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단독] 해커,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브리치포럼에 공개
해커가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를 공개한 화면 [이미지 The Tech Edge]
💡
Editor Pick
- 7일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대행사 회원 개인정보 올라와
-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등 공개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가 브리치포럼에 올라왔다.

7일 오후 5시 40분경 해커는 브리치포럼에 국내 구매 및 대행 서비스 기업의 개인정보 샘플을 공개했다.

해커가 공개한 샘플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등이다. 파일은 암호화 처리가 되지 않은 파일 그대로 노출됐다.

이 뿐만이 아니다. 닉네임 'Michaell'을 사용하는 해커는 개인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링크를 공개했다.

해커가 공개한 링크는 엑셀파일이 다운로드된다. 엑셀파일은 'tb_users', 'sp_message_log' 파일명 2개로 구분된다. 'tb_users' 파일은 아이디, 이메일, 전화번호 등 약400여명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다. 'sp_message_log' 파일은 사이트 링크가 포함돼 있으며, 회원가입한 사용자들에게 안내한 메시지 등이 담겨 있다.

마지막 회원 가입 년도는 2018년으로, 유출된 개인정보와 회원정보가 일치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이트 최신 글은 2024년도에 올라왔다. 즉 오래전 해킹됐거나, 2018년까지 데이터만 해커가 공개, 또는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오래된 데이터 유출이든, 해커가 2018년까지 데이터만 공개했든 실제 회원정보가 일치했단 건 제대로 보안 조치가 되지 않고, 개인정보 관리가 허술했단 뜻이다. 최근 랜섬웨어 공격,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많은 만큼 철저한 보안 관리가 필요하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유출된 정보에 패스워드는 암호화됐지만 이름,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이 그대로 유출됐다"며 "개인정보를 활용한 2차 악용이 예상되는 만큼 유출된 사용자들에게 고지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염흥열 순천향대 명예 교수는 "우리나라 개인정보 안전조치가 미흡했던 시기에 유출된 개인정보로 보인다"며 "오래된 정보이지만, 핸드폰 번호 등 일부 개인정보는 현재까지 유효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염흥열 교수는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법적 의무사항을 수행하고, 특히 피해 당사자인 정보주체에게 유출 사실을 72시간 내 통보해야 한다"며 "유출 원인 조사와 확산 방지 대책의 수립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은 "개인정보를 제공해 위탁 의뢰할 경우 위탁업체가 개인정보를 잘 다룰 수있는지 고려해야하는 사회가 되고 있다"며 "규모가 작고 보안역량이 작은 업체는 폐업, 개인정보유출 사고와 같은 만일의 상황에 대한 고려가 소비자 입장에서도 필요한 사회가 되었다"고 시대 상황을 짚었다.

이어 김명주 소장은 "지금 사건과 같이 보안 개념이 약했던 시기와 지난 코로나 3년 동안, 이러한 허점들이 많이 노출돼 요즘 피해 발생이 많은 것도 그러한 이유"라며 "기업 평가와 고려 요소 중 이제는 보안 역량이 진지하게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부활한 브리치포럼즈, 같은 듯 달라 의구심이 뭉글
💡Editor’s Pick - 갑자기 사라진 브리치포럼즈, 갑자기 복구돼 - 새 관리자 N/A, 모두 돌아오라고 바쁘게 손짓 - XSS 사라진 시점에 알맞은 복귀 vs. 사법 기관의 하니팟 사라진 줄 알았던 다크웹 마켓플레이스인 브리치포럼즈(BreachForums)가 되살아났다. 다른 주소, 다른 모양, 다른 이름을 써 살림을 새로 차린 게 아니다. 이전의 주소와
[단독] 다크웹, 지우병원 개인정보 1000달러 판매글 올라와
💡Editor Pick - 해커, 지난 26일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1000달러 판매글 올려 - 지우병원 외에도 4월 최신 이력서 800만개 보유 주장 판매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판매 게시글이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지우병원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공지한 만큼, 사건 연관성도 주목된다. 해커는 지난 26일 오전 7시 8분경 다크웹에 지우병원 개인정보
[단독] 공인중개사 교육 사이트 개인정보 유출?...해커, 다크웹에 공개
💡Editor Pick - 지우병원 데이터 공개한 해커, 이번엔 공인중개사 교육사이트 해킹 주장 - 다크웹에 이름, 주소, 핸드폰 번호 등 개인정보 샘플 공개 공인중개사 교육 사이트 개인정보가 다크웹에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다크웹 사이트 기준 4일 오전 8시 58분경, 닉네임 ‘Iburaham.muhame’ 사용 해커는 공인중개사 교육 사이트 주소와 개인정보를 공개했다. 해커가 샘플로

Read more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접근 제어 솔루션 원로그인에서 API 관리 부실 취약점 나와

💡Editor's Pick - 원로그인에서 발견된 CVE-2025-59363 - client_secret이라는 민감 정보 노출시켜 - API 관리 개념 부족해서 생긴 취약점 인기 높은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솔루션인 원로그인(OneLogin)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를 익스플로잇 하는 데 성공한 공격자는 민감한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해당 취약점에는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