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디지털 협력에 대한 APEC 공동 비전 담은 장관 선언문 채택

AI

AI·디지털 협력에 대한 APEC 공동 비전 담은 장관 선언문 채택

💡Editor Pick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디지털·AI 장관회의 개최 - AI·디지털 정책과 혁신 사례 공유, 국제협력 필요성 강조 4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이하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서 AI·디지털 협력에 대한 APEC의 공동 비전을 담은 장관선언문이 채택됐다.  선언문은 APEC 주요 성과로, 지난 2월부터 이어진 회원경제 간 실무 논의와

By ChiefEditor
김상부 부총재, "AI 미래,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려"

AI

김상부 부총재, "AI 미래,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려"

💡Editor Pick - 디지털·인공 지능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 중요성 강조 - AI와 디지털 기술 격차 해소와 사회적 회복력 향상 논의 -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통해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 실현 논의 디지털·인공 지능 연결성과 복원력 강화 중요성, 디지털 기술 격차 해소, 포용적인 디지털 사회를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5일 인천

By ChiefEditor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 네이버클라우드 등 사업 5개 정예팀 선정

AI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 네이버클라우드 등 사업 5개 정예팀 선정

💡Editor Pick -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T, NC AI, LG경영개발원 선정 - 데이터, 인재 등 지원... 8월 초 5개 정예팀과 협약 체결 후 착수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 사업 5개 정예팀으로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에스케이텔레콤, ▴엔씨 에이아이, ▴엘지경영개발원 AI연구원 정예팀이 선정됐다. 정예팀은 서면평가 15개팀에서 10팀에 선정됐으며, 발표 평가에선 참여

By ChiefEditor
LNK 파일 통해 렘코스 퍼트리는 피싱 캠페인, 해외서 유행

Security

LNK 파일 통해 렘코스 퍼트리는 피싱 캠페인, 해외서 유행

💡Editor's Pick - 윈도 바로가기 파일, 공격자에게 대단히 유용 - 렘코스, 원래 합법적 도구였으나 이제는 공격자들이 더 잘 써 - 해외에서 유행하는 피싱, AI 덕분에 한국 상륙 속도 빨라져 윈도 생태계 사용자들을 위협하는 새로운 악성코드 유포 캠페인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포인트와일드(Point Wild)가 발견해 세상에 알린 것으로,

By 문가용 기자
"AI가 보이스피싱 어떻게 잡나?"

Security

"AI가 보이스피싱 어떻게 잡나?"

💡Editor Pick - ‘AI 기반 음성 탐색 시스템’ 개발 8월 시범운영 거쳐 9월 본격 운영 - 금융감독원에 신고된 보이스피싱 음성 2만 5천건 음성 활용 - 국과수, ‘AIVOSS’를 ‘보이스피싱 음성 분석 모델 ’ 연동해 고도화 AI가 보이스피싱 사기 대본을 분석하고 키워드 추출해 범죄조직 잡는다.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AI 기반 음성 탐색 시스템(

By ChiefEditor
SKT, AI 기능 강화한 ‘갤럭시 퀀텀6’ 출시

AI

SKT, AI 기능 강화한 ‘갤럭시 퀀텀6’ 출시

💡Editor Pick - 편의성과 가성비 겸비한 SKT 전용 5G 스마트폰 1일 정식 출시 - ‘서클 투 서치’, ‘제미나이 라이브’, ‘베스트 얼굴’ 등 AI 기능 강화 SKT는 AI 기능을 강화한 양자암호 5G 스마트폰 ‘갤럭시 퀀텀6’을 1일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제미나이 라이브’, ‘베스트 얼굴’ 등 실용적인 AI 기능 강화… 휴대성도 개선

By ChiefEditor
랜섬웨어 발전사...이중 협박 넘어 사중 협박

Security

랜섬웨어 발전사...이중 협박 넘어 사중 협박

💡Editor's Pick - 이중 협박의 시대도 안 끝났는데 등장한 사중 협박 - 이중 협박 + 디도스 + 지인 괴롭히기 = 사중 협박 - 인공지능과 핵티비즘과의 결합도 눈에 띄어 랜섬웨어 공격자들 사이에서 이중 협박 전략이 유행한 것도 벌써 수년 째다. 아직도 유효하긴 하지만 새로울 것은 없다. 그런데 보안 업체 아카마이(Akamai)가

By 문가용 기자
AI 코딩 플랫폼 베이스44에서는 남의 프로젝트도 쉽게 엿볼 수 있어

AI

AI 코딩 플랫폼 베이스44에서는 남의 프로젝트도 쉽게 엿볼 수 있어

💡Editor's Pick - 바이브 코딩 플랫폼 베이스44, 보안 취약 - 기본적인 설정 오류 때문에 타인 프로젝트도 열람 가능 - 인공지능 발전 눈부신데, 보안 인식은 따라오지 못해 인공지능 기반 코딩 플랫폼인 베이스44(Base44)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이 발견됐다.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할 경우, 사용자가 만든 비밀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에 무단으로 접근할

By 문가용 기자
KISA, 2025 아태지역 사이버공격 대응 공동 모의훈련 실시

Security

KISA, 2025 아태지역 사이버공격 대응 공동 모의훈련 실시

💡Editor Pick - 생성형 AI 악용 랜섬웨어 공격 대응, 아태 20개국 26개 팀 참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아태침해사고대응팀 협의회(Asia-Pacific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이하 APCERT)와 생성형 AI를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 그룹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동 모의훈련을 29일 실시했다고 밝혔다. APCERT는 아태지역 침해사고대응팀 간 협력을 강화하기

By ChiefEditor
정보세계정치학회,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특별 세미나 개최

AI

정보세계정치학회,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특별 세미나 개최

💡Editor Pick -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주제 - 최근 국내외적으로 주목 받는 소버린 AI 개념 정립, 향후 전략 방향 탐색 정보세계정치학회(KAWPI: Korean Association of World Politics of Information)가 “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 주제로 특별세미나를 개최한다.

By ChiefEditor
‘국가중점데이터’ 본격 개방 착수...공공데이터 지원

AI

‘국가중점데이터’ 본격 개방 착수...공공데이터 지원

💡Editor Pick - 중앙부처 법령해석·특별행정심판 재결례 등 15개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행정안전부는 30일 ‘2025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통합착수보고회’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보유 15종 고가치 공공데이터를 국가중점데이터로 선정·개방하는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업은 국민과 기업 수요가 크고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선별해 개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By Chie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