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PAM 악용 악성코드 주의!

리눅스 PAM 악용 악성코드 주의!
[이미지 안랩]
💡
Editor Pick
- PAM 모듈로 구현된 악성코드로 자격 증명 정보 탈취
- 공격자, 획득 자격 증명 정보 C&C 서버에 전송

최근 PAM 악성코드로 자격 증명 정보 탈취가 포착됐다. 탈취된 자격 증명 정보는 공격자 서버로 전송된다.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PAM 악성코드
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은 su, sudo, sshd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인증과 같은 보안 정책 로직을 직접 구현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형 프레임워크다. 이를 악용해 공격자는 PAM 모듈로 구현된 악성코드로 자격 증명 정보를 탈취한다. 이러한 유형 악성코드는 2025년 5월 Nextron사에서 공개한 보고서에서도 공개된 바 있다. 

공격자는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자격 증명 정보 탈취 목적으로 PAM 악성코드를 제작했다. 획득한 자격 증명 정보는 C&C 서버에 전송한다.

PAM 후킹 악성코드(Plague)
PAM 모듈 형태로 악성코드를 제작하고 등록하지 않아도 함수가 후킹될 경우 자격 증명 정보가 탈취될 수 있다. 공격자는 응용 프로그램이 특정 함수를 호출할 때 먼저 호출되는 PRELOAD 방식을 악용했다.

Plague 악성코드가 감염 시스템에 설치되면 사용자가 로그인 시 특정 경로에 자격 증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changeme”라는 비밀번호를 입력했는지 검사해 매칭될 경우에만 로그인을 성공시킨다. 공격자는 기존 계정들의 비밀번호와 상관없이 비밀번호 “changeme”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Plague악성코드는 공격자가 비밀번호 “changeme”를 통해 로그인할 경우 쉘 히스토리가 남지 않도록 한다. 자격 증명 정보가 포함되는 파일은 은폐한다. Plague 특성상 PRELOAD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안랩은"두 방식 모두 리눅스 서버 사용자 계정에 대한 자격 증명 정보 탈취에 악용될 수 있다"며 "이외에도 공격자가 지정한 특정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모든 계정에서 로그인에 성공할 수 있도록 설정해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공격자는 최근 PAM을 통한 인증 과정을 공격해 자격 증명 정보를 탈취하거나 백도어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공격자는 악성 PAM 모듈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하거나 PRELOAD라는 기법을 이용해 PAM 인증에 사용되는 함수를 후킹할 수 있도록 악성코드를 만든다. 따라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탐지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


리눅스 서버 노린 SVF 디도스 봇 주의!
💡Editor Pick - 취약한 리눅스 서버를 노린 SVF 디도스봇 설치 공격 포착 - 리눅스 서버, 공격자 명령 받아 디도스봇으로 악용될 수 있어 취약한 리눅스 서버를 노린 SVF 디도스봇(DDoS Bot) 설치 공격이 포착됐다. SVF 디도스봇이 설치될 경우 리눅스 서버는 공격자 명령을 받아 디도스봇으로 악용될 수 있다. 특히 웹훅(Webhook)을
6월, 윈도우·리눅스 서버 공격 급증
💡Editor Pick - 윈도우 My SQL 서버 공격, 573개...전월 대비 약 10배 이상 증가 - 리눅스 SSH 서버 공격, 1만 2613개 공격...전월 대비 약 2배 증가 지난 2분기 윈도우 데이터베이스 공격과 리눅스 SSH 서버 공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이 7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윈도우 데이터베이스 공격′ ASD로그 통계에
프록시 설치하는 리눅스 서버 공격
💡Editor Pick -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프록시 설치해 공격 - 티니 프록시, 싱박스처럼 정상 오픈 소스 도구 악용 특징 최근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프록시 설치해 공격하는 사례가 포착되고 있다. 이 공격 방식은 티니 프록시(TinyProxy) 같은 정상 도구나 싱박스(Sing-box)처럼 정상 오픈 소스 도구를 악용하는

Read more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금융 보안 앱 위장, '루나스파이' 주의!

💡Editor's Pick -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전 세계에서 3천 건 이상 탐지 - 메신저 통해 접근, 뱅킹 보안 도구 설치 권유로 감염 유도 금융 보안 앱으로 가장한 스파이웨어 ‘루나스파이(LunaSpy)’가 유포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루나스파이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 동안

By CheifEditor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레노보 웹캠, ‘BadCam’ 취약점 발견

💡Editor's Pick - 운영체제 무관하게 키 입력 주입, 추가 장치 가장해 악성 행위 - 리눅스 기반 동작 USB 주변기기 펌웨어 무결성 검증 부재 -“주변기기도 소프트웨어다” 사실 인지해야...펌웨어 중요 레노보의 일부 웹캠 모델에서 원격으로 ‘BadUSB’ 공격 장치로 변조될 수 있는 취약점이 확인됐다. 공격자는 운영체제와 무관하게 은밀하게 키

By CheifEditor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 AI 피싱 URL 검출 기술 일본 특허 등록...한·미·일 완료

누리랩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해 피싱 사이트와 연관된 URL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기술로 일본 특허를 등록했다고 19일 밝혔다. 특허 기술은 누리랩이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URL 유사도 분석 기술 알고리즘 바탕으로 악성 위협 요소를 분석해 피싱 공격 차단 신기술이다. 신종·변종 사이트 공격 차단을 위해 ▲웹사이트 문자 ▲특수문자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