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오송서 개인정보 제도 설명회 개최

개인정보위, 오송서 개인정보 제도 설명회 개최
[이미지: 개인정보위]
💡
Editor Pick
- 알기 쉬운 법령 해석, 공공기관 평가제, 마이데이터·가명정보 제도 안내
- 현장 중심 법령 해설과 질의응답, 개인정보보호수준 평가제 설명
- 마이데이터 및 가명정보 제도·컨설팅 제공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7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서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개인정보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개인정보 및 마이데이터 주요 정책 안내와 함께, 현장 실무자들의 궁금증 해소와 제도 활용 지원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설명회에서는 개인정보 실무 담당자들이 자주 궁금해하는 개인정보 보호법령에 대한 사례 중심 해설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실무에서 마주치는 애로사항을 직접 질문하고, 위원회와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질의응답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소통이 이뤄졌다.

오송 지역 보건의료 관련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제’에 대한 안내도 이어졌다. 개인정보위는 2025년 주요 평가계획,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할 보호체계, 신기술 가점 지표 등 평가제도의 핵심 내용을 설명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와 평가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제공됐다.

바이오·의료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마이데이터 제도와 가명정보 활용 방안에 대한 설명도 진행됐다. 마이데이터 제도는 정보주체가 본인 개인정보를 원하는 곳으로 전송해 직접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올해부터 의료·통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가명정보 제공 실적이 공공데이터 평가에 반영되는 점, 가명처리 절차와 정부 지원사항, 활용 사례 등이 안내됐다. 현장에서는 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 지정심사 관련 컨설팅도 함께 제공됐다.

이번 설명회는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지역 내 기업과 기관이 변화하는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됐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설명회와 컨설팅을 지속해,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기반 혁신을 촉진할 방침이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은 “마이데이터, 가명정보, 개인정보보호평가 등이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선 공공기관과 기업들의 참여와 협력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와 안전한 활용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개인정보위-KISA,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고용 부문, 문화여가 부문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하반기 중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확대 위한 부문별 정보기준안 마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KISA)이 올 하반기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정보기준안 마련을 위 23일 정부서울청사서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한다. 23일 개최될 고용 부문 간담회는 정보전송자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SKT 집단분쟁조정 2건 개시 의결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전체회의 개최 SKT 관련 집단분쟁조정 총 4건 중 2건은 개시, 2건은 보정 후 개시 개인정보위의 조사·처분 기간 동안 조정 일시정지, 처분 종료시 재개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우지숙, 이하 ‘분쟁조정위’)는 19일(목) 분쟁조정위 전체회의를 개최, SK텔레콤 상대로 신청된 집단분쟁조정 2건에 대해 조정 개시를 의결했다. 다만, 이번
전북대·이화여대, 개인정보 유출 과징금 총9억 6,600만원 부과받아
개인정보위, 전북대 6억 2,300만원, 이화여대 3억 4,300만원 부과 주말‧야간 포함 24시간 유출 탐지‧차단 체계 운영 시정명령도 부과 개인정보를 유출한 전북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가 개인정보보호법(이하 ‘보호법’) 위반으로, 총 9억 6,600만원 과징금과 540만원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전북대학교는 32만여명 유출로 6억 2,300만원, 이화여자대학교는 8만 3천여명 유출로 3억 4,

Read more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캐나다 GIS 혁신 - AI 결합한 공간정보 기술로 공공안전 패러다임 전환

💡Editor Pick - 캐나다 GIS 기업들, AI·ML 통한 실시간 공간분석 시스템 구축 - 월 100만 건 API 호출 처리, 400여 개 센서 데이터 통합 분석 - 주민 참여형 softGIS로 범죄 예방·재난 대응 효과 입증 캐나다의 공간정보시스템(GIS) 기술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하면서 공공안전 분야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By CheifEditor, Donghwi Shin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북한 혹은 중국 해킹 조직 턴 핵티비스트들, 외신과 인터뷰

💡Editor's Pick - 외신 테크크런치, 세이버와 사이보그 인터뷰 - 신원과 해킹 기법은 한동안 미공개일 예정 - 앞으로도 이어질 '해커 해킹'...불법이긴 하지만 얼마 전 데프콘(DEF CON)에서 공개된 8.9GB 데이터 때문에 잠시 소란스럽다가 갑자기 잠잠해진 일이 있었다. 이 데이터는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

By 문가용 기자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TE머묾] 안 전하니 안전하니?

💡Editors Pick - 보안, 스스로를 좀 더 드러내야 - 위험만 전파하니 효과 미미... 즐거움을 전파하면 어떨까 - 어떻게 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다가가는 게 보안의 필연 요즘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연일 대형 보안 사고 소식이다. 주요 통신사와 금융 조직, 굵직한 정부기관들과 전 국민이 알 법한 민간 사업체들까지, 그간 만만히

By 문가용 기자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북 추정 해킹 실체 공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분석 보고회 개최

💡Editor's Pick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김수키 국내 해킹자료 분석 및 시사점 발표 - 국내 해킹 자료 공개한 프랙 문서 내용 보강, 새로 발견된 추가 내용 공개 최근 국내 정부와 기업을 해킹한 북한 김수키 추정의 공격 실체가 공개된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은 22일 오후 3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정운오교양관 404호에서 'Kimsuky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