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5월 SBI 증권 피싱 23.3%

일본, 5월 SBI 증권 피싱 23.3%
5월 피싱 대책 협의회 신고된 보고건수 [이미지: 누리랩]
💡
Editor Pick
- 5월 일본 피싱 대책 협의회 신고된 보고건수 229,536건
- 5월 피싱 사이트 URL건수 55,940건...전월보다 증가
-SBI증권 피싱 전체의 23.3%, 애플 피싱 전체의 약 13.3%로 급증

일본서 SBI증권을 사칭과 애플 사칭 피싱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마존(Amazon) 사칭 피싱은 약6.8%로 감소했다.

일본 피싱 대책 협의회 2025년 5월 피싱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25년 5월에 피싱 대책 협의회로 신고된 보고건수는, 전월보다 17,044건 감소한 229,536건으로 집계됐다.

일본 피싱 대책 협의회 신고된 2025년 5월 피싱 사이트 URL건수(중복제외) [이미지: 누리랩]

2025년 5월 피싱 사이트 URL건수(중복제외)는 전월보다 7,567건 증가한 55,940건이다.

2025년 5월에 피싱에 악용된 브랜드 건수는, 전월보다 9건 감소한 91건이다. 특히 만건 이상의 신고가 접수된 ANA, 노무라증권, VISA를 사칭한 신고를 합하면 전체의 약59.3%를 기록했다. 또한 1,000건 이상의 대량 신고를 받은 브랜드는 31개였고, 이들을 합하면 전체의 약 95.4%였다.

일본 피싱 대책 협의회 신고된 피싱에 악용된 브랜드 건수 [이미지: 누리랩]

SMS로부터 유도되는 피싱(스미싱)은 신용카드 계열, 증권 계열, 금융(은행) 계열 문구 및 택배 부재통지를 가장한 스미싱의 발송이 지속되고 있다.


5월 피싱 이메일, 링크 첨부해 ‘피싱’ 사이트 유도 72%
💡Editor Pick - 안랩 2025년 5월 APT 동향에서 LNK 유포가 높은 비중 차지 - CAB내에 Python 포함되는 경우도 확인 피싱이 72%, 트로젠 23%, 다운로더 4%, 인포스텔라 1%, 익스플로잇 1% 순 5월 한 달 동안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위협 유형은 피싱으로 나타났다. 최근 안랩이 발표한 ’2025년
증권사 사칭 피싱 주의!
💡Editor Pick - ‘대한투자증권’ 이름으로 가장한 피싱사이트 주의 - 국내 증권사 중, ‘대한투자증권’이라는 이름의 기업은 존재하지 않음 증권사를 사칭한 사기 사이트가 발생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에 발견된 증권사를 사칭한 피싱/사기 사이트는 ht.htsbest.com, gb.htsbest.com, ium.htsbest.com, iuminvest.net 4개다. 누리랩에 따르면 해당 피싱 사이트의
‘법 위반’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
💡Editor Pick - 저작권 침해 사칭 메일통한 정보탈취형 악성코드 유포 - 법무법인 법률대리인 사칭, ”경찰로부터 수집된 문서.pdf” 유의 ‘저작권법 위반 통지’를 사칭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 확산 최근 ‘법 위반 통지’로 위장해 정보탈취형 악성코드(InfoStealer)를 유포하는 피싱 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개인과 기업 사용자의 주의가
누리랩, 신∙변종 피싱 주의 알람 오픈
💡Editor Pick - 누리랩 ’에스크유알엘(AskURL) 통해 피싱 사이트 조기 발견/차단 - 카테고리별 주요 피싱 사이트 정보 제공 이커머스 플랫폼, 브랜드 홈페이지, SNS 사칭 피싱 사이트 확인으로 피해 예방 기업은 자사 브랜드 사칭한 피싱과 사기 사례 모니터링 가능 AI 보안 기업 누리랩이 자사 홈페이지에 피싱 주의보 서비스를 오픈하고 피싱

Read more

드디어 공개된 '킴'의 데이터...피해 정황만 한가득이긴 한데

드디어 공개된 '킴'의 데이터...피해 정황만 한가득이긴 한데

💡Editor's Pick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이 8.9GB 분석 완료 - 행안부, 외교부, 통일부, 해수부, LG유플, 한겨레, KT가 당해 - 피해 정황 있지만 실제 피해 사실은 당사자들이 직접 확인해야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핵티비스트들이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한 8.9GB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측에서

By 문가용 기자, CheifEditor, Donghwi Shin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긴급] 시큐위즈 제품,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생...패치 적용 '시급'

💡Editor Pick -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Root 패스워드 노출 취약점 발견 - 인터넷 망에서 SecuwaySSL 장비 SSH 접속 포트 차단 정책 설정해야 보안기업 시큐위즈의 SecuwaySSL U 1.0/2.0 제품에서 취약점이 발견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용자들은 빠른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 22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긴급조치 방안을 발표했다.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