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아태지역 기업, AI 도입 의지에 비해 준비 미흡”

IBM, “아태지역 기업, AI 도입 의지에 비해 준비 미흡”
[이미지 IBM]
💡
Editor Pick
- 기업 85% ‘AI 준비 완료’ 주장했지만 불과 11% 만 준비 갖춰
- 전략 불일치, 인재와 도입에 대한 사각지대, 부서 간 단절된 접근 등 문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기업이 AI와 인더스트리 4.0 역량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반면, 기술 도입에선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BM이 최근 발표한 '아태지역 AI 기반 인더스트리 4.0: 미래 산업을 위한 준비'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기업이 설계와 공급망 등 일부 영역에 디지털 도구를 도입했으나, 전사 가시성, 협업, AI 중심의 디지털 기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태지역 AI 기반 인더스트리 4.0: 의지와 현실 간극
응답자 85%가 자사 ‘데이터 기반’, ‘AI 우선’ 조직이라 평가했지만, 실제 성숙도 단계 기업은 11%(데이터 기반 9%, AI 우선 2%)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기업 리더들이 성숙도를 과대평가할 경우 전략적 투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전환 과정서 병목 현상이나 정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시사했다.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전략 불일치: 10%의 기업만이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전사적으로 내재화하고 있으며, 70%는 실행력 없는 전략, 단절된 계획, 또는 고립된 파일럿 프로젝트에 머물고 있다. 이는 단편적이고 비효율적인 진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재와 도입에 대한 사각지대: 직원 저항에 대해 우려하는 기업은 19%에 불과하며, 26%만이 공식적인 재교육 또는 변화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내부 전문성에 자신이 있는 기업도 16%뿐이다. 인재 역량 강화와 참여 유도를 위한 집중된 투자가 부족하면 AI 도입은 시범 단계에서 정체될 수 있다.

부서 간 단절된 접근: 약 67%의 기업이 부서 단위로 단편적으로 사례를 도입하고 있으며, 73%는 부서 간 지식 공유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핵심 디지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지연: 예측 유지보수를 광범위하게 도입한 기업은 40%, 실시간 공급망 가시성을 확보한 기업은 37%에 그쳐, 중단이나 운영 차질의 위험에 취약하다.

제한적인AI 통합: 63%는 AI를 개별 프로세스에 한정해 적용하고 있으며, AI/ML을 전략적 핵심으로 간주하는 기업은 10%에 그쳤다. 이로 인해 지능형 운영이 조직 전반에 걸쳐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인더스트리 5.0 준비를 위한 아태지역의 과제와 방향
향후 인간 중심과 지속가능성, 회복탄력성을 핵심으로 하는 인더스트리 5.0으로의 전환은 여전히 큰 도전 과제로 남아있다.

제품 설계 및 운영 등 주요 기능에서 고객 피드백을 전략적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체계를 구축한 기업은 23%에 그치고 있다.

실시간 지속가능성 측정을 위해 투자한 기업은 단 28%이며, 실제로 성과를 측정하고 보고할 수 있는 기업은 그 중에서도 1/4뿐이다.

사이버 회복탄력성 측면에서는 50%가 방화벽과 엔드포인트 보안 등 기초적인 통제 수단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공급업체 리스크 평가, SIEM, AI 기반 거버넌스 같은 고급 보안 관행은 제한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선도 기업이 보여주는 인더스트리 4.0 모범 사례
동진쎄미켐은 IBM 왓슨x.ai 기반의 안전한 온프레미스 생성형 AI 플랫폼 ‘ASK’를 구축해 R&D 및 운영 전반의 의사결정을 AI로 가속화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스마트 모듈러 테크놀러지스(SMART Modular Technologies) 는 IBM 맥시모 비주얼 인스펙션(Maximo Visual Inspection)을 활용해 품질검사를 자동화하고, 고위험 제조 환경서 속도와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중국 폭스바겐 FAW 엔진은 구조화된 데이터 중심 리더십을 통해 5G, AI, 자율 로보틱스를 통합하여 리드타임을 40% 단축하고 있다.

IBM은 아태지역 산업 리더를 위해 가치 중심의 기술 전략 수립, 전사적 영향력 확대를 위한 핵심 기술 활용, 데이터를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 빠른 기술 통합을 위한 준비, 인더스트리 5.0 사고방식 도입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IBM, “AI 보안 운영 전환, 향후 36개월이 승부처”
💡Editor Pick - AI 도입률 50% 증가 전망, 2028년까지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전환 예고 - 보안 책임자 64%, 2년 내 모든 IT 직원 AI 에이전트 사용 기대 -IBM, AI-중심 보안 운영 체계 구축 위한 로드맵 제시 IBM 기업가치연구소(IBV)는 오늘 ‘사이버시큐리티 2028(Cybersecurity 2028)’ 보고서 발표를 통해 AI 기술이
IBM,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로드맵 공개
💡Editor Pick - IBM, 퀀텀 로드맵 공개하고 2만배 이상의 처리 능력 예상 - IBM은 로드맵 통해 향후 구체적이 이정표 제시 현 양자 컴퓨터보다 2만 배 많은 작업 처리 가능한 시스템 구현 방법 제시 IBM이 대규모 오류 내성 양자 컴퓨터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9년에 선보일 IBM 퀀텀 스탈링(이하 ‘스탈링’)은
IBM,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 팬들 소통 창구 AI 기능 공개
💡Editor Pick - ‘매치 챗’ 통해 실시간 남녀 단식 경기 분석 및 인사이트 제공 - 경기 중 매 순간 반영되는 ‘승률 예측’ 기능 강화 IBM과 윔블던 테니스 대회 주관사인 AELTC(The All England Lawn Tennis Club)가 손을 맞잡고,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기능을 공개했다. 이번에

Read more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는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By CheifEditor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KLM, 고객 정보 유출… 멤버십·연락처 노출

에어프랑스와 KLM이 고객 상담용 플랫폼이 해킹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사는 침해 사실을 파악한 직후 공격 경로를 차단했으며, 항공사 자체 네트워크와 결제 시스템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회사 발표에 따르면 해커가 접근한 대상은 제3자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고객 이름·이메일·전화번호·보너스 마일 정보·최근 거래 내역 등이 포함된

By Senior Editor, Donghwi Shin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By CheifEditor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