흩어졌다 뭉쳤다...모듈의 장점 극대화 하는 멀웨어, 제이에스실
- 제이에스실, 지난 해 3월부터 계속 퍼지고 있어
- 주로 암호화폐 지갑 관련 정보 훔쳐내는 중
- 모듈 구성이라 탐지는 어려워지고 공격은 유연해지고
제이에스실(JSCEAL)이라는 악성 코드를 유포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공격자들은 가짜 암호화폐 거래 앱 형태로 멀웨어를 퍼트리고 있다. 제이에스실은 일종의 데이터 수집 멀웨어로, 이 캠페인에서는 피해자의 로그인 크리덴셜 및 암호화폐 지갑 관련 데이터를 훔쳐내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안 업체 체크포인트(CheckPoint)가 현재 이 캠페인을 추적 중에 있다.
공격의 순서
공격자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건 페이스북 광고 플랫폼이다. “수천 개의 악성 광고를 통해 피해자들이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합니다. 사이트에서는 특정 앱을 설치하라고 피해자들에게 권하는데, 이 역시 허위 앱입니다.” 여기서 ‘수천 개의 광고’라는 표현에 의아할 수 있다. 광고 수천 개를 페이스북에 띄우려면 돈을 많이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격자들은 미리 수많은 계정들을 훔쳤습니다. 그리고 이 계정들을 활용해 가짜 거래 앱 광고도 하고 소문도 퍼트리는 중입니다.”
광고를 클릭했다면 피해자들은 여러 사이트를 우회 접속한 후 마지막에 어떤 한 페이지에 도달한다. 이 마지막 페이지들은 각종 정상 웹 서비스를 모방하고 있다. “이 페이지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파일은 로컬호스트의 30303 포트를 통해 서버와 연결을 시도합니다. 그 외에도 제이에스실 설치와 관련된 자바스크립트와 POST 요청을 시작하는 자바스크립트도 같이 있습니다. 피해자 시스템으로는 설치 프로그램 하나가 다운로드 됩니다.”
여기서부터 세 자바스크립트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하나는 다운로드 된 설치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여러 개의 DLL 파일을 피해자 시스템에 심는다.(이 DLL 파일들 하나하나가 제이에스실의 조각들이다. 뒤에 설명이 나온다.) 또 다른 하나는 30303 포트를 통해 서버와 연결한 후 가짜 HTTP 리스너를 발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POST 요청을 처리하기 시작한다. “세 자바스크립트가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라도 작동하지 않으면 전체가 멈춥니다. 공격이 더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체크포인트의 설명이다.
이런 모든 일들이 배경에서 이뤄진다. 피해자가 보고 있는 화면에는 웹뷰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피해자를 정상 웹사이트로 안내합니다. 즉 피해자 입장에서는 뭔가 좀 느려지거나 버벅이긴 했지만 결국 자기가 원하는 웹사이트로 접속하는 데 성공하는 겁니다. 그러니 의심하기가 힘듭니다.”
위에 언급된 DLL들은 각각 POST 요청을 처리하거나,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스템 핑거프린팅 작업을 실시하도록 설계돼 있다. “그 외에도 브라우저 쿠키 및 자동 완성 비밀번호, 텔레그램 계정 정보, 스크린샷 캡쳐, 키로깅 등을 훔칩니다. 그리고 그걸 가지고 중간자 공격을 수행하기도 하고 암호화폐 지갑에 손을 대 자금을 훔쳐내기도 합니다.”
모듈형 멀웨어
제이에스실이 퍼져간다는 건 보안 솔루션들을 잘 피해간다는 뜻도 된다. 체크포인트도 이 점을 집중 분석했고, 그 결과 공격자들이 멀웨어를 모듈형으로 구성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멀웨어를 기능별로 조각조각 냈습니다. 그리고 이 조각들을 각기 다른 파일로 만들었고요. 하나하나는 멀웨어 탐지기에 걸리지 않습니다. 모든 조각들을 통과시킨 뒤 피해자 시스템에서 하나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이에스실이 완성됩니다.”
모듈형이기 때문에 탐지되지 않는다는 점도 있지만, 모듈형이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새로운 전술을 구사하는기에도 용이하다. “공격자가 다양한 감염 프로세스로 피해자 컴퓨터에 접근할 수도 있게 해 주고, 공격 단계별로 상황에 맞는 페이로드를 그때 그때 적용할 수도 있게 해 줍니다. 공격자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해 주는 멀웨어입니다.” 이 캠페인은 최소 2024년 3월부터 진행되고 있다. 배후 세력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체크포인트 외에도 여러 보안 업체가 주시하는 중이다.
Related Materials
- New JSCEAL Malware Targets Crypto App Users - Check Point Blog, 2025년
- New JSCEAL Attack Aims to Steal Credentials and Wallets from Crypto Users - GBHackers, 2025년
- Hackers Use Facebook Ads to Spread JSCEAL Malware via Fake Crypto Apps - The Hacker News, 2025년
- New JSCEAL Attack Targets Crypto App Users to Steal Credentials - CyberPress,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