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K 파일 이용한 APT 공격 주의!

- 6월 스피어피싱 메일 중 LNK 파일 첨부 공격 74.25% 가장 큰 비중
- HWP 한글 파일 이용한 공격도 전월 대비 증가
의견 제출, 해명자료, 소명자료, 이력서 등으로 위장한 이메일 공격이 포착됐다. 이메일 공격은 첨부 파일에 LNK 악성파일을 넣어 클릭을 유도한다. 뚫릴 때 까지 공격하는 APT공격으로, 이용자는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에 따르면 국내서 확인된 APT 공격 대부분은 스피어피싱 메일 공격 방식으로 유포됐다. 특히 지난 6월 스피어피싱 메일 중에서도 LNK 파일을 활용해 첨부한 공격이 74.2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HWP 한글 파일을 이용한 공격도 전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스피어피싱(Spear Phishing)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피싱 공격의 일종이다. 일반 피싱과 달리, 공격자는 공격수행 전 정찰 단계를 통해 공격 대상자 정보를 수집, 파악한다. 공격자는 수집된 정보를 활용해 피싱 이메일을 제작해 수신자는 신뢰할 수 있는 이메일로 판단할 확률이 높다. 또한, 이메일 스푸핑을 통해 발신자 주소를 위조하는 사례도 있다. 대부분 스피어피싱은 이메일 내 악성 첨부 파일, 악성 링크 포함 후 사용자 실행을 유도한다.
발견된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 Signal Marketplace 거래 내역 확인 및 의견 제출서_20250617.docx.lnk
- 가상자산거래소 법인 계좌 허용 관련 사전 의견 조회(코인마켓).hwp.lnk
- 국민은행 송금 및 거래내역 관련 소명자료 제출 요청 안내(20250622).hwp.lnk
- 국민은행 송금 및 거래내역 관련 소명자료 제출 요청 안내(20250625).hwp.lnk
- 미신고 자금출처 해명자료 제출 안내(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hwp.lnk
- 미신고 자금출처 해명자료 제출 안내.hwp.lnk암호화폐 수령 확인서.docx.lnk
- 임**_15년차 경력기술서_이력서_20250521.docx
일부 악성 LNK 유포 당시, 압축 파일 내부에는 LNK 파일과 정상 문서가 함께 포함돼 있다. 실행된 스크립트 파일은 사용자 PC 정보 유출, 추가 파일 다운로드 등의 악성 행위를 한다.
이외에도 국가정보와 방첩 원고.lnk 첨부파일도 발견됐다. 사용자가 정상 파일을 실행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LNK 파일을 이용한 APT 공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백신 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을 수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Related Materials
- 2024년 05월 APT 공격 동향 보고서(국내) - ASEC , 2024-07-29
- 비상계엄 테마 APT 공격과 Kimsuky 그룹 연관성 분석 - 지니언스 , 2024년
- ASEC 블로그 - AhnLab , 2024-09-02
- 사이버보안 대연합 보고서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 2023-11-17
- 사이버보안 대연합 보고서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 2023-12-15
- K 메신저로 유포된 'APT37' 그룹의 악성 HWP 사
5월 APT 공격, LNK 유포 64%💡Editor Pick - 안랩 2025년 5월 APT 동향에서 LNK 유포가 높은 비중 차지 - CAB내에 Python 포함되는 경우도 확인 지난 5월 한 달간 스피어피싱(Spear Phishing)을 활용한 LNK를 유포한 APT 공격이 두드러졌다. 안랩이 12일 발표한 ’2025년 5월 APT 공격 동향 보고서(국내)’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확인된북한 김수키 해킹조직, SNS 악용해 APT 공격북한 사이버 공격 조직 김수키의 APT(지능형지속위협) 공격이 포착됐다. 이들은 지난 3월~4월까지 한국내 페이스북, 이메일, 텔레그램 이용자를 노리고, 두 개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정찰과 공격대상을 탐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페이스북으로 접근했던 공격 사례 경우, ‘Transitional Justice Mission’ 계정을 통해 대북 분야 종사자에 온라인 친구 신청을 하고, 메신저로 대화를 신청했다. 공격자는‘법 위반’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Editor Pick - 저작권 침해 사칭 메일통한 정보탈취형 악성코드 유포 - 법무법인 법률대리인 사칭, ”경찰로부터 수집된 문서.pdf” 유의 ‘저작권법 위반 통지’를 사칭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 확산 최근 ‘법 위반 통지’로 위장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InfoStealer)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개인과 기업 사용자의 주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