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차관, "AI 실질적인 인재 확보·지원 방안 마련할 것"

- 인공 지능 인재확보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 인공 지능 핵심 경쟁력 확보와 필요한 인재 규모와 수준 논의
‘인공 지능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인재상과 인재 확보 방안이 논의됐다.
간담회는 엔씨에이아이 이연수 대표, 바이브컴퍼니 김경서 대표, LG AI연구원 김유철 전략부문장 등 인공 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활용 중인 주요 기업 관계자와 연세대 김선주 교수, 고려대 이성환 교수, 울산과학기술원 심재영 교수, 중앙대 최종원 교수 등 인공 지능 대학원을 중심으로 인재를 양성하고 있는 교육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급변하는 국제 인공 지능 경쟁 환경 속에서 인공 지능 핵심 경쟁력 확보와 인공 지능 전환을 위해 필요한 인재의 규모와 수준을 논의하고, 인공 지능 인재 확보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인공 지능 기업들은 각 사 인공 지능 개발·도입 사례와 과정서 요구됐던 인재 역량을 공유하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대해 제언했다. 대학 측에서는 산업 변화 흐름을 반영한 양성 목표와 핵심인재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등을 제시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인공 지능 인재 확보는 국가 인공 지능 경쟁력의 핵심 과제”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지속적으로 귀 기울이며, 실질적인 인재 확보·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THE STATE OF AI TALENT 2024 - Zeki, Atlastecnologico, 2024년
- AI in Talent Acquisition Market Size, Share | CAGR of 15.1% - Market.us, 2024년
- AI Recruitment Statistics 2025: Adoption, Automation & Market Outlook - AllAboutAI, 2025년
- AI Recruitment Market: Industry Analysis and Forecast (2024-2030) - Maximize Market Research,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