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오송서 개인정보 제도 설명회 개최

개인정보위, 오송서 개인정보 제도 설명회 개최
[이미지: 개인정보위]
💡
Editor Pick
- 알기 쉬운 법령 해석, 공공기관 평가제, 마이데이터·가명정보 제도 안내
- 현장 중심 법령 해설과 질의응답, 개인정보보호수준 평가제 설명
- 마이데이터 및 가명정보 제도·컨설팅 제공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7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서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개인정보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개인정보 및 마이데이터 주요 정책 안내와 함께, 현장 실무자들의 궁금증 해소와 제도 활용 지원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설명회에서는 개인정보 실무 담당자들이 자주 궁금해하는 개인정보 보호법령에 대한 사례 중심 해설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실무에서 마주치는 애로사항을 직접 질문하고, 위원회와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질의응답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소통이 이뤄졌다.

오송 지역 보건의료 관련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제’에 대한 안내도 이어졌다. 개인정보위는 2025년 주요 평가계획,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할 보호체계, 신기술 가점 지표 등 평가제도의 핵심 내용을 설명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와 평가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제공됐다.

바이오·의료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마이데이터 제도와 가명정보 활용 방안에 대한 설명도 진행됐다. 마이데이터 제도는 정보주체가 본인 개인정보를 원하는 곳으로 전송해 직접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올해부터 의료·통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가명정보 제공 실적이 공공데이터 평가에 반영되는 점, 가명처리 절차와 정부 지원사항, 활용 사례 등이 안내됐다. 현장에서는 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 지정심사 관련 컨설팅도 함께 제공됐다.

이번 설명회는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지역 내 기업과 기관이 변화하는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됐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설명회와 컨설팅을 지속해,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기반 혁신을 촉진할 방침이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은 “마이데이터, 가명정보, 개인정보보호평가 등이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선 공공기관과 기업들의 참여와 협력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와 안전한 활용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개인정보위-KISA,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고용 부문, 문화여가 부문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하반기 중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확대 위한 부문별 정보기준안 마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KISA)이 올 하반기 정보주체 전송요구권 정보기준안 마련을 위 23일 정부서울청사서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한다. 23일 개최될 고용 부문 간담회는 정보전송자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SKT 집단분쟁조정 2건 개시 의결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전체회의 개최 SKT 관련 집단분쟁조정 총 4건 중 2건은 개시, 2건은 보정 후 개시 개인정보위의 조사·처분 기간 동안 조정 일시정지, 처분 종료시 재개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우지숙, 이하 ‘분쟁조정위’)는 19일(목) 분쟁조정위 전체회의를 개최, SK텔레콤 상대로 신청된 집단분쟁조정 2건에 대해 조정 개시를 의결했다. 다만, 이번
전북대·이화여대, 개인정보 유출 과징금 총9억 6,600만원 부과받아
개인정보위, 전북대 6억 2,300만원, 이화여대 3억 4,300만원 부과 주말‧야간 포함 24시간 유출 탐지‧차단 체계 운영 시정명령도 부과 개인정보를 유출한 전북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가 개인정보보호법(이하 ‘보호법’) 위반으로, 총 9억 6,600만원 과징금과 540만원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전북대학교는 32만여명 유출로 6억 2,300만원, 이화여자대학교는 8만 3천여명 유출로 3억 4,

Read more

퍼플렉시티 기반 코멧 브라우저, 알고 보면 악성 내부자?

퍼플렉시티 기반 코멧 브라우저, 알고 보면 악성 내부자?

💡Editor's Pick - 에이젠틱 인공지능 브라우저 코멧, 민감 데이터에 자동 접근 - 프롬프트 주입 공격과 같은 듯 달라...더 교묘하고 권한 높아 - 인공지능 사용에 있어 보안 정책 강화되어야 유명 인공지능 모델인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겨냥한 새로운 공격 기법이 발견됐다. 정확히는 퍼플렉시티의 에이젠틱 인공지능 브라우저(agentic AI browser)

By 문가용 기자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파이선 리포지터리 PyPI에서 고급 악성 패키지 발견돼

💡Editor's Pick - soopsocks라는 악성 패키지, 2600번 다운로드 돼 - SOCKS5 프록시 생성 후 여러 악성행위 실시 - 공공 리포지터리의 안전한 활용 위한 대책 도입 시급 파이선 생태계의 코드 리포지터리인 PyPI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번 악성 패키지는 일종의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SOCKS5 프록시 서비스를

By 문가용 기자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오라클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캠페인 성행, 혹시 클롭?

💡Editor's Pick - 대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노리는 공격 - 데이터 훔쳤다는 협박 메일로부터 공격 시작 - 배후에 클롭 랜섬웨어 있을 가능성 높아 보여 구글의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최근 새로운 악성 캠페인을 발견해 세상에 공개했다. 배후 세력으로 가장 유력한 건 악명 높은 랜섬웨어 단체인 클롭(Cl0p)

By 문가용 기자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한국서도 사용되는 마일사이트 라우터, 해킹 공격에 노출돼

💡Editor's Pick - 산업용 셀루러 라우터의 API, 인터넷에 노출돼 - 심지어 문자 메시지 열람과 확인까지 가능한 API - 너무 많은 권한을 주는 게 많은 보안 사고의 원인 산업용 셀룰러 라우터를 감염시키는 악성 캠페인이 발견됐다. 배후 세력은 자신들이 점거한 라우터들을 통해 악성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 장난

By 문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