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모태펀드 2차 정시 출자 사업, 경쟁률 6.5대1

- 98개 펀드가 모태펀드에 약 1조 6,000억원 출자신청
- 국내 벤처투자 업계가 AI·딥테크 분야 시장 성장성에 주목
2025년 중기부 소관 모태펀드 2차 정시 출자사업에 98개 펀드가 모태펀드에 약 1조 6,000억원을 출자신청했다.
모태펀드는 신청수요 중 3,100억원 내외를 선별 출자해 민간자금과 더불어 약 6,000억원 규모 15개 내외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펀드 수 기준 경쟁률은 6.5대1이다. 이는 국내 벤처투자 업계가 AI·딥테크 분야 벤처·창업기업의 혁신성·기술성을 높게 평가하고, 시장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단 뜻이다.
2024년 국내 벤처투자 중 딥테크 10대 분야 투자는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특히 AI 분야는 전년 대비 75% 증가했다.
모태펀드는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등 최근 기업가치 1조원 이상 유니콘에 등극한 기업부터 노타, 업스테이지, 트웰브랩스 등 ‘CB insights AI 100 2025’에 선정된 글로벌 AI 기업까지 유망 AI·딥테크 스타트업 대상으로 초기 성장자금을 공급해왔다.
이번에 신설된 ‘NEXT UNICORN Project 스케일업 펀드’는 유망 기업에 보다 집중적으로 투자될 수 있도록 기업당 평균 투자금액을 100억원 이상으로 높이고, 중기부 지원사업 참여 우수기업이 스케일업 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간 연계를 강화했다. 모태펀드는 올해 2차 추경으로 시범 출범한 ‘NEXT UNICORN Project’를 내년부터 확대해 AI·딥테크 유니콘 육성에 투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한성숙 장관은 “AI·딥테크 유니콘을 육성하기 위해선 분절적인 뿌려주기식 투자를 넘어 유망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올해 2차 추경을 통해 ‘NEXT UNICORN Project’가 출범한 것은 급변하는 AI·딥테크 시장 선점을 위한 정부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연내 투자 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2025년 한국 사모펀드 시장의 동향과 투자 기회 분석 - Goover, 2025년
- 펀드시장 1000兆 시대 동력은 '채권형 펀드·해외주식 ETF' - 조선일보, 2025년
- 2025년 자산운용산업 주요 이슈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202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