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curity
금융권 노린 랜섬웨어, 6월 폭발 증가
💡Editor Pick - 금융권, 6월 세스템 제어 백도어, 시스템 장악 랜섬웨어 악성코드 기승 - 해커 원더, 다크웹서 금융권 개인정보 판매 - 랜섬웨어 그룹 에버레스트, 요르단 은행 해킹 주장 금융권을 노린 악성코드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이 발표한 '금융권 대상 유포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공격
Security
💡Editor Pick - 금융권, 6월 세스템 제어 백도어, 시스템 장악 랜섬웨어 악성코드 기승 - 해커 원더, 다크웹서 금융권 개인정보 판매 - 랜섬웨어 그룹 에버레스트, 요르단 은행 해킹 주장 금융권을 노린 악성코드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이 발표한 '금융권 대상 유포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공격
Security
💡Editor Pick -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주의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방법 등 키워드로 피싱 접속 유도 대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발생이 우려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키워드를 사용한 피싱 시도가 예상된다며
Security
💡Editor Pick - ‘국방 장비관리 정책발전 세미나’ 개최 - 장비가동률 보장 위한 장비정비정책 추진 등 논의 국방부는 10일 용산 전쟁기념관서 ‘국방 장비관리 정책발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세미나는 AI·DX 기반 장비관리 발전방안’ 주제로, 첨단 정비체계와 정책 방향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개회식서 이갑수 국방부 군수관리관은 “국방 정비
Security
💡Editor Pick - 더치트, 구분동의를 포괄 동의로 받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일부 누락 - 세무대행앱 3개사, 주민등록번호 입력 최소화 방안 마련 개선권고 온라인 사기 조회 서비스 더치트와 세무대행앱 3개사가 개인정보위로부터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 더치트: 과태료, 시정명령, 결과공표, 개선권고 > 더치트는 중고거래 사기와 보이스피싱 등 온라인 사기 피해 사례를 등록·조회할
Security
💡Editor Pick - 개인정보위, 공익신고된 175개 IP 카메라 점검 결과 보안 취약 - IP주소 공개 설정해 외부 접속 허용...비밀번호 1234 해킹에 취약 아파트, 상가, 공원, 도로 등에 설치된 관제목적의 IP 카메라가 보안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정보위가 공익신고된 개인정보 침해 우려 175개 IP 카메라 조사결과, 175개 운영자는 영상정보처리기기인 네트워크 비디오
Security
💡Editor Pick - 해커, SQL 인젝션 공격해 비와이엔블랙야크 342,253명 개인정보 탈취 - 해커, 한국토픽교육센터 84,085명 개인정보 탈취해 텔레그램에 공개 의류 판매 서비스 업체 비와이엔블랙야크와 온라인 교육 콘텐츠 서비스 업체 한국토픽교육센터가 총 14억 1,400만원 과징금과 270만원 과태료, 공표 명령을 받았다. 개인정보위는 9일 제15회 전체회의를 열고 비와이엔블랙야크에 과징금 13억
Security
💡Editor Pick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제3차 전체회의 개최 - 2024년 4분기 12%→2025년 2분기 26% 증가 해외발 스팸이 7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제3차 전체회의에서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2024년 6월 287만명에서 2025년 6월 827만명으로 약 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국제문자중계사 A사는 불법스팸
Security
💡Editor Pick - 양국 이견있어도 큰 틀에서 동맹 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 - 안보 전반 종합 감안해 협의 진전시키고자 함. 7일 백악관서 루비오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양국이 마주한 현안과 고위급 교류를 비롯한 동맹 관계 강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 14개국에 상호관세 부과 예고
Security
💡Editor Pick -유명 여행 예약 사이트와 어플 사칭해 개인 정보 탈취 금전적 피해 입혀 -휴가철 특가 할인, 이벤트 당첨 등 여행 관련 이메일도 각별히 주의 -URL 영문 표기 수상할 경우 접속 금지, AskURL 통해 검사해야 여름철 휴가 시즌을 틈타 여행 예약 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사칭한 피싱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특별한
Security
💡Editor Pick - 공급망 보안 모델 구축사업 협약식 개최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드래곤시티서 ‘공급망 보안 모델 구축사업’ 협약식 및 ‘Secure by Design’ 선언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5년 정보보호 주간(7~11일)의 슬로건인 ‘U.N.I.T.E.D’ 중 셋째 날 주제인 ‘I(Integrate)’와 연계해, 민간 기업과의
Chrome
💡Editor's Pick - 구글과 MS 스토어의 보안 장치 뚫은 멀웨어 18개 발견됨 - '이 앱은 신뢰할 수 있다'는 표시들은 다 갖추고 있었음 - 구글과 MS 등이 운영하는 스토어의 보안 정책, 근본부터 잘못됨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인증을 받은 앱이나 확장 프로그램이라도 위험할 수 있다. 설치 횟수가
Security
💡Editor Pick - 해커, 고객 관리망 침투 통해 고객 정보 추가 정보 수집 - 서버 옮겨다니며 침투 수단 계속 설치...거점 확보 목적 - 공격 표면 관리, 비정상 접근 탐지 및 차단, 네트워크 시스템 등 관리 중요 SKT 해킹 사태의 해커 목적은 정보 수집과 거점 확보란 분석이 나왔다. 박용규 한국인터넷진흥원