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렬 산업정책실장, "AI, 드론 등 첨단기술 분야 국산화 이룰 것"

- ‘제1회 첨단민군협의체’ 개최
- 협의체서 발굴ㆍ선정된 민군 유망 R&D과제, 기획 예산확보 등 지원
AI와 드론 등 첨단기술이 국방분야에서도 빠르게 도입ㆍ고도화되고 있는 가운데, 첨단 전략무기의 수출통제가 강화되며 공급망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방산 첨단화와 소재ㆍ부품 기술 자립화를 목표로 민ㆍ군이 함께하는 기술협력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민군 협력 소통 플랫폼인 ‘제1회 첨단민군협의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2월, 민ㆍ군이 공동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완료하고, 그 산하의 분과위원회와 워킹그룹을 통해 우리 군의 수요에 기반한 유망 기술과제(290여건)를 발굴해 왔다. 이번 협의체서 발굴ㆍ선정된 민군 유망 R&D과제에 대해서는 기획부터 예산확보, 연구개발 착수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협의체를 통해 K-방산의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방산 4대 강국 도약을 위해 소재ㆍ부품ㆍ장비 등 핵심기술의 자립화가 중요하다”며,“AI, 드론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도 민ㆍ군 협력을 강화해 방산 첨단화와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술 국산화를 이루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실장은“협의체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지난 출범식에서 체결된 MOU를 토대로 협의체 운영규칙을 마련하고, 첨단기술의 신속한 국방 적용과 민군겸용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육ㆍ해ㆍ공군과 방위사업청, 방산 기업, 정부출연연구소 등이 참석해 민군 R&D과제 발굴 등 상반기 추진현황과 향후 협력방향을 공유하고 첨단민군협의체 유공자 포상도 실시했다.
Related Materials
- 해외 주요국의 국방AI 현황 연구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논문집, 2023년 (미국, 영국, 호주, 중국 등 주요국의 AI 무기체계 정책·전략 및 개발 현황 분석 논문)
- AI 무기체계 현황 및 시사점: AI 드론을 중심으로 - 국회예산정책처, 2024년 (한국 및 유럽·독일 등 AI 드론·무기체계 개발 현황, 기술분석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
- 트럼프 행정부 2기 AI 정책과 한미동맹의 AI 협력 전략 - 국립외교원, 2024년 (미국 및 한미동맹 내 자율무기체계·AI 전투로봇 운용 현황 및 연합 AI 무기체계 개발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