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스팸 주의

SKT,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스팸 주의
[이미지: SKT]

사이버 침해 사고를 악용한 피싱과 스미싱 시도가 확인돼 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발견된 스미싱 유형은 ‘유심 해킹’, ‘악성 앱 감염’ 등과 같은 문구를 포함해 가족이나 정부 기관, SK텔레콤을 사칭한 개인정보 탈취를 시도한다.

주로 전화나 문자를 통해 “SK텔레콤 해킹 피해 여부를 점검해 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하거나, 가족을 사칭해 유심을 교체해야 한다며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한다.

이러한 스미싱 문자에 18일 SK텔레콤은 "SK텔레콤은 어떤 경우도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문자메시지에 첨부된 출처가 불명확한 링크 접속에 주의하고, 원격 제어 앱 설치 요구는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SK텔레콤 전송한 문자메시지에 공식 인증 마크가 들어간 화면(RCS 지원 안드로이드폰만 해당) <이미지: The Tech Edge]

SK텔레콤은 피해 예방 대응 안내에 나섰다. SK텔레콤이 보내는 모든 공식 문자 발신 번호는 114며, ‘공식 인증 마크’를 적용했다는 것. 즉 발신 번호가 114고, 공식 인증 마크가 있어야 SK텔레콤 공식 문자란 얘기다.

유심 무료 교체 예약 시스템에서 신청을 완료하면, 예약 완료 문자를 전송, 유심 교체 방문 안내 문자를 발송한다. 다만 유심 교체 예약 한 경우, 예약 매장 번호로 교체 일정 등 안내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 설명이다.

[이미지: SKT]

아울러 SK텔레콤은 ▲문자 스팸 필터링 ▲음성 스팸 및 보이스 피싱 번호 차단 ▲불법·유해 사이트 접속 차단 등 회선 개통 및 문자, 전화, 인터넷 등 서비스별로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응 시스템과 서비스를 운영을 통해 피해 예방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의심되는 URL에 포함된 웹사이트 주소는 정상 웹사이트의 주소와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 만약 경제적 피해를 입은 경우, 경찰청 사이버수사국(ecrm.police.go.kr, 182), 금융감독원(1332),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118)로 즉시 신고할 것을 강조했다.


Read more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루이비통, 개인정보 유출...명품 브랜드줄줄이 보안사고 다른 잣대 필요

💡Editor Pick - 루이비통, 외부 해커가 시스템 해킹 통해 개인정보 유출 - 유출된 개인정보: 이름, 연락처, 고객 제공의 추가 정보 등 - 6월8일 사고 발생, 7월 2일 보안사고 인지...관계 당국 사실통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루이비통은 해커가 당사 시스템을 해킹해 고객정보가 유출됐다고 4일 문자, 메일 등을

By CheifEditor
SKT,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SKT, 보안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Editor Pick - 고객 안심패키지 강화,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 도입 예정 - 정보보호 투자 5년간 7천억원 확대, 내∙외부 보안 검증체계 강화 - 약정 고객 해지 위약금 면제 SKT(대표이사 사장 유영상)가 지난 4월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과 신뢰 회복을 위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4일 발표했다.

By CheifEditor
UN, “현대HD 등 이스라엘 돕는 기업들 심판 필요” 주장

UN, “현대HD 등 이스라엘 돕는 기업들 심판 필요” 주장

💡Editor Pick - 이팔 전쟁에 직간접적 개입한 사기업 많다고 UN이 고발 - 무기 개발사, 최첨단 IT 기업, 중장비 및 건설 업체, 글로벌 브랜드 등 - "윤리 추구 초월한 국제법 위반" 현재 팔레스타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팔 전쟁을 통해 많은 기업들이 비윤리적인 이득을 취하고 있다고  UN이 고발했다. “기업들은 식민지적 축출

By JustAnother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