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 해결 지원"

행안부,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 해결 지원"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25일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해결 지원센터’ 개소
- ‘공공데이터포털’에 상시 접수 창구 운영

행정안전부가 25일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해결 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센터는 기업의 공공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해 주는 지원 창구다. 센터 지원 대상은 제공신청 또는 분쟁조정을 거쳤으나, 추가 가공 혹은 제공 기반 미흡 등을 사유로 보유기관으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한 기업이다.

[이미지: 행정안전부]

센터는 행정안전부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문제해결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보유기관과 협의, ▴공공데이터 제공 가능 여부 판단, ▴데이터 제공 및 지원 방안 제시 등 협의·조정 기능을 수행하며, 운영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서 맡는다.

문제해결 신청은 ‘공공데이터포털 누리집’서 온라인으로 하거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방문하면 할 수 있다.

앞으로 행정안전부는 첫 번째 신청기업인 바리코퍼레이션(이륜차 종합 서비스 플랫폼 운영 기업)의 이륜차 정보 개방 과제를 시작으로,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돕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과제로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공공데이터는 기업의 AI 제품·서비스 개발과 국가 AI 경쟁력 제고의 핵심 자산”이라며, “이번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해결 지원센터’를 개소해 기업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공공데이터 개방을 촉진하여 공공부문에서도 우리나라의 AI 3강 도약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I에 1,793억원 추가경정예산안 의결
💡Editor Pick -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대전환’ 본격 추진 총 656억원 예산 투입 - 500억원 AI혁신펀드 추가 조성...AI 분야 유망 기업 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강화 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 30억원 국회 본회의서 총 1,793억원 규모의 인공지능(
투자 1순위,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Editor Pick - 소재부품장비 투자연계형 사업 통해 183개社 8,501억 원 투자유치 - 지난해 비해 653억 증가 수치로, 역대 최고 투자 금액 기록 -AI반도체 2,602억원,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 로봇441억원 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올해 ‘소부장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첨단 소부장 분야서 총 8,501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구글, 제미나이 통해 서드파티 앱 데이터 가져간다
💡Editor’s Pick - 구글, 제미나이 정책 변경 통해 서드파티 앱 데이터 확보 - 카카오톡, 왓츠앱, 문자 메시지, 통화 기록 등 위험 - 옵트아웃 쉽지 않아... 자동 옵트인은 기업들의 꼼수 구글이 자사 대표 AI 엔진인 제미나이와 관련된 정책을 오늘부로 변경했다. 이제부터 제미나이는 장비 내 설치된 서드파티 앱의 데이터에도 접근할 수 있게

Read more

다가오는 주말, 한국 정부 기관 데이터 공개될까?

다가오는 주말, 한국 정부 기관 데이터 공개될까?

💡Editor's Pick - 지난 주 날아든 핵폭탄급 소식 - 이번 주말에도 예고된 핵폭탄급 소식 - 정보 공개자는 화이트햇일 것인가, 블랙햇일 것인가 지난 주말 데프콘(DEF CON)이라는 국제 해킹 대회에서 데이터 폭탄이 떨어졌다.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이름의 두 해커가 한 APT 조직의 내부 인프라에서 얻어낸

By JustAnotherEditor
캐나다 연방 정부 사이버보안 혁신 - 양자 컴퓨팅 시대 준비

캐나다 연방 정부 사이버보안 혁신 - 양자 컴퓨팅 시대 준비

💡Editor Pick - 포스트 양자 암호(PQC) 로드맵 발표, 2035년까지 전면 전환 - 양자컴퓨터 위협 대비한 차세대 암호 기술 도입 - QEYSSat 프로젝트로 위성 기반 양자 통신 실험 추진 캐나다 연방 정부가 포스트 양자 암호(Post Quantum Cryptography, PQC) 로드맵 "Roadmap for the migration to post-quantum cryptography for the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보안통제 추가, 부록 1,2 고도화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보안통제 추가, 부록 1,2 고도화

💡Editor's Pick - 국가 망 보안체계 신설·보안 통제 기술 구현 상세화·보안정책 변화 반영 - 기존 176개 항목에서 200~260여개로 확대...관리적 요소 반영 - 국정원 관계자, "최신 보안기술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예정" 국가 망 보안체계 가이드라인 1.0이 베일을 벗었다. 기존 가이드라인(Draft)을

By CheifEditor
윤흥구 한전 KDN 부사장 "국가 기관망 공격, 과거와 다른 사이버 위협"

윤흥구 한전 KDN 부사장 "국가 기관망 공격, 과거와 다른 사이버 위협"

💡Editor's Pick - 차세대 국가망 보안 체계 확립 기초를 튼튼히 해야 - 국가망 보안 체계 N2SF, 국가 안보 측면서 우선 고려 연구돼야 국가 기관망 타깃으로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대해 신국가망 보안 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윤흥구 한전 KDN부사장은 13일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기술정책연구위원회 하계 워크숍'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