의 주의가
5월 피싱 이메일, 링크 첨부해 ‘피싱’ 사이트 유도 72%
💡Editor Pick - 안랩 2025년 5월 APT 동향에서 LNK 유포가 높은 비중 차지 - CAB내에 Python 포함되는 경우도 확인 피싱이 72%, 트로젠 23%, 다운로더 4%, 인포스텔라 1%, 익스플로잇 1% 순 5월 한 달 동안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위협 유형은 피싱으로 나타났다. 최근 안랩이 발표한 ’2025년
넷플릭스 사칭 피싱 주의!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 사칭 피싱이 발견돼 이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넷플릭스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는 netfgg.vip다. IP 주소는 103.194.186.118로 중국이다. 이 피싱 사이트는 넷플릭스 로고를 사용해 유명 플렛폼인것 처럼 속이고 있다. 도메인 등록 날짜는 지난 10일 최근으로 확인됐다. 피싱 사이트는 투자 사기를 목적으로 이용자에게 접근한다. 사기
SK이노베이션 사칭 피싱 주의!
SK 이노베이션을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사이트는 2개로 skbattery.vip와 sk-eletricity.com이다. 10일 누리랩에 따르면 탐지된 첫번째 피싱 사이트는 소액 투자, 고수익, 팀미션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뺏거나 금전적 손해를 입히는 악의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도메인 등록일이 최근에 이뤄졌는데, 이는 피싱 사이트의 특징 중
한국무역협회 트레이드코리아 피싱 주의!
💡Editor Pick - 한국무역협회 트레이트코리아 사칭 피싱 사이트 발견 - luck-shimmering-pansy.glitch.me, nasal-rough-earthquake.glitch.me, whip-wheat-quail.glitch.m 한국무역협회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코리아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돼 이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사이트는 luck-shimmering-pansy.glitch.me, nasal-rough-earthquake.glitch.me, whip-wheat-quail.glitch.me 3개다. 누리랩에 따르면 한국무역협회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코리아
삼성전자 사칭한 피싱 주의!
삼성전자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돼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누리랩은 삼성전자 사칭 피싱 사이트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탐지된 삼성전자 피싱 및 사기사이트는 https://ssjj-stcb.com과 https://samco-sec.com이다. 첫 번째 피싱 사이트의 경우 삼성전자 발행주식 등을 사칭하고 있다. 개인정보와 금전 등을 갈취하려는 목적을 가진 피싱 사이트다. 이용자는 해당

Read more

드디어 공개된 '킴'의 데이터...피해 정황만 한가득이긴 한데

드디어 공개된 '킴'의 데이터...피해 정황만 한가득이긴 한데

💡Editor's Pick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이 8.9GB 분석 완료 - 행안부, 외교부, 통일부, 해수부, LG유플, 한겨레, KT가 당해 - 피해 정황 있지만 실제 피해 사실은 당사자들이 직접 확인해야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핵티비스트들이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한 8.9GB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측에서

By 문가용 기자, CheifEditor, Donghwi Shin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Editor Pick -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Root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견 - 인터넷 망에서 SecuwaySSL 장비 SSH 접속 포트 차단 정책 설정해야 보안기업 시큐위즈의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취약점이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용자들은 빠른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 22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긴급조치 방안을 발표했다.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